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7

Chapter 01. 교수설계 (3) Reigeluth 의 정교화 이론

Chapter 01. 교수설계 (3) Reigeluth 의 정교화 이론. 수업 순서. 지난 시간 보충 (Gagne 수업설계 적용 ) 수업목표 : 처방적 교수설계 모형인 정교화 이론 , 내용요소 제시이론 , 동기이론의 특징을 이해하고 ,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과제 확인 정교화이론 Epitome( 정수 ) 만들어 보기 내용요소제시이론 ARCS 이론  ARCS 적용. 1 . 기본 입장.

aqua
Download Presentation

Chapter 01. 교수설계 (3) Reigeluth 의 정교화 이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Chapter 01. 교수설계(3) Reigeluth의 정교화 이론

  2. 수업 순서 • 지난 시간 보충(Gagne 수업설계 적용) • 수업목표: 처방적 교수설계 모형인 정교화 이론, 내용요소 제시이론, 동기이론의 특징을 이해하고,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과제 확인 • 정교화이론 • Epitome(정수) 만들어 보기 • 내용요소제시이론 • ARCS 이론  ARCS 적용

  3. 1. 기본 입장 • 가네(Gagne)와 마찬가지로 처방적 설계이다. 즉, 학습과제의 유형에 따라서 교수 전략과 방법이 다르게 처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학습 시 ‘의미있는 이해란 무엇인가?’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높이기 위한 상황 별 전략 개발’에 관심을 두고 있다. • 정수(epitome)를제시한 뒤 점차 구체화되고세분화되면서 이미 제시되었던 일반적이고, 간단하면서도 기초적인 내용을 정교화시켜 나간다. 예) 카메라의 줌 렌즈(zoom lens) • 정수(epitome)란 수업내용을 대표하는 몇 개의 일반적이고 간단하면서도 구체적인 아이디어나 원리를 말한다.

  4. 1. 기본 입장 •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사물을 보는 순서 사물의 주변 환경이나 부분들이 속하는 전체의 상황을 먼저 파악하여 사물을 구성하는 부분들이 무엇이며, 그 부분들 사이의 관계 및 조화를 보려고 할 것이다. 이럴 경우 부분들을 자세히 보기는 어렵다. ↓ 전체적인 상황이 파악된 다음은 사물의 어느 한 부분에 렌즈의 초점을 맞추어 구체적인 하위부분들까지 검토하려고 한다. ↓ 사물의 각 하위부분들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한 다음 관찰자는 줌 렌즈를 전체 상황을 볼 수 있도록 다시 조절하여 사물의 다른 부분들을 검토하면서 이전에 관찰된 부분이 전체 상황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다시 확인한다.

  5. 2. 정교화 전략 • 정교적 계열화 1) 특징 • 수업내용을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조직하는 것으로 정수(epitome)의 개념을 활용한다. • 정수(epitome)로부터 시작하여 점점 그 복잡성을 더해가면서 나열되어 계열화시킨다. • 요약하기(summarize)와는 다르다.

  6. 2. 정교화 전략 • 정교적 계열화 * 정수화(Epitomizing)와 요약화(Summarizing)의 비교

  7. 2. 정교화 전략 • 정교적 계열화 2) 정교화의 수준 • 개념적 구조 : 개념들 사이에서 상위, 동위, 하위 개념들을 구분 짓는 구조 • 이론적 구조 : 사건들 사이의 변화관계(원리, 법칙)를 보여주는 구조 • 절차적 구조 : 일련의 절차에 포함된 단계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조

  8. 2. 정교화 전략 • 정교적 계열화 3) 정교화의 과정 • 개념적 정교화 (cont.) 개념적 구조 속에서 가르치고자 하는 개념들을 분석하고 조직하여 상위, 동위, 하위개념들과 관계를 명백히 한다. ↓ 가장포괄적이고 기본적인 개념적 구조를 선택한다. ↓ 가장 포괄적, 일반적 개념을 제시한 다음 구체적이고 덜 포괄적인 것으로 계열화시킨다.

