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0

Blue Jeans

Blue Jeans. 목차 1. 정통 캐주얼 웨어 2. 청바지의 재료 3. 제조 공정 4. 품질관리 5. 미래의 청바지. 201003802 이승규 3803 이승재 3810 최승권. 정통 캐주얼 웨어. * 청바지는 무엇인가 ?!! 청바지는 데님 천으로 만든 캐주얼 바지로 거친 일을 하는 사람의 작업복으로 애용되었다. 정통 캐주얼 웨어. 데님이란 ? 1) 데님의 유래

Download Presentation

Blue Jeans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Blue Jeans 목차 1. 정통 캐주얼 웨어 2. 청바지의 재료 3. 제조 공정 4. 품질관리 5. 미래의 청바지 201003802 이승규 3803 이승재 3810 최승권

  2. 정통 캐주얼 웨어 *청바지는 무엇인가?!! 청바지는 데님 천으로 만든 캐주얼 바지로 거친 일을 하는 사람의 작업복으로 애용되었다.

  3. 정통 캐주얼 웨어 • 데님이란? 1) 데님의 유래 서지 드님(serge de Nimes) 프랑스의 님 지방에서 생산되는 매우 질긴 능직물인 서지에서 유래한 것이다. 2) 데님에서 진(jeans)까지 데님은 원래 견모 교직을 이르는 말이었으나, 근래에는 주로 소모사로 능직으로 짠다. 처음에는 돛에 쓰다가 제노비즈(Genovese)라는 선원이 이 질긴 천으로 바지를 만들어 제네스(genes)라고 불렀고, 여기에서 진(jeans)이라는 단어가 생겨났다는 설이있다.

  4. 정통 캐주얼 웨어 1) 리바이스(Levi’s)청바지의 유래 오늘과 같은 청바지는 독일인 이민자 리바이 스트라우스(Levi Strauss)가 발명한 것이다. 리바이 스트라우스는 샌프란시스코의 무역상으로 창고에 쌓인 엄청난 양의 청색 데님 처리 방안을 궁리하다가 금을 찾아 캘리포니아로 몰려들던 광부들이 질기고 튼튼한 작업복을 찾고 있음을 생각해 내 리바이스라는 이름으로 시장에 내놓았다.

  5. 정통 캐주얼 웨어 2) 리벳(대가리가 둥글고 두툼한 버섯 모양의 굵은 못)진화 단순하게 바느질된 데님 천으로는 무거운 광부들의 연장을 견디지 못했기 때문에 러시아인 이민자였던 재봉사 제이콥 데이비스가 처음으로 광부용 청바지에 리벳을 박았다. 스트라우스는 당시 미국 특허 출원 비용이었던 69달러에 이 디자인을 사들였고 이후 100년이 넘도록 거의 바뀌지 않고 그대로 사용되었다.

  6. 정통 캐주얼 웨어 2) 리벳의 진화 1920년부터는 지퍼 대신 단추를 사용한 복고풍의 버튼 플라이가 등장했다. 1937년에는 학생들의 청바지 리벳이 책상에 흠집을 낸다는 교육 위원회 불평에 따라, 청바지 뒤에 붙이던 리벳이 주머니 안으로 옮겨졌다. 1960년대에는 뒷주머니 리벳이 완전히 사라졌다.

  7. 정통 캐주얼 웨어 • 청바지의 인기 청바지는 옛날부터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8. 청바지 재료 • 청바지는 100%면직물을 바느질하여 만들고 지퍼, 스냅, 단추는 철을 사용한다. 최근 패션 피륙 업계에서는 환경 보호를 위해 염색한 색 면사를 선호한다.

  9. 제조공정 • 면사준비 • 소면공정 : 톱니가 엉킨것을 풀어주고 하나로 모아주는 일 • 강도 높이기 : 위에 만들어진 섬유를 ‘슬리 버’라 하는데 이 섬유를 잡아당겨 강도를 높여준다.

  10. 제조공정 • 염색(색을 넣는 작업) 볼 워프(ball warp)라는 큰 원사뭉치를 인디고 염료에 여러 번 담가 염색. 염색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배합 비율인데 각 회사마다 비밀로 하고 있다. 그 뒤 처음이나 끝 층을 안정시키기 위해 소량의 유황을 첨가.

  11. 직물짜기 • 원래는 수직기를 이용했으나 점점 발전되어서 거대한 기계적 직기를 이용 • Ex: 셔틀 레스 직기 2743미터가 넘는 면사를 뽑아냄 914미터의 천을 감을 수 있음.(예전것의 몇십배)

  12. 제조공정 • 끝손질 : 천을 짜기 전에 하는 다양한 처리 1. 천을 빗질하여 털어내고 비틀리지 않도록 고정 2. 세탁해도 줄지 않도록 미리 수축.

  13. 청바지 만들기 • 디자인을 정한 다음 두꺼운 종이나 견본을 잘라낸다. • 조립라인을 이루어 재봉틀이용. 주머니, 허리띠 고리, 단추, 지퍼부착 • 청바지를 미리 예비세척 돌 세척하여 질감을 바꾼다. ◎ 예비세척 : 짧은 시간 동안 산업용 세제에 담가 세척하여 데님을 부드럽게 만드는 방법 ◎ 돌세척 : 거친 연마 숫돌을 넣어 부드럽게 만드는 방법 • 완성된 청바지를 1분간 옷 바깥쪽 증기를 쐬며 다리미질. 그 뒤 색상, 디자인, 스타일 별로 상자에 넣은뒤 소매점에 공급

  14. 부산물/폐기물 • 청바지 제조공정에서 나오는 부산물 중 일부에서는 세탁용 풀과 오염물질이 들어 있다. 이런 폐기물은 하천이나 동식물에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법에 따라 별도로 처리 해야 한다

  15. 품질관리 • 첫번째 데님 제조 업체는 목화의 색상, 섬유길이, 강도등을 검사한다. 목화섬유에 추를 매달아 측정한다. 섬유가 끊어지는 순간 가해진 힘을 측정하고 이 무게를 기초로 강도를 계산한다.

  16. 품질관리 • 두번째 - 완성된 데님은 정부가 규정한 등급에 맞춰 1~4단계의 등급을 매긴 후 품질이 나쁜 천은 ‘손상됨’으로 표시해 판매할 수 있다.

  17. 품질관리 • 세번째 - 재봉이 끝난 후에도 청바지 검사는 계속 된다. 수선할 수 있는 문제면 공장으로 돌려보내 다시 재봉한 후 가공한다. 또 지퍼는 수백번 여닫아 검사를 한다.

  18. 미래의 청바지 • 청바지는 지금까지 처음 디자인된 기본적인 모양은 거의 변하지 않은 채 시장의 요구에 따라 광부, 농부, 학생 등 다양하게 응용 되어 인기를 끌어왔다. • 따라서 미래의 패션에서도 청바지는 인기를 얻을 것 같다.

  19. 출처 • 네이트 뉴스 • 네이버 이미지

  20. 감사합니다 • Thank you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