1 / 16

CASE 1

CASE 1. 1 조 신경호 , 최창운 , 채안나 강문정 , 정주연 , 최우진. CASE 1. 구급차로 응급실을 내원한 56 세 남자 조선족 김씨는 3 일 전부터 epigastric pain, melena , headache 가 있었으며 본원으로 오기 전 타병원에서 PRC 1pack 을 transfusion 하고 오셨다 . 내원 당시 BP 102/63mmHg, P 84 회 /min, R 16 회 /min, T 37℃, SPO2 96% 였다 .

Download Presentation

CASE 1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CASE 1 1조 신경호, 최창운, 채안나 강문정, 정주연, 최우진

  2. CASE 1 • 구급차로 응급실을 내원한 56세 남자 조선족 김씨는 3일 전부터 epigastric pain, melena, headache가 있었으며 본원으로 오기 전 타병원에서 PRC 1pack을 transfusion하고 오셨다. 내원 당시 BP 102/63mmHg, P 84회/min, R 16회/min, T 37℃, SPO2 96%였다. • 의식 상태는 alert하였으며 과거력으로 고혈압을 10년 전 진단받았으나 중국에서 약을 가져와서 드신다고 하였다. 2년 전부터 일할 때 관절이 아파서 진통제 2~3일에 1회 복용하고 계심. 모세혈관 사정 시 순환이 지연되고 있었으며 피부는 창백하였으며 오심, 구토 등 위장관계 증상을 호소하였다.

  3. CASE 1 • 응급실 검사 결과 Hb 7.3, WBC 8.97*10³/ml, RBC 2.59*10⁶/ml, PLT 1.77*10⁵/ml • BUN 48mg/dl, creatinine 1.8mg/dl, albumin 3.3g/이, Na 141mEq/l, K 4.0mEq/l, AST41unit, ALT 19unit • chest X-ray: no active lesion • ECG: sinus rhythm, normal • Impression: #1. anemia • #2. R/O upper GI bleeding

  4. 1) 상부 위장관 출혈을 알 수 있는 사정 자료들을 나열하라. (위의 자료에 나와 있는 것과 대상자에게서 나타나지 않은 자료들도 모두 포함하라) • ① 대상자에게서 나타난 자료 • - 상복부 통증, 흑색변, 두통, 오심 구토 등 위장관계 증상, BUN : 48mg/dL • ②대상자에게서 나타나지 않은 자료 • - 토혈, 잠혈 • - 위장관 내 다량의 혈액으로 인한 복부팽만, 경련, 설사, 복명 • - 500ml 이상 혈액 상실 시 : 체위성 저혈압, 실신, 오심, 갈증, 발한 • - 전체 혈액의 40% 가까이 상실 시 : 저혈량성 쇼크(창백, 축축한 피부, 저혈압, 빈맥)

  5. 2) 위의 사정자료 중 정상범위에서 벗어난 것을 찾고 의미를 기술하라.

  6. 간호진단 • 약물 복용과 관련된 지식부족 • 오심, 구토로 인한 영양 불균형 위험성 • 건강상실의 가능성, 신체의 변화, 통증과 관련된 불안 • 상부위장관 출혈, 관절이상과 관련된 통증

  7. 약물 복용과 관련된 지식부족 • 사정 • 고혈압 약 복용(10년전부터), 진통제복용(2년전부터) • 목표 • 1. 대상자는 약물의 작용, 목적, 부작용에 대해 알고 있다. • 2 . 대상자는 약물의 부작용에 대해 적절한 대처반응을 알고, 스스로 할 수 있다.

  8. 약물 복용과 관련된 지식부족 • 중재: • 1. 약물의 목적과 작용에 대해 교육한다. • 2. 약물의 부작용에 대해 교육한다. • -관절염 치료에 사용하는 진통소염제 아스피린은 상부 위장관 출혈 부작용이 있다. • -칼슘길항제는 심장근력약화→심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팔다리 정상적 세포분열 →관절염 • -이뇨제는 장기간 사용 시 신장 기능 약해지고, 무릎 관절염, 탈수현상, 순환혈액 감소, 영양 손실.

  9. 약물 복용과 관련된 지식부족 • 중재: • 3. 약물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 -위장관 출혈 부작용이 없는 진통제인 acetaminophen(tylenol)에 대해 설명. • -위장관 보호제인 misoprostol와 함께 복용하는 해야 하는 것을 설명. • -고혈압 약을 줄이기 위한 꾸준한 식이관리, 운동, 생활습관 변화에 대한 정보제공. • 4. 부작용 발생 시 취할 적절한 조치에 관해 교육한다. • 5. 약물과 음식의 상호작용에 대해 알려준다. • 6. 퇴원 전 대상자에게 약물의 작용, 목적, 부작용 등에 관한 서면자료를 제공한다.

  10. 오심, 구토로 인한 영양 불균형 위험성 • 사정 • 오심, 구토 • 목표 • 1. 대상자는 식사 시 오심, 구토로 인한 불편감이 없다. • 2. 대상자는 영양 불균형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11. 오심, 구토로 인한 영양 불균형 위험성 • 중재 • 1. 지속적으로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 2. 연식이나 유동식을 소량씩 자주 섭취하도록 한다. • 3. 필요시 오심, 구토를 감소시키는 약물을 투여한다. • 4. 불편감을 일으키는 음식은 피하도록 한다.

  12. 건강상실의 가능성, 신체의 변화, 통증과 관련된 불안 • 사정: • 대상자는 상복부와 관절의 통증, 두통을 느껴왔고, 오심, 구토 등 위장관계 증상을 호소함으로써 자신의 신체상의 변화를 인지하여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 • 목표 • 1. 대상자는 불안상태를 솔직하게 표현한다. • 2. 대상자는 불안한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 3. 대상자는 편안하게 대화한다. • 4. 대상자는 적응을 도와주는 지지적 기제를 이용할 줄 안다.

  13. 건강상실의 가능성, 신체의 변화, 통증과 관련된 불안 • 중재 • 1. 환자의 불안수준을 사정한다. • 2. 환자가 특별히 두려워하는 것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치료적인 반응을 보인다. • 3. 대화를 통해 질병에 관한 두려움과 걱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 4. 환자에게 침착하고 확신감을 주는 태도로 환자의 증상에 대한 진단과 치료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 5. 안정감을 주고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환자와 함께 있어주도록 한다. • 6. 안전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 7. 이완요법을 사용한다. • 8. 불안이 감소하지 않을 경우, 의사의 처방대로 진정제 등 불안을 감소시키는 약물 을 투여한다.

  14. 상부위장관 출혈, 관절이상과 관련된 통증 • 사정 • 3일전부터 두통, 2년 전부터 일할 때 관절이 아파서 진통제 2~3일에 1회 복용, 상부 위장관 출혈 • 목표 • 1. 대상자가 통증이 없고, 편안하다고 말한다. • 2. 대상자의 진통제 요구 횟수가 감소한다. • 3. 대상자가 통증조절방법을 말한다.

  15. 상부위장관 출혈, 관절이상과 관련된 통증 • 중재 • 1. 통증을 사정하고 온냉요법 및 마사지법을 수행한뒤 방법을 알려준다. • 2. 그리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자제하는 것을 권유한다.

  16. Q&A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