  9. 2. 정교화 전략 • 정교적 계열화 3) 정교화의 과정 • 개념적 정교화 (cont.) 지각의 물질과 변화 (1) 지각의 구성물질 1) 지구의 구조 ① 지각 ② 맨틀 ③ 핵 2) 지각의 구성물질 ① 광물 ② 암석

  10. 2. 정교화 전략 • 정교적 계열화 3) 정교화의 과정 • 이론적 정교화 (cont.) 기초적인 원리를 적용 수준에서 제시한다. ↓ 복잡하고 세부적인 원리를 제시한다.

  11. 2. 정교화 전략 • 정교적 계열화 3) 정교화의 과정 • 이론적 정교화 (cont.) 힘과 물체의 운동 변화 (1)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 운동하고 있던 물체는 그 속력과 방향이 변하지 않는 운동을 계속하며, 정지해 있는 물체는 계속해서 그대로 정지해 있다. 이런 성질을 관성이라 하고, 이와 같은 현상을 관성의 법칙이라 한다. (2) 힘이 작용할 때 물체가 운동하는 동안 힘을 받으면 속력이 변한다.

  12. 2. 정교화 전략 • 정교적 계열화 3) 정교화의 과정 • 절차적 정교화 (cont.) 과제를 달성하는 가장 간단한 행로를 밝혀낸다. ↓ 중요하고 포괄적이며 기초적인 절차를 제시한다. ↓ 구체적인 절차를 제시한다.

  13. 2. 정교화 전략 • 정교적 계열화 3) 정교화의 과정 • 절차적 정교화 (cont.) 혼합물 분리하기 (1) 두부 만들기 콩 50g을 깨끗이 씻어 하루 동안 물에 담가 불린 후, 믹서에 넣고 잘게 간다. 믹서로 간 콩을 넣고, 물 300ml를 부은 다음 끓인다. 체에 깨끗한 헝겊을 펴서 큰 그릇 위에 올려놓고 끓인 콩물을 걸러낸다. 걸러 낸 콩물을 다시 끓인 다음 불을 끄고, 간수를 20ml 넣고 천천히 젓는다. 엉켜 가는 콩물을우유갑에 붓고 헝겊으로 덮고 무거운 것으로 눌러준다.

  14. 2. 정교화 전략 (2) 요약자(Summarizer) • 학습자가 이미 공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복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 요약자의 구성 • 가르친 개개의 아이디어나 사실에 대한 간결한 진술 • 전형적이면서 외우기 쉬운 예 제시 • 각 아이디어에 대한 연습 문제 제시

  15. 2. 정교화 전략 (3) 요약자(Summarizer) • 개개의 아이디어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통합시켜서 새로운 의미와 맥락을 파악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 종합자의 구성 • 한 가지나 그 이상의 지식구조의 형태로 일반성(개념, 원리, 법칙) 제시 • 통합적 예 제시 • 연습문제 제시

  16. 2. 정교화 전략 * 요약자와 종합자의 비교

  17. 2. 정교화 전략 (4) 비유(analogy) 새로운 정보를 친숙한 아이디어로 연결시켜 이해를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 예) 인간의 두뇌(Brain) ⟷ 컴퓨터(Computer) (5) 인지전략 자극자 • 학습자가 자신의 인지전략이나 과정에 대해 인식하고 스스로 조절하여 보다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도록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 • 인지전략 자극자의 유형

  18. 2. 정교화 전략 (6) 학습자 통제 학습자가 학습내용, 학습속도, 전시전략에 대한 통제, 인지전략의 선택 및 계열화를 할 수 있는 자유를 가지는 것을 뜻한다.

  19. 3. 미시적 전략 – 개념학습을 중심으로 (1) 개념의 적용 학습을 위한 원리 • 개념학습의 종류

  20. 3. 미시적 전략 – 개념학습을 중심으로 (1) 개념의 적용 학습을 위한 원리 2) 개념의 획득 및 적용 능력을 가지기 위한 원리 • ‘전형(Prototype)’을형성해야 하는데, 전형이란 공통 속성을 뜻한다. • 전형을 벗어나서 ‘일반화’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해야 하며, 추가로 ‘변별’하는 능력을 학습해야 한다.

