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9

Part 03-3

Part 03-3. NOS (Network Operating System). Windows 2000 서비스 설정 Windows 2003 Server 리눅스 (Linux). 8. Windows 2000 서비스 설정. 8-1. 웹서비스 (IIS) 8-2. DNS 8-3. FTP 8-4. DHCP 8-5. WINS 8-6. 터미널 서비스 (Terminal Service). 2. 8-1. 웹서비스 (IIS).

annot
Download Presentation

Part 03-3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Part 03-3 NOS(Network Operating System) • Windows 2000 서비스 설정 • Windows 2003 Server • 리눅스(Linux)

  2. 8. Windows 2000 서비스 설정 8-1. 웹서비스(IIS) 8-2. DNS 8-3. FTP 8-4. DHCP 8-5. WINS 8-6. 터미널 서비스(Terminal Service) 2

  3. 8-1. 웹서비스(IIS) •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의 약자로 ‘인터넷 정보 서비스’를 뜻한다. • IIS 4.0 -> IIS 5.0 • IIS 5.0 에는 www에 웹사이트를 게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HTTP Server가 있다. HTTP 서비스 설정 • HTTP는 인터넷상에서 웹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문서를 전송 하기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 IIS 5.0에서는 이러한 서비스의 관리자를 위하여 GUI 형식의 관리 도구를 제공. • IIS 5.0은 Windows 2000 Server의 기본 구성 요소로 포함되어 있다.

  4. 8-1. 웹서비스(IIS)계속 HTTP 서비스 추가 • 인터넷 서비스 관리자 창을 띄운 뒤 컴퓨터 이름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눌러 나타난 • 메뉴에서 ‘새로 만들기’의 ‘웹사이트’를 선택한다. • 차례대로 실행하면 사이트의 IP주소 및 포트 번호,웹사이트의 권한을 설정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 사이트 마법사를 마치고 IIS 5.0을 보면 새로운 웹사이트가 추가된 것을 볼 수있다. 웹사이트 관리 • IIS 5.0을 실행시켜 관리하고자 하는 사이트를 선택. • 아래 내용들을 이용해 관리. • 웹사이트 • 운영자 • 성능 • ISAPI 필터 • 홈 디렉토리 -문서 -디렉토리 보안 -HTTP 헤더 -사용자 정의 오류 -Server Extensions

  5. 8-2. DNS DNS 서버 설정 • Windows 2000 Server 부터는 DNS 서비스를 DDNS(Dynamic DNS)라고 한다. • 호스트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등록해준다. • DDNS 때문에 Windows 2000 Server에서는 DNS 레코드 추가를 DHCP와 같이 연동 할 수 있다. DDNS와 DHCP의 연계 • Windows 2000 Server의 DDNS 서버를 동적인 업데이트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해당 영역을 선택, • 등록정보를 선택하여 ‘동적 업데이트를 허용하시겠습니까?’란에 ‘예’로 선택. • DDNS 동적 업데이트 설정이 끝나면 DHCP 관리 도구에서 IP Pool에 등록정보를 연다. • 등록 정보의 [DNS] 탭에서 ‘DNS에서 DHCP 클라이언트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선택.

  6. 8-3. FTP FTP 서버 설정 •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의 파일 전송을 지원하는 통신규약이다. • IIS 5.0이 지원하는 FTP도 HTTP와 마찬가지로 인터넷 서비스 관리자에서 부터 시작한다. • IP 주소 및 포트 설정, FTP 사이트 홈 디렉토리, FTP사이트 액세스 권한을 설정한다. FTP 사이트 관리 • IIS 5.0을 실행, 관리하고자 하는 FTP 사이트를 선택. • 등록정보를 선택하면 FTP 사이트, 보안 계정, 메시지, 홈 디렉토리, 디렉토리 보안을 설정 할 • 수 있다.

