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4

ISO 담당직원 교육연수회

ISO 담당직원 교육연수회. 연수일자 : 2002.10.30. 동아품질경영연구소. I S O.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의 영문약칭 . 재화 및 용역의 국제적 교환 촉진을 위한 국제규격의 제정 및 보급 기술발전을 위한 정보 , 지식 등의 국제간 교류 촉진. ISO 의 조직도. General Assembly( 총회 ) 임원진 : 5 명 총회 회원 : 134 개국 정회원 : 88 개국 통신회원 : 35 개국

Download Presentation

ISO 담당직원 교육연수회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ISO 담당직원 교육연수회 연수일자 : 2002.10.30 동아품질경영연구소

  2. I S O

  3.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국제표준화기구의 영문약칭. • 재화 및 용역의 국제적 교환 촉진을 위한 국제규격의 제정 및 보급 • 기술발전을 위한 정보, 지식 등의 국제간 교류 촉진

  4. ISO의 조직도 General Assembly(총회) 임원진 : 5명 총회 회원 : 134개국 정회원 : 88개국 통신회원 : 35개국 간행물 구독회원 : 10개국 • Policy Development • Committees(정책개발위원회) • CASCO(적합성평가위원회) • COPOLO(소비자보호위원회) • DEVCO(개발위원회) • INFCO(정보위원회) Technical Management Board (특별자문위원회) Technical Advisory Group (기술자문그룹) Council(이사회) 18개 회원국 • Council Standing Committees (자문위원회) • Finance(재정) • Strategies(정책) REMCO (표준물질위원회) Central Secretariat (중앙사무국) Technical Committees (기술자문위원회) Ad Hoc Advisory Group (특별자문위원회)

  5. ISO 규격의 제정 단계 제1단계 : 제안 단계 제2단계 : 준비 단계 제3단계 : 위원회 단계 제4단계 : 승인 단계 제5단계 : 출판 단계

  6. ISO 9000

  7. ISO 9000 • 제조 및 서비스업체에 대한 여러 품질경영시스템 모델 중에서 가장 전형이 될만한 것을 ISO에서 정한 규격 • 공급자가 ISO9000 규정을 지키며 제품/서비스를 공급한다는 보증 • 제품자체의 품질이라기 보다 제품생산과정 등의 프로세스(품질 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 생산자 중심의 규격 X ,구입자 중심의 규격 (판단기준은 제3자, 즉 인증기관의 개입으로 인해 객관성이 높다)

  8. ISO 9000 도입의 필요성 • 고객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품질경영체제 구축 • 국내·외 환경 변화에 효율적 대처 • 국제 품질 보증 시스템의 세계화 추세에 부응 • 정부 조달기관 및 발주처의 계약대상 자격 요건에 대응 • 모 기업 또는 협력사에 대한 시스템 요구시 대응 • 회사 사업 특성 및 능력에 맞는 관리체계가 수립이 필요 • 회사 업무 체계 수립에 기준이 필요하여 ISO9000을 기준으로 할 필요성이 있음 • 국제적인 기준인 ISO9000 인증획득으로 공신력 있는 능력을 소비자들에게 입증을 할 수 있음

  9. ISO 9000 도입의 필요성 • ISO9000에 의한 고객 중심 경영으로 소비자 중심의 업무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음 • 직원들에게 업무에 대한 표준 제정 필요성과 교육훈련 교재로 활용이 필요

  10. ISO 9000 규격의 구조 및 내용 품질에 관한 요구가 주로 기능과 그 성능으로 규정. 설계, 구매, 제조, 설치 및 실험, 검사 등 모든 과정을 생산자가 직접 수행하는 경우 ISO 9001 설계가 이미 확정되어 있거나, 구입자나 외부로부터 주어지고 있을 때 제조 및 설치만 생산자가 수행하는 경우 ISO 9002 설계, 제조 및 사용방법이 이미 장기간에 걸쳐서 확립 되어 있을 때 품질보증 요구사항은 주로 제품의 최종 검사, 최종 시험만으로 충분한 경우 ISO 9003

  11. ISO 9000 규격 범위 설계/개발 제조/설치 검사/시험 부대서비스 ISO 9003 ISO 9002 ISO 9001

  12. ISO 인증효과 고객만족도, 신뢰도 향상 경쟁력 향상,시장성 확대 지속적인 개선 원가절감,순이익 개선 시간,자원 활용도 향상 종업원 사기 진작 더나은 동기부여의사소통개선 개인의 SKILL향상 업무효율성 제고 낭비감소 중복업무 감소 실수감소 ISO 9001 인증획득

  13. ISO vs KS , JIS

  14. KS (Korea Standards) • 생산 공장이 기술적인 면에서 KS수준 이상의 제품을 지속적 생산 능력과 조건을 갖추어 품질이 안정되어 있다. • 객관적인 면에서 항상 시스템적으로 동 기술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내표준화 및 품질경영 활동을 전사적으로 추진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 한다.

  15. KS 인증의 효과 • KS마크의 확인만으로 품질 신뢰 • 인수 검사의 불필요로 검사비, 관리비의 절약 • 우선 구매 의무화와 수의 계약 및 지명 입찰시 유리한 고지 점령

  16. JIS (Japan Industrial Standards) • 주관 기관 : 일본 공업 표준 조사회 • 일본 규격 협회 • 주요 대상 품목 : 토목/건축, 항공 일반 기계, 전기, • 자동차, 철도, 철강, 화학, 섬유, • 광산, 펄프/종이, 정보처리 등 • 18가지로 구분 • 1844개 세부 품목 규정 • 지정 검사 기관 : 일본의 주무 대신에 의해 지정 받은 • 외국 검사 기관

  17. JIS 심사 조건 • 사내 표준화와 품질 관리 추진이 경영자와 종업원에 의해 조직적으로 실시 되고 있는가? • 책임자로서 자격요건을 갖추는 공업 표준화 품질 관리 추진 책임자가 선임 되어 있는가? • 해당 JIS에 의해 사내 표준화를 체계적으로 정비하고 이에 의거해 품질 관리 활동을 실시하고 있는가?

