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4

‘마음’의 개념: 인지과학적 재조명

‘마음’의 개념: 인지과학적 재조명. 부산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콜로퀴엄 2002년 5월 17일 이정모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인지과학과정 jmlee@yurim.skku.ac.kr http://cogpsy.skku.ac.kr/. " 무릇 '함'이 곧 '앎'이며 '앎’이 곧 '함'이다. '삶이 곧 앎이다.' - (마투라나, 바렐라(1995) ).

alyssa
Download Presentation

‘마음’의 개념: 인지과학적 재조명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마음’의 개념:인지과학적 재조명 • 부산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콜로퀴엄 • 2002년 5월 17일 이정모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인지과학과정 jmlee@yurim.skku.ac.kr http://cogpsy.skku.ac.kr/

  2. "무릇 '함'이 곧 '앎'이며 '앎’이 곧 '함'이다. '삶이 곧 앎이다.' -(마투라나, 바렐라(1995) )

  3. "Human nature is not found within the human individual, but in the movement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in the worlds of artifact use and artifact creation. (Engestroem, Mietttinen, & Punamaeki, 1999) • "To be human requires sharing with nonhumans.” (Latour, 1994)

  4. 고전적 인지과학의 개념적 기초 • 인간의 마음이란, Intellect란 무엇인가? • 어떻게 이를 개념화하고 접근할 수 있는가? • 바탕적 관점: Descartes의 관점에기초 • 이 관점에 기초한 표상주의, 계산주의 인지주의 • 이 관점의 한계 점차 드러남

  5. 고전적 인지과학의 개념적 기초: • - 계산주의/ - 표상주의 • - 인지주의 • - 심신이원론 • - 주체/객체 이원론/ - 마음/행위 이원론 • - 상징주의 • - emotionless cognition • - 이는 모두 데카르트의 관점에 기초함 • Cartesian Theater: • Mind as a theater in the head

  6. 개인적 마음에 초점 not: shared mind (공유된 마음 아님) • rational mind = 인지 • 신체, 물질적 특성과 독립적인 마음 • 주체와 객체의 분리 • activity, action 과 situation 의 측면이 배제된 추상화된 마음의 내용

  7. Fodor’s 모듈: 고전적 인지주의의 전형 • Mind = a mixed architecture • 지각체계= 외부세계정보를 중추체계에 전달하는 기능 • => modular / reflexive systems • 중추체계 = 여러 자료원에서의 정보를 통합하여 세상에 대한 well-grounded belief 도출 기능 • => nonmodular /reflective systems • 지각과 인지: 불연속적 • detached from the real world

  8. 최근의 움직임 • - 탈 데카르트적 움직임 • - 보다 넓은 macro-explanation추구 • - unit of analysis의 변화 • - 환경과 괴리되지 않은 마음 • - 연구방법론의 변화, 연구 주제의 확장 • - 주체/ 객체/ 매개 인공물 (도구/상징)의 통합: • - mind as activities • - 다원적 설명 levels of explanation

  9. 마음/환경/인지/행위활동 등에 대한 그리고 인지과학적 접근에 대한 개념적 기초(conceptual foundations)의 재구성이 요청됨 • downwards-pull (뇌(몸)의 되찾음) • outwards-pull (환경의 되찾음)

  10. 마음이란? • 환경과 인공물, 인공체계 등에 • 확장된 마음(extended mind) • 분산된 마음 (distributed mind) • 상황지워진 마음 (situated mind) • 사회적으로 공유된 마음 (socially-shared mind) • 활동으로서의 마음(mind as activities) • **- 인지생물학/ 담화심리학/ 상황인지심리

  11. 마음의 협회: (Society of minds) • Complex Minds -> Simple Minds • Natural Minds -> Artificial Minds • 인간의 마음, / 고등동물의 마음/ .=> 하등동물의 마음, • - 상징체계의 마음, • - 반사적(reflexive) 로보트의 마음, • 인간 마음의 수준을 초월하는 미래 컴퓨터의 마음 등의 • 多 수준의 마음들로 개념화되어야.