  7. 8-4. DHCP DHCP 서버 설정 • DHCP 서버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꼭 정적인 IP가 하나 필요하며 클라이언트에게 빌려줄 • IP 주소 풀(범위)이 필요, 네트워크상에 DHCP 서버가 하나 이상일 경우 서로 범위가 중복되지 • 않도록 설정. DHCP 서버의 범위 관리 • DHCP 범위의 설정이 완료 되고 DHCP 관리 도구의 서버 이름 밑에 범위가 나타난다. • 하나의 범위에는 4가지의 메뉴가 나타나는데 추가된 범위의 표시를 볼 수 있다.

  8. 8-4. DHCP(계속) DNS 레코드의 동적 갱신 • Windows 2000 Server에서는 동적 레코드 갱신을 지원한다. • DHCP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된 정보를 DNS 서버로 갱신된 정보를 업데이트 해준다. DHCP 클라이언트 설정 • 바탕화면에 네트워크 환경의 아이콘을 선택해 등록정보를 연다. • 로컬 영역 연결을 선택한 뒤 등록정보를 연다. • 인터넷 프로토콜(TCP/IP)를 서택한 뒤 등록정보를 연다. • ‘자동으로IP주소 받기’에 선택,’자동으로 DNS서버 주소 받기’를 선택한다.

  9. 8-5. WINS 서버 개요 Micorsoft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NetBIOS를 사용. NetBIOS 이름은 네트워크 호스트를 구별하는 이름으로 사용. 모든 호스트와의 통신은 Broadcast를 사용해 통신을 하게 된다. 서버의 이해 WINS 서버는 NetBIOS 이름을 IP 주소로 해석해 주는 서버. WINS 서버 사용시,NetBIOS이름과 IP주소정보를 WINS 서버에 등록. WINS 서버에게 다른 호스트의 이름 해석 요청을 하게되는데, Broadcast를 하지 않기 때문에 패킷을 줄일 수 있다.

  10. 8-6. 터미널 서비스 개요 원격지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로 기존의 telnet, rlogin과는 다른 성격을 지닌다. 모드 • 응용 프로그램 모드 • 원격 관리 모드

  11. 9. Windows 2003 Server 9-1. Windows 2003 Server의 종류 9-2. Windows 2000 Server와의 차이점 9-3. Windows 2003 Server 보안 11

  12. 9-1. Windows 2003 Server의 종류 Windows 2003 Server, Standard Edition • Windows 2003 Server, Standard Edition은 비즈니스 솔루션을 제공해 주는 안정적인 네트워크 • 운영 체제이다. • 특징 •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지원한다. • 안전한 인터넷 연결을 제공한다. • 중앙 집중화된 데스크톱 응용 프로그램 배포가 가능하다. Windows 2003 Server, Enterprise Edition • Windows 2003 Server, Enterprise Edition은 모든 규모의 비즈니스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도록 • 개발되었다. • 특징 • 최대 8개의 프로세서를 지원하는 완전한 기능의 서버 운영 체제. • 8노드 클러스터링 및 32GB 메모리 지원 등의 엔터프라이즈급 기능을 제공한다. • Intel Itanium 기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 • 8개의 프로세서와 64GB의 RAM을 지원하는 64비트 컴퓨팅 플랫폼에 사용 가능.

  13. 9-1. Windows 2003 Server의 종류(계속) Windows 2003 Server, Datacenter Edition • Windows 2003 Server, Datacenter Edition은 가장 높은 수준의 확장성, 기용성 및 안정성을 요구 • 하는 중요한 응용 프로그램용으로 개발되었다. • 특징 • 역대 Microsoft가 개발한것 중 가장 강력하고 기능적인 서버 운영 체제이다. • 최대 32웨이 SMP와 64GB RAM을 지원한다. • 8노드 클러스터링과 로드밸런싱 서비스를 표준 기능을 제공한다. • 32개의 프로세서와 128GB의 RAM을 지원하는 64비트 컴퓨팅 플랫폼에 사용할 수 있다. Windows 2003 Server, Web Edition • Windows 2003 Server, Web Edition은 웹 서버와 호스팅을 위해 제공되는 제품이다. • 특징 • 웹 응용 프로그램, 웹 페이지 및 XML 웹 서비스를 구축하고 호스팅할 수 있도록 지원. • 기본적으로 IIS 6.0 웹 서버로 사용되도록 설계되었다. • .NET Framework의 핵심 부분인 XML 웹 서비스와 ASP .NET 기술을 사용한 응용 프로그램을 • 신속하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 배포 및 관리가 쉽다.

