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

일본의 주요 통상관계 1

일본의 주요 통상관계 1. 국제통상관계론 2013. 1. 일본의 무역. 1. 수출입추이 —p.31 쪽 참조 2011 년 수출 : 8200 억달러 수입 : 8530 억달러 , 무역수지 : -323 억달러 2012 년 수출 : 8013 억달러 수입 : 8886 억달러 , 무역수지 : -873 억달러 2013.1-8 수출 :4771 억달러 수입 :5501 억달러 , 무역수지 :-730 억달러 1980 년 수출 :1267 억달러 , 수입 :1246 억달러 무역수지 :21 억 2500 만달러 흑자

aelwen
Download Presentation

일본의 주요 통상관계 1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일본의주요 통상관계 1 국제통상관계론 2013

  2. 1.일본의 무역 • 1.수출입추이—p.31쪽 참조 • 2011년 수출:8200억달러 • 수입:8530억달러, 무역수지: -323억달러 • 2012년 수출: 8013억달러 • 수입: 8886억달러, 무역수지: -873억달러 • 2013.1-8 수출:4771억달러 • 수입:5501억달러,무역수지:-730억달러 • 1980년 수출:1267억달러, 수입:1246억달러 • 무역수지:21억2500만달러 흑자 • 2004년 무역수지 1000억달러 초과

  3. 1.일본의무역 • 2.수출상대국(10위) • 1990: 미국,독일,한국,대만,홍콩,영국,싱가포르,타이,호주,카나다 • 2009년부터 중국이 1위로 부상,중국비중이 증가경향 • 2012:중국,미국,한국,대만,타이,홍콩,싱가포르,독일,인도네시아,호주의 순서 • *수출중 화교국가비중, 화인경제권 • 3.수출상품(p.32) • (1)대세계 • (2)국별: 선진국/개도국

  4. 2.대외직접투자 • (1)지역별(2011년말 잔고기준) P.33 • 미국, 유럽,중국,아세안,기타 • (2)시기별 직접투자 • 1960-70년대:경공업,아시아,일본내∙외 경제상황 • 1980년대:ANIEs, ASEAN • 1990년대:미국과 무역마찰,유럽통합.자동차 등 • 2000년대:중국경제의 고도성장,WTO가입,ASEAN • 2011년 3월11일 동일본 대지진 이후 전년대비 약 2배인 1157억달러, 2012년1/4분기 2.3배 증가한 229억달러로 급등. • 지역별 투자특징:중국, ASEAN, 한국(p.40,41,42,43)

  5. 3.일본의 FTA정책 • (1)일본의 FTA추진 현황 • (2)한일비교: p.21 • (3)한미FTA발효 이후 일본의 동향 • 한미FTA:2007.4 1차협상→2010.12 2차협상타결→2012.3.15 발효(p.22-) • 일본의 동향: 기업;①한 • ②미 • ③N • 정부; 미일FTA(?),TPP가입 • TPP 가입추진:미국주도,아베정권(2012.12.26발족)출범 이후 TPP가입을 결정. 13.8.22 TPP교섭 각료회의에 처음 참가.*참가국(p.20 참조)

  6. 4.미일경제관계 (1)최근의 미일관계 일반—이하 p.50-54 (2)미일동맹관계 (3)미일경제관계 추이 *일본입장에서 미국의 중요성 *미국입장에서 일본의 중요성 (4)미일관계 현황과 전망 *일본입장 *미국입장

  7. 5.한일관계 • (1) 경쟁관계 • P.45 <표21>미국시장에서 한,일의 상품경쟁, p.49 • P.48 한국의 산업고도화, 수출상품 고도화에 따라 일본과의 경합분야가 증가. 일본의 경계감 증가 • (2) 보완관계—p.40-44 • 한국산업의 초기: 한국의 대일기술도입 • 일본의 대한직접투자 • 한일무역구조:부품,소재, 중간재 무역이 중심. • 최근 한국의 대일수출 증가(40-41). 최근 일본의 대한투자 증가(42-44)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