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8

신나는 김선생 ;;;♡

보존과학회지 Vol 7, No1, 1998. 전쟁기념관내 문화재 보존을 위한 환경요인으로서의 미생물의 분포 최윤정 ․ 임선기 *․ 민경희 ** 숙명여자대학교 생물학과 , 서울시 용산구 청파동 2 가 53-12 * 전쟁기념관 보존과학실 , 서울시 용산구 용산동 1 가 8 번지. 신나는 김선생 ;;;♡. 1. 서론. 박물관 내의 보존환경으로서의 미생물의 영향은 문화재 손상에 중요한 의미를 갖게된다. 1. 서론. 2.1. 시료채취 장소.

ace
Download Presentation

신나는 김선생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보존과학회지 Vol 7, No1, 1998 전쟁기념관내 문화재 보존을 위한 환경요인으로서의 미생물의 분포최윤정 ․ 임선기*․ 민경희**숙명여자대학교 생물학과, 서울시 용산구 청파동 2가 53-12*전쟁기념관 보존과학실, 서울시 용산구 용산동 1가 8번지 신나는 김선생;;;♡

  2. 1. 서론 박물관 내의 보존환경으로서의 미생물의 영향은 문화재 손상에 중요한 의미를 갖게된다.

  3. 1. 서론

  4. 2.1. 시료채취 장소 일시 : 1996년 4월 25일~4월29일 AS - 공기 포집기를 설치한 장치 P - 곰팡이 분리배지 조사위치 C - 섬유소 분해배지를 놓은 위치 TP - 고온성균 분리배지를 놓은 위치 L - 세균 분리배지 설치 위치

  5. 2.2. 공중미생물의 낙하포집

  6. 2.3. 공기 포집기에 의한 공중미생물 조사 • PM10 Minivol Sampler(모델 SN904, Air Metries, U.S.A)를 사용 • 공기필터로는 0.4μ의 membrane 필터를 사용 • 공기여과 속도는 분당 5L로 1시간 동안 미생물을 포집 • 포집된membrane 필터는 해당되는 한천배지위에 놓고 배양기에서 2~3일간 배양하여 미생물의 생장을 관찰하고 콜로니 수를 계산

  7. 3. 결과 및 고찰 • 낙하법과 공기포집기에 의한 실내 공중균 조사 • 분포조사방법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공기중의 미생물이 낙하하는것을 포착하는 낙하방법과 부유하고 있는 상태의 미생물을 인위적으로 포집하는공기포집방법을사용

  8. 3.1. 낙하법과 공기포집기에 의한 실내 공중균조사

  9. 3.2. 전쟁기념관의 보존환경 개요 • 1994년에 개관하여 수도권에서 비교적 최근에 건립된 박물관으로 깨끗하고 양호한 환경 • 본 연구를 위한 조사일시는 관람객이 많은 토요일과 관람객이 없는 휴관일을 선택하여 조사하였다.

  10. 3.2. 전쟁기념관의 보존환경 개요 2층 현관입구로 관람객의 출입이 가장 많은 곳 으로 공기가 심하게 유입되는 장소 전시실 내부는 전시실 중에서도 가장 내부에 위치하여 안정된곳으로 관람객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심하지 않는 곳을 선택

  11. 3.3. 전쟁기념관내 공중진균, 세균의 분포 • Emoto는 나라박물관내의 공중균을 낙하법을 이용하여 공기중에2분간 노출하여 미생물을 채집한 결과 85,75cfu의 값을 관찰하였음을 보고하였다. •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고찰해 본다면 본 기념관 보다 현저하게 높은 진균류가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쟁기념관은 대단히 깨끗한 보존환경을 유지하고 있었다 볼 수 있다.

  12. 3.3. 전쟁기념관내 공중진균, 세균의 분포 • 공중진균의 분포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 이들 결과는 앞에서 실험 기법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행했던 실험에서 보이는 양상과도 일치함을 알 수 있다.

  13. 3.4. 전쟁기념관내 곰팡이의 분리 동정

  14. 3.4. 전쟁기념관내 곰팡이의 분리 동정 Curvulariainaequalis (fig11) Aspergillusoryzae (fig8) Aspergillusversicolor (fig 7) C .cladosporioides (fig10A) Curvulariaharveyi (fig12) C.Herbarum (fig10B)

  15. 4. 결론 • 전쟁기념관의 문화재 보존을 위하여 환경요인으로서 미생물의 분포를 낙하법(평판 배지법)과 공기포집법으로 조사. • 낙하법에 의한 박물관의 세균수는3431cfu/㎡/hr이었으나, 공중 진균수는2345cfu/㎡/hr로 공중세균수가 현저하게 많게 나타났다.

  16. 4. 결론 • 인간에 의한 가장 공기의 유통이 심한 전시실 입구의 공중 진균포자분포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전시실 내부, 그리고 관람객의 출입이 없는 일반수장고, 공기정화가 잘 되어있는 특별수장고의 순서로 공중 진균류의 분포가 낮게 나타났다. 기념관 내의 공기의 이동이 적은 수장고보다 전시장은 관람객에 의하여 유입되어 들어오는 공기유입에 의하여 미생물이 먼지와 함께 유입되고 있음을 확인.

  17. 4. 결론 • 관람객이 출입하는 개관일이 휴관일보다 공중 진균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보아 인간의 출입에 의하여 공기가 유입되면서 박물관내 진균의 분포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박물관내 세균의 분포경향도 진균류의 분포의 경향과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18. 4. 결론 • 기념관내에서 분리된 진균류중 동정된 것은 19종이었으며 이중 섬유소 분해 진균은 8종이었고 고온성 진균은 1종으로 동정되었다. 그러므로 박물관내 문화재 보존을 위하여 가능한 관람객의 출입에 의한 공기의 유입을 최소화 하여야 할 것이며, 박물관내의 공기를 여과하여 미생물의 분포를 감소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