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9

정조의 죽음에 관한 진실

정조의 죽음에 관한 진실. 3427 차 재 현. 정조 ( 正祖 ). 조선 제 22 대 왕으로 , 영조의 손자이다 . 자신의 아버지가 노론에 의해 죽었기 때문에 재위 기간 동안 노론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 . 그러나 정조의 죽음에서 석연치 않은 부분이 발견되어 몇몇 역사학자들은 정조의 독살을 의심하고 있다. 정조의 죽음에 관한 학설. 1. 등창에 의한 사망 ( 현재 정설 ). 2. 뇌혈관성 질환에 의한 사망. 3. 독살. 등창에 의한 사망. ■ 정조 실록

Download Presentation

정조의 죽음에 관한 진실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정조의 죽음에 관한진실 3427 차 재 현

  2. 정조(正祖) 조선 제 22대 왕으로, 영조의 손자이다. 자신의 아버지가 노론에 의해 죽었기 때문에 재위 기간 동안 노론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 그러나 정조의 죽음에서 석연치 않은 부분이 발견되어 몇몇 역사학자들은 정조의 독살을 의심하고 있다.

  3. 정조의 죽음에 관한 학설 1.등창에 의한 사망(현재 정설) 2.뇌혈관성 질환에 의한 사망 3. 독살

  4. 등창에 의한 사망 ■ 정조 실록 -. 1800년 6월 4일 부스럼이 나기 시작 -. 6월 14일 (열흘 후)부터 치료 시작 -. 6월 28일 사망

  5. 뇌혈관성 질환에 의한 사망 정조는 평소 답답함을 느끼고 화를 주체하지 못하는 화병의 증세를 재위 동안 보였다고 한다. 이런 기록과 사망 하루 전 정조가 의식을 잃었다는 점에서 뇌졸중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6. 독살 (毒殺) 연훈방 치료 : 정조가 받았던 치료이 치료를 받을 경우 수은 중독의 위험이 높아진다. 2. 인삼 사용 : 어의인 심인이 등창에 부작용을 유발하는 인삼을 사용했다. 이로 인해 등창이 더욱 심해졌다. 3. 죽음 미인지 : 주자소의 벽을 새로 칠함(사암선생연보) 정약용을 부른 날짜가 정조 사망 다음날임. → 신하를 부르기 위해 준비를 하고 신하가 오기하루 전 죽는다는 것은 이해가 어려움 → 자기 죽음을 인지하지 못함.

  7. 독살의 용의자 용의자 : 심환지 -. 정조를 싫어했던 노론. -. 정약용 역시 범인으로 심환지를 지목 “심환지는 자신에게 가해질 보복이 두려워 그런 일을 했다”고 지목 -. 어의인 심인과 심환지의 관계 - 친척 그러나...

  8. 정조와 심환지의 관계 2009년 2월 9일, 독살을 반박하는 서찰이 발견되었다. 그 서찰은 정조와 심환지의 관계를 나타내 주고 있었는데, 정조는 개인적인 안부를 전하며 그의 소식을 기다렸고, 또한 ‘그의 아들이 합격하는 경사를 보여주고 싶다’ 라는 등의 관심도 나타내었다. 또한 둘이 사전에 약속을 하고 정치를 이끌어 나가기도 하였다. 이것으로 보아 둘은 대립하는 관계가 아닌 정치적 파트너였다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정조가 사망한 날 심환지가 영의정에 오르고, 정조의 정책을 뒤집었다는 점은 위 주장에 의문을 남긴다.

  9. 정조의 죽음은 아직까진 미스터리지만, 먼 훗날 누군가가 밝혀내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