  18. JIS 인증 효과 • 국제 경쟁력의 강화 • 사내 표준화 및 품질 관리 능력의 배양 • 제품 품질로 신뢰성 향상 • 직원의 사기 고취

  19. 제품인증과 시스템인증의 차이점

  20. ISO 인증과정 에서의 문제점

  21. 인증추진시 문제점

  22. 사후관리시 문제점

  23. ISO 인증기업의 문제점 • 인증을 목적으로 추진 • 소수 인원에 의한 인증 추진 • 컨설팅 사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추진 • 경영층의 관심이 없음 • 형식적인 인증심사 및 사후관리

  24. 인증취득후 품질시스템의 실행도 ISO 9000 인증취득 후 품질시스템의 실행도 체질개선형 현상유지형 ISO 졸업형 시작점 준비 문서화 실천 인증획득 T(시간)

  25. 반짝 개선형 수익향상형 암흑대륙형 2중시스템, 과잉문서형 ISO 9000 인증취득후 유형 개선축 (수익축) + 품질시스템 축 - + 현상 -

  26. ISO 9000:2000 ver.

  27. ISO 9000 Family 규격 개정 배경 1997년… ISO/TC 176회 총회에서는 전 회원국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8. ISO 9000 Family 규격 개정 배경 • 모든 산업분야에서 적용이 가능 • Process Model을 기초로 하는 일반적 구조로 전환 • 사용이 간편하고, 이해하기 쉬우며, 명확한 언어,용어 사용 • ISO 9001 요구사항에 지속적 개선 및 부적합사항 예방의 실증 • ISO 9004는 모든 이해관계자의 이익에 기여 • ISO 14000 환경경영 시스템 시리즈와 병용성 증대

  29. ISO 9000 Family 규격의 재조정/통합 20여개의 규격들과 ISO 9000-X, ISO 9004-X 등의 파생으로 혼란과 부담 가중 • Standard (4) • Technical Report • Technical Specification

  30. ISO 9000 Family 규격의 재조정/통합 ISO 9000-1 + 8402(품질용어) ISO 9000 : 품질경영시스템 –개념 및 용어 ISO 9001 + 9002 + 9003 ISO 9001 : 품질경영시스템 - 요구사항 ISO 9004-1 ISO 9004 : 품질경영시스템 - 지침 ISO 10011-1 + 10011-2 + 10011-3 ISO 19011 : 품질시스템 심사 지침 ISO 14010 + 14012 + 14013

  31. ISO 9000 : 2000 ver. 2000년 개정은 근본체제가 변경되었다. 종전의 ISO 9001 규격의 20개 요구사항을 크게 5개의 장(Section)으로 묶고 각 장에 해당하는 요구사항을 재구성

  32. ISO 9000 : 2000 ver. • 품질경영시스템 (Quality Management System) • 경영책임 (Management Responsibility) • 자원관리 (Resource Management) • 프로세스 관리 (Process Management) • 측정, 분석 및 개선 (Measurement, Analysis & Improvement)

  33. 주요 변경 사항 • 품질목표 • 자원관리 • 고객요구 사항 파악 • 고객 만족도 조사 • 지속적 개선

  34. 주요 변경 사항 • 검사 및 시험 • 측정기 관리 • 검사 및 시험 상태 • 취급 ·보관 ·포장 ·보존 ·인도

  35. 주요 변경 사항 • Product ▶ Product and/or Service • Manufacturing Process ▶ Business Process • 품질시스템(QS) ▶ 품질경영시스템(QMS) • 구매자(Purchaser) ▶ 고객(Customer) • 공급자(Supplier) ▶ 조직(Organization) • 외주업체(subcontractor) ▶ 공급자(Supplier) • 검사, 시험, 감사, 모니터링 ▶ 측정(Measurement)

  36. 전 산업부문으로 확대 적용 가능 주요 변경 사항 제조업 특성의 요구사항을 확대, 재편성 서비스, s/w, 공공부문 적용 가능

  37. 결 론

  38. Quality Management Process Model Quality Management System Continual Improvement Management responsibility 고 객 고 객 만 족 Measurement, Analysis, Improvement Resource management 요 구 사 항 Product realization ` Product Service Quality Management System

  39. 품질의 평가 품질을 평가하는 데는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 제품 그 자체를 평가하는 방식 • 제품을 생각해 내는 과정과 방법을 평가하는 방식

  40. 기존 ISO의 부정적인 모습 • 관료적이고 경직화 • 짜맞추기식의 형식적이 프로세스 개선 • 인증서 자체를 목적화 • 사후관리의 부실

  41. ISO 9000:2000 ver. 지속적인 프로세스의 개선, 고객의 요구사항 파악하여 고객만족 실현

  42. ISO와 BPR의 연계성 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업무를 프로세스 관점에서 효과성과 효율성을 증진, 재구성 생산성의 혁신적 향상 경쟁력을 갖춘 system 구축,강화

  43. 기업의 대응방향 • 전사적 표준화 • 시스템 성과의 측정과 개선 • → ‘문서와 실행의 괴리’를 타파하여 실질적 대응 • 품질보증(QA) 차원에서 품질경영(QM) 차원으로 도약의 기회 • 경영자의 의지

  44.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