  12. 자아(self) • 단일의 통일된, 자아가 존재함 부정 • -그렇다고 해서 self가 중앙통제적 감독기도 아니고 • 여러 분할된 小-selves의 합도 아님 • 환경과의 상호작용 활동의 순간 순간에서 enaction되는 바의 • Gestalt의 불가분의 두 측면(자아-세상)의 하나임 • changing play of subject-object relations 반영

  13. Gibson • 지각은 - emergent 현상 • direct perception 접근 • 지각자와 지각된 환경이 동일한 지각의 두 기둥일 뿐, 결코 분리되지 않음 • 고로 환경 속의 마음 강조 • -affordance : 세상이 지각자에게 제공하는 바 가능성 => 정보 • 이해 대해 유기체는 조향(attuning) • - 지각과 action연결 시도

  14. 재개념화된 마음 문제를 다루는 접근 • 1. Downwards-Pull (뇌의 되찾음) • 인지신경심리 접근 • 연결주의 • 진화심리적 접근 • 2. Outwards-Pull (환경의 되찾음) • 생태학적 접근, • 동역학체계적 접근, • 진화심리적 접근 • 사회/문화적, 상황적 접근:- activity 로서의 마음 • 3. 발견법, 편향 연구 • 추리/판단의 오류, 휴리스틱스 연구

  15. 뇌(몸) 의 되찾음: downwards-pull • 몸(뇌) 과 독립적으로 개념화 되는 마음 개념에서 => 뇌 의존적, 뇌에 바탕한 마음 개념으로의 변화 • Brain-Based-Mind (BBM) • 환원주의적 접근의 재 등장 • 인지신경과학적 접근 부상 • 진화론과의 연결 • 그러나 고전적 인지주의의 계산주의 유지 • mind in the brain container 메타포 유지 • 극단의 환원주의적 입장 있음

  16. Neural Modules • 뇌의 기능적 구조요소 • 신경학적 용어로만 기술됨 • 지식(촘스키모듈)이나 계산(Fodorian모듈) 없이도 순수한 신경적 과정으로 인지기능 설명 가능

  17. 연결주의 접근 • brain-metaphor 도입 • 계산주의 유지 • 비상징체계 • 비표상체계라고도 볼 수 있음 • lower-level 중심 설명

  18. 발견법, 편향 연구: 오류,휴리스틱스 • 마음은 데칼트식의 논리적 합리성을 지닌 것이 아님 • 논리적 합리성 보다는 실용적 합리성 추구 • bounded rationality • adaptive minds - heuristics • simple minds • two types of cognition - association (heuristics) based - rule (algorithms) based • mind as a hybrid system = 상징체계 + 비상징체계 + ?

  19. 환경의 되찾음: outwards-pull • 새로 던지는 물음: • 내 마음은 언제 어디에 어떻게 존재하는 것인가? • 내 마음과 환경과의 경계는 어디에 존재하는가? • 마음의 존재의 이유 • 마음의 기능은 무엇인가? (진화적 입장 전개)

  20. -> 마음의 본질에 대한 물음의 재구성 • -> 전통적 정보처리적/ 계산주의 재구성/ 표상주의에 대한 한계와 회의 제기 / 뇌속의 그릇(Container)메타포 벗어남 • => << 새로운 접근 부상 >> • 1. 마음/인지의 재개념화 시도 • 2. 과학적 설명 자체의 재개념화 시도 • - 단일적/선형적 인과적 설명의 한계 • - 다원적/비선형적 설명의 수용

  21. 새 관점의 배경 • - Heidegger(62)의 실존현상학 • - Gibson(79)의 생태학적 지각 접근 • - Maturana & Varela(80) 의 embodied cognition • Searle(69)의 話行speech acts 이론 • - Lakoff(87): embodiment of image schema 이론 • - Hutchins(95) 등 인류학자의 지식의 사회문화적 제약 이론/ 인공물과 외적 표상 개념

  22. - Brooks(91)의 무표상적 reactive robotics • -비표상체계 • - Donald(91) 등의 진화론적 관점 • - Winograd & Flores(86): 인지/컴퓨터 디자인 론 • - activity theories (Leont'ev, Wertsch, Lave 등) • - Kahneman & Tversky 등의 판단/ 결정 연구 • - Vygotsky의 사회적 마음