  14. 9-2. Windows 2000 Server와의 차이점 • 향상된 Active Directory 기능 • 그룹 정책 관리 콘솔 • 정책 결과 집합 • 불륨 섀도 복사본 복원 •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6.0 • 통합 .NET Framework • 명령줄 관리 • Clustering (eight-node support) • 안전한 무선 LAN (802.1X) • 응급 관리 서비스: 헤더 없는 서버 지원

  15. 9-3. Windows 2003 Server 보안 업무 수행을 위한 플랫폼 • 인터넷 연결 방화벽 • 안전한 IAS/RADIUS 서버 • 안전한 무선 및 이더넷 LAN • 소프트웨어 제한 정책 • 이더넷 및 무선 LAN • 향상된 웹 서버 보안 • 오프라인 파일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 FIPS 규격, 커널 모드의 암호화 모듈 • 새로운 다이제스트 보안 패키지 • 향상된 시스템 보안 • 자격 증명 관리자 • 향상된 SSL 클라이언트 인증

  16. 9-3. Windows 2003 Server 보안(계속) 공개 키 인프라를 위한 플랫폼 • 인증서 자동 등록 및 자동 갱신 • Windows Installer 디지털 서명지원 • 향상된 인증서 해지목록(CRL) 인터넷 사용을 위한 보안 플랫폼 • Passport 통합 • 교차 포리스트 트러스트

  17. 10. 리 눅스(Linux) 10-1. Linux 일반 10-2. Linux 기본 관리 10-3. Linux 서비스 설정 10-4. Linux 패키지 관리 17

  18. 10-1. Linux 일반 리눅스 개요 • 1991년 핀란드 헬싱키 대학 대학생인 리누즈 토발즈에 의해 개발. • 학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대형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유닉스를 PC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 하기 위해 만든 것이 현재 리눅스의 모태. 리눅스 배포 • 1991년 인터넷을 통해 일반인들에게 최초로 공개 • 국내에서 리눅스가 본격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1993년이다. 리눅스용 응용 프로그램 • 리눅스는 오픈소스 이기에 전 세계 프로그래머들이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자발적으로 참여. • 실제로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이 그들의 손에 의해 개발.

  19. 10-1. Linux 일반(계속) 유닉스 • 안전성과 네트워크에 강하기 때문에 주로 서버 운영체제 많이 사용됨. • 운영체제가 컴퓨터에서 동작 중 중지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뜻. 리눅스 VS 유닉스 • 리눅스는 유닉스를 모체로 하고 있다. • 유닉스운영체제가 고가여서 일반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렵다. • 리눅스가 PC용 유닉스로 알려지면서 개인 사용자들도 PC에서 유닉스 운영체제를 맛보게 되었다. • 인터넷이 처음 사용된 운영체제는 유닉스이다.

  20. 10-1. Linux 일반(계속) 리눅스의 커널과 쉘 • 개요 • -쉘은 도스의 command.com 이나 윈도우의 explorer.exe 처럼 사용자가 내린 명령어를 해석 • 해주거나 인터페이스를 규정 지어주는 역할을 한다. 쉘의종류 • 대부분 리눅스에서는 기본으로 본쉘을 업그레이드한 Bash를 사용. • 종류 • -본쉘 : 최초의 유닉스 쉘이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유닉스 시스템에서 대부분 본쉘을 응용한 쉘 • 사용. • -C쉘 : 본쉘보다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더 좋음. • -콘쉘 : 본쉘과 C쉘의 단점을 제거하여 효율적이고 상호작용과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가 모두 • 좋은 쉘.