  21. 3. 미시적 전략 – 개념학습을 중심으로 (1) 개념의 적용 학습을 위한 원리 3) 개념의 획득 및 적용능력을 가르치기 위한 원리 (Cont.) • 전형 전형적인 사례를 제공하는데, 이 때 제공되는 사례는 일반적이어야 하며, 다수의 사례들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 • 변별 결정적 특성을 학습하도록 가르치는데 다음 두 가지의 방식을 이용한다. 결정적 특성이란 일반적 특성 중 유용한 특성을 말한다. - 특성, 즉 개념의 일반성 혹은 정의를 제시해준다. - 대응적 비사례(matched nonexample), 즉 개념에 속하는 한 가지 사례를 유사하지만 사례가 아닌 것과 비교해준다.

  22. 3. 미시적 전략 – 개념학습을 중심으로 (1) 개념의 적용 학습을 위한 원리 3) 개념의 획득 및 적용능력을 가르치기 위한 원리 • 일반화 가변적 특성(variable characteristics)을 학습하도록 가르치는데 다음 두 가지 방식을 이용한다. 가변적 특성이란 차이가 나는 속성을 뜻한다. - 가변적 특성 중 가장 공통적인 것을 보여주는 일반성을 제시한다. - 발산적 사례, 즉서로 간에 매우 상이한 사례들을 제시한다.

  23. Chapter 01. 교수설계(4) Merrill의 내용요소 전시이론

  24. 1. 기본 입장 • 미시적(micro) 교수설계 이론에 해당된다. • 가네(Gagne)가 제안한 수행 수준 중심의 1차원적 분류 체계를 확대하였다. • 학습 결과의 범주를 수행⨯내용 행렬표를 통하여 2차원적으로 규정하였다. • 복잡한 학습대상물을 낱개의 내용요소들(Components)로 나누고, 또 그 학습의 수준을 결정한 다음 그 각각에 적절한 교수 방법을 모델로서 전시(display)해낸다.

  25. 2. 수행 – 내용 매트릭스 수행 수준 발견 활용 기억 사실 개념 절차 원리 내용요소 (단, 진하게 표시된 칸은 해당사항이 없음을 뜻한다.)

  26. 2. 수행 – 내용 매트릭스 • 수행범주

  27. 2. 수행 – 내용 매트릭스 (2) 내용범주

  28. 2. 수행 – 내용 매트릭스 (3) 수행-내용 분류

  29. 3. 제시형 • 1차 제시형 • 목표한 학습이 일어나게 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도 최소한의 자료를 제시하는 방식을 말한다. • 일반성, 사례, 설명식제시형, 질문식제시형의 개념으로 2차원화하여 설명한다. • 일반성(Generality)이란 정의, 절차, 원리를 추상적으로 진술한 것을 말한다.

  30. 3. 제시형 설명 Expository(E) 질문 Inquisitory(I) • 1차 제시형 일반성 Generality(G) 사례 Instance(eg) • EG(법칙) : 일반성을 설명의 형태로 표현한 것을 뜻한다. • Eeg(예) : 특정한 예를 서술하는 것을 뜻한다. • IG(회상) : 일반성이나 법칙에 대한 질문을 뜻한다. • Ieg(연습) : 예를 들어보도록 요청하는 것 또는 예를 통하여 일반성을 발견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뜻한다.

  31. 3. 제시형 (2) 2차 제시형 • 1차 제시형에서 제시된 내용들의 습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주어진 1차 제시형에 대해 부차적 정교화를 제시하는 방법이다. • 정교화의 형태 : 맥락, 선수학습, 암기법, 도움말, 표현법, 피드백 (Cont.)

  32. 3. 제시형 (2) 2차 제시형 • 정교화의 형태 : 맥락, 선수학습, 암기법, 도움말, 표현법, 피드백 (빈칸은 타당성이 없음을 뜻하며, 따옴표(‘)는 2차 제시형을 나타내는 부호이다.)