  23. 대안적 접근의 윤곽 • 삶 속의 마음의 과제는 실세계, 실시간적 용어로 파악됨 • 탈 중심화된 (decentralized, 즉 unified single self가 없는) 해결 • 마음과 계산의 확장된 전망 • 계산적 과정은 시공간에 확산/확장됨 • 마음과 환경이 독립적인 것이 아님 • 마음은 환경에 embedded • * contextual bounded-ness

  24. 마음 개념의 확장 • 담화적(discursive) 마음 = mind as a social construction of discourses. • 물리적/사회적 환경에 구체적인 몸 속에 구현된(embedded) 마음, • 비표상(nonrepresentation) 체계로서의 마음, • 환경과 상호작용 할 때에 비로소 존재하게 되는 마음,

  25. not: 많은 innate & static 지식이 내장된 단원적 modules로서의 마음 • but:최소한(Less)의 지식/표상을 지니고 있지만, 환경과의 상호작용 가운데서 매 상황에 대한 역동적 적응 반응들이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순간적 앎의 연결들로서 많은 것을 이루는 마음 • but:여러 다른 마음들 (multi-agents: 타인, 컴퓨터, 문화시스템, 기타 도구)에 의해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으로 제약되고 결정되는 마음

  26. <표상에 대한 관점의 변화> • 표상의 존재, 그 필요성에 대한 관점이 변함 상황지워진 맥락에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실시간적으로 드러나는 인지적, 학습 구조는 내적인 별도의 표상을 전제함이 부적절함을 시사 ⇒ 비표상주의(Non-representationism)관점 제기 *Action models - 인지는 대상 조작, 활동, 기술 - Vygotsky : 인지는 사회적 세계에서의 action - Harre : 사회적 행동이 인지의 연장이 아니라 인지가 사회적 행위의 연장

  27. 비표상(주의)관점 • 심리학의 관점을 밖으로 움직임 • 심리학의 기본 대상이 actions • 심리학의 기본 관찰 대상이 현상적 측면 • 단순한 적응적 지능(adaptive intelligence)

  28. <동력학 체계 :> Mind as a Society of Dynamic Systems • 인지과정이란 계산적 정보처리가 아니라 • Evolving in an abstract space of possible states • A trajectory through a series of states • Cognition is basically skillful coping with the world, which can be done without explicitly representing it. • It is temporal, • because of this interaction with the world, rather than static representational structures mirroring nature. • 인간과 하위동물과의 연속성 강조 • 환경과의 연결강조

  29. 반 데칼트 입장 • 자연주의적 입장 • 전통적 입장 • 표상, 정적상태, 지식구조 강조, 백과사전적 입장, 인간 마음의, 인지의 stability 강조/ variability를 지식표상 구조에 의해 설명 • 동역학적 입장 • 활동 의존적 과정으로서의 지식 • 순간적 과정의 연계로서의 지식 • 안정성과 변이성은 복잡한 역동체계들의 實시간(real time) 활동의 joint 산물

  30. <Activity Dependent Structure/Processes> • 두뇌의 감각/운동/지각 영역의 구조가/과정이 • 그리고 지식이 ⇒ 순간적 앎만 있지, 지속적 지식 표상은 없다. • Edelman Þ role of perceiving in knowing • 앎 := 현시점의 즉시적 지각경험 + 최근의 지각 경험 역사 + 전생애적 개체의 발달 역사 + 그 종의 진화 역사

  31. Self-organization processes : • Knowing is the dynamic product of a moment in time • a product that integrates immediate sensory input, current internal activity & developmental and evolutionary history of the organism. • Reactive robotics 연구 ⇒ 환경의 속성들에 의해 다소 직접적으로 제어됨. 단순한 적응적 지능(adaptive intelligence)

  32. Autonomous Robots: Brooks • 전통적 AI연구: 사람들이 가진 인지 능력의 조그만 일부분을 연구의 대상 영역으로 삼음 • -reactive robotics 연구: 상대적으로 단순한 행위자(실제든 흉내낸 것이든) 이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행동적(activity) 능력을 연구의 대상 영역으로 삼은 경우. • - activity-producing subsystem -표상 없이 입력-> 행위 • - > “경쟁하는 행동들의 모음” 일뿐