  21. 10-2. Linux 기본관리 부팅 프로세스 • Power ON • POS • LILO or GRUB • 가. LILO • 나. GRUB • 4. Kernel Booting • 5. Init process • 6. Login

  22. 10-2. Linux 기본관리(계속) 런 레벨(Run level) /etc/inittab 파일 ▶ • 1. 런레벨0 : 시스템을 종료 할 때 사용되는 런레벨. • 2. 런레벨1 : 단일 사용자 모드로 시스템을 복구 할 때 사용. • 3. 런레벨2 : 네트워크를 지원하지 않은 다중 사용자 모드. • 4. 런레벨3 :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중 사용자 모드로 텍스트 모드이다. • 5. 런레벨4 :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 6. 런레벨5 :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중 사용자 모드로 X윈도우를 실행시킨다. • 7. 런레벨6 : 시스템을 재부팅하기 위한 런레벨이다.

  23. 10-2. Linux 기본관리(계속) 파일 시스템과 복구 • 파일 시스템의 개요 • - 시스템 디스크나 파티션 그리고 파일 시스템의 형식을 말할 경우에 쓰임. • 파일 시스템 구조 • - 슈퍼블록, 아이노드, 데이터 블록, 디렉토리 블록, 간접 블록, 홀 • 파일 시스템의 종류 • - Minix, xiafs, nfs, Ext • 저널링 파일 시스템 • 가. EXT2 단점 • - 캐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디스크로 저장하는 도중 시스템이 다운또는 문제점 발생. • 나. EXT3 • - EXT2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저널링 기능을 추가해서 소개된 파일 시스템.

  24. 10-2. Linux 기본관리(계속) • 파일 시스템 복구 명령어 fsck • -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을 점검하거나 문제가 있을 경우 복구 해주는 명령어 -fsck /dev/dsa1 : /dev/dsa1 드라이브를 검사한다. -fsck –A :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장치를 검사한다. -fsck –t ext3 /dev/sda1 : 파일 시스템을 ext3로 하여 검사, fsck.ext3 /dev/sda1와 동일. -fsck –r –t ext3 /dev/sda1 : -r 옵션은 복구할지 여부를 물어보도록 한다. -fsck –a –t ext3 /dev/sda1 : -a옵션은 자동으로 복구하도록 한다.

  25. 10-3. Linux 서비스 설정 서비스 설정 도구 • Serviceconf • X-Windows 기반의 설정 도구 X윈도우의 serviceconf 실행 화면 ▶

  26. 10-3. Linux 서비스 설정(계속) • ntsysv • 가장 많이 사용하는 툴 중 하나로 serviceconf의 콘솔 버전. 콘솔에서 ntsysv 실행화면 ▶

  27. 10-3. Linux 서비스 설정(계속) • chkconfig • 시스템을 시작 할 때 불필요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를 실행하지 않게 하는 방법. chkconfig 명령 실행 화면 ▶

  28. 10-3. Linux 서비스 설정(계속) 서비스의 시작과 중지 • 서비스를 즉시 시작하거나 중지 하려고 할 때는 /etc/rc.d/init.d 디렉토리 서비스 스크립트 이용. <사용법> etc/rc.d/init.d/service_name start /etc/rc.d/init.d/service_name stop /etc/rc.d/init.d/service_name restart service service_name start service service_name stop service service_name restart

  29. 10-4. Linux 패키지 관리 • RPM (Redhat Package Manager)소개 • - 레드헷 리눅스 상에서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의 설치, 추가, 삭제 등이 용이하도록 제공되는 툴. • RPM 기능 • 업그레이드 기능 • 질의 기능 • 검증 기능 • RPM 구조 • RPM 설치와 제거 RPM의 구조 RPM 패키지 설치화면 ▶ ▶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