  33. 비표상체계(nonrepresentational system) • < 비표상체계 관점 > Brooks, Shannon 등 • 표상의 존재, 그 필요성에 대한 관점이 변함 • 상황지워진 맥락에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실시간적으로 드러나는 심적, 인지적, 구조는 내적 별도의 표상을 전제하는 것이 부적절함을 시사

  34. Action selection관점(Franklin, 1995) • : 마음이란 자율적 agent의 action selection mechanisms (paradigms) • - 마음의 주 과제는 다음 행위의 산출 • - 마음은 행위를 산출하기 위하여 기억 생성 • - 마음은 수많은 별개의 시스템에 의해 가능하여짐 • - 마음은 불연속적인(Boolean) 것이 아니라 연속적인 것

  35. 진화심리학: Cosmides & Tooby 등 • 뇌: Not: massive-general purpose Learning machine • 뇌는 물리적 체계- 환경에 적합한 행동 생성하도록 designed • 뇌신경회로 특성은 진화 과정에서 자연선택 과정에 의하여 조성됨 • 진화 초기 단계의 상황별 문제해결 위한 특수 신경회로 모듈들이 진화됨: specialized modules • 영역특수 절차를 지님 • 원시 hunter-gatherer 시절의 심적 반응, 처리 특성이 잔존

  36. Brunswick: - probabilistic functionalism • 마음은 환경 자극 사이의 관계성 구조 탐색하여 반응 구조와 부합되게 하는 계산 수행 • 새로운 메타포: - 마음은 통계학자 • 유기체의 행동은 본질적으로 확률적, • 인간 지각 = 직관적 통계학자 • 원격 환경 단서와 반응 사이의 관계를 확률적 관계로 처리 • 적응 달성의 기능 • 많은 단서를 조합 계산하여 반응 산출

  37. Simple Heuristics: Gigernzer • Mind as an intuitive statistician • Brunswick: 현재(환경구조) 적응측면에 초점 • Gigerenzer: 현재와 과거(환경구조+역사) 측면 포함 • 앨고리즘적 계산이 아니라 휴리스틱스적 계산 • 생태적 합리성 원리에 의하여 계산, 반응 생성 • 환경에 적합한 휴리스틱스 적용 • 빠르고 검약한 휴리스틱스 Fast-Frugal Heuristics • [환경구조] X [ 휴리스틱스] 구조

  38. Darwinian Modules • 진화 모듈들 • 영역 특수적 • Mind => 영역 특수적 절차를 지닌 기제나, 영역 특수적 표상에 작용하는 기제들로 이루어진 것 (Cosmides & Tooby, 1994) • 계산 기제 Computational mechanisms • 유전적 요인에 의해 대부분 도는 전적으로 결정되는 특성을 지닌 인지구조 • 그러나 이에 사회문화적 영향 결정 추가 입장 제시

  39. 자연선택 Natural selection의 산물 • 적응 • 원시 수렵-사냥시대의 적응 방식에 기반함 • 모든 인간이 보유하고 있는 보편적 특성 – 문화적 보편성이 내적 표상화 • 예: • 속임자 탐지 모듈 cheater detector module • 위배자 탐지 모듈 violation detector module

  40. Massive modularity • Massive modularity hypothesis(MMH) • 마음은 대분분 또는 완전히 다윈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 Mind = 원시 수렵시대의 인류의 선조들이 당한 적응적문제들을 해결하기위해 고안된, 진화된 수백, 수천의 기능적 컴퓨터들 (모듈들)의 협동공동체 • 각 모듈 => 자체의 계획, 과제, 조직

  41. Karmiloff-Smith • representational-re-description • 마음은 모듈 형태로 출발하는 것 아님 • 환경에 노출되어 점진적으로 모듈화 됨 • 성인이 되어서도 모듈적인 특성을 지닌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음 • 경험이 단순한 parameter setting은 아님 • 맥락 민감적 융통적인 체계임

  42. 상황지워진 활동으로서의 마음 • mind as situated activities, mediated activities • 개인이 아니라 개인과 사회적, 물리적 환경의 상호작용 강조 • 정보의 처리를, 정보의 구조와 외적 변화에 대한 가능한 행위를 연결시켜 정보가 생성되는, 해석되는 과정 = 인지 • 비선형적, 비인과적 설명 개념 인정 • 새로운 분석단위 제시: • 객체지향적, 집단적, 문화매개적 인간활동

  43. 1. 마음은 뇌 속에 캡슐화 된 것이 아니라, • - 인간과 환경(물리적, 사회적)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구현됨. • - 고로 환경과 괴리된 마음이란 불가 • - 인공물 (artifacts), 외적표상이 일상 문제해결에서 사용됨 • 2. 실제 세상의 구조가 인간 행동을 제약, 인도 - 인간의 내적(심적) 조직화 특성이 환경의 변화를 결정할 수도 있음

  44. 3.- 인간의 마음은 경험되는 상황 또는 어떤 범위의 상황들과 완전히 괴리되거나 탈맥락화 될 수는 없음 • 4. - 상황에서 지각된 기능적 측면을 -> 운동적 행위로 "직접" 전환하는 생득적-내재적(built-in) mechanism 有 • 5. - 환경이 제공afford하는 바는 환경에서의 불변성(invariants)이며 단순히 pick-up하기만 하면 됨. 직접 지각되기에 정보처리나 표상이 필요 없음

  45. 자연의 거울(Mind as a Mirror of the nature)로서가 아닌 제어기로서의 마음(Mind as Controller) • - 뇌는 외부의 사태에 대한 내부 記述description들의 저장장소가 아님 • - 뇌는 행위결정 관련 연산자/조작변수operators로서 작동하는 내부구조들의 장소 • 행위-지향적 표상 (action-oriented representations):

  46. <Mind as mediated activities:- Vygotsky> • 마음은 문화,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서 구성됨 • 인간과 인간의 관계는 문화적 도구 ( 언어) 매개에 의해 •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도구에 의해 매개된 행위가 기본 • 사회적 과정이 일차적이고 이것이 내면화 유사 과정 거쳐서 마음이 내용, 행위가 됨 • 사회문화적 도구가 마음을 가능하게 하고, 제약함 • 마음은 분석보다는 매개된 행위로서 기술되어야

  47. 마음의 본질 : 기회주의적 • - minimal computation/ representation--: • - maximum improvising, adlib (상황에서 단서 활용하여) -: • '내 마음의 도구, 행위의 도구는 내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they are out there' • -> indexicalized representation

  48. Indexicalized Representation • - 많은 내용을 기억 속에 explicit하게, 표상화하지 않고 • - implicit 상태로 환경에 내재화하게 내버려 두는 데에 있음 • (distributed representation, extended cognition) • - 환경의 역할: indexical 표상 • - 그리고 상황이 주어지면 이러한 환경 맥락 단서(index)에 근거하여 최대한으로 improvise, adlib 함 • 인공물 => meaning construction activities

  49. 종합 • 그릇으로서의 뇌에 담긴 마음 메타포 수정 • 마음, 몸, 환경의 경계선 없음 • 마음의 내용인 표상을 인정한다면 • 이는 외부 환경 자극에 대한 추상화 표상이 아니라, • 행위관련 연산자, 조작자로서 작동하는 표상 • 행위 지향적 표상 • 이 행위 지향적 표상의 구조와 환경의 구조와 대응, 매칭, 부합coupling 시키는 과정에서 • 환경의 물리적 세계(실재론) • 추상적 내적 관념 세계 (관념론) 도 아닌 • 행위-마음( activities-mind) 세계가 가능 • 행위-처방: 경향성으로서 마음에 존재 • 마음 = 환경과 관계 맺기 how to relate 활동

  50. Not , but • 많은 정보를 명시적 표상으로 뇌에 저장 • 환경에 최대한 분산표상, 뇌 내에 최소한 표상 • 최소한 정보처리, 인지경제 원리 따름 • saticeficing - 제한 시간 내에 적당한 적응적 결과 도출 • 논리적 합리성, 앨고리즘 중심 처리 • 실용적 합리성, 휴리스틱스적 , 기계적 처리 • 오류 무릅씀 : errors - 자연스럼 • simple heuristics 적, 확률적 • 진화역사적 특정 상황에 적합한 행동양식 (모듈) 유지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