  33. 3. 제시형 • EG 정교화

  34. 3. 제시형 • Eeg정교화

  35. 3. 제시형 • Ieg정교화

  36. 3. 제시형 • IG 정교화

  37. Chapter 01. 교수설계(5) Keller의 ARCS이론

  38. 1. 기본 입장 • 교수의 3가지 결과 변인 중 효과성, 효율성을 비판하면서 매력성과 관련하여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시키는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 효과적인 교수의 문제점 학습자가 주어진 학습목표를 실제로 달성하도록 구성되어있는가에만 관심을 가진다. • 효율적인 교수의 문제점 주어진 목표에 도달하는 가장 적절한 방법을 도입하여 시간과 노력을 가소하도록 구성하도록 구성되어있는가에만 관심을 가진다. • 효과적, 효율적 교수설계는 학습자의 학습결과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39. 1. 기본 입장 • 행동주의, 인지주의 학습이론을 비판하였다. - 행동주의의 문제점 : 동기유발이 되고 학습상황에서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학습자에게는 강화와 피드백이 효과가 클 수 있으나, 그렇지 않는 학습자들에게는 행동주의 교수원리를 적용하기 어렵다. • 인지주의 문제점 : 교수설계 및 개발과정에 동기유발 및 유지를 위한 체계적 전략의 개발과정이 구체적으로 포함되지 않았다. • 대안 : Bandura의사회학습 이론과 유사한 입장에서 한 개인의 행동은 개인적 특성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을 제시하였다. (단, P : 개인적 특성, E : 환경)

  40. 2. 거시적 설계 A, R C S [가치] [개인적 특성 : 능력, 기술, 지식] 개인적 특성 (P 변인) [인지적 평가, 공정성] [기대] 결과 수행 노력 산 출 환 경 (E 변인) [동기설계와 관리] [학습설계와 관리] [우연성 설계와 관리]

  41. 2. 거시적 설계 • Keller는 한 개인의 어떤 과제를 해결하려는 ‘노력’과 실제로 행하는 ‘수행’ 그리고 그 수행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인(P변인)과 환경변인(E변인)을 통합한 거시적 수업 설계이론을 제시하였다. • 노력, 수행, 결과의 개념

  42. 3. 동기유발변인 - ARCS

  43. 4. 동기 유발, 유지 전략 • 주의 집중(Attention) 1) 지각적주의 환기 (Cont.) - 시청각 효과 사용 각종 애니메이션의 사용 삽화, 도표, 그래프의 사용 흰 공백의 적절한 사용 다양한 글자체의 사용, 소리나 반짝거림 사용

  44. 4. 동기 유발, 유지 전략 • 주의 집중(Attention) 1) 지각적주의 환기 - 비일상적 내용이나 사건의 활용 패러독스 제시 학습자의 경험과는 전혀 다른 사실의 제시 괴상한 사실 등의 사용 믿기 어려운 통계 등의 제시

  45. 4. 동기 유발, 유지 전략 • 주의 집중(Attention) 2) 탐구적 주의 환기 - 학생의 능동적 반응 유도 - 문제 해결 활동의 구상 장려 학생에게 흔치 않는 비유를 해보라고 유도 내용과 관련된 연상을 만들어 보라고 요구 질문, 응답, 피드백의 상호작용 학생에게 스스로 문제를 내어서 풀어보게 한 후,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결과를 제시 학생에게 그들의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학습과제를 선택하게 한다.

  46. 4. 동기 유발, 유지 전략 • 주의 집중(Attention) 3) 다양성 간결하고 다양한 교수형태(정보제시, 연습, 시험 등) 사용 일방적 교수와 상호작용적 교수의 적절한 혼합 교수자료의 형태는 일관성이 있어야 하되 표현의 변화 추구 목표, 수업, 방법을 기능적으로 통합

  47. 4. 동기 유발, 유지 전략 (2) 관련성(Relevance) 1) 친밀성 2) 목적지향성 친밀한 인물 혹은 그림 활용 구체적이고 친숙한 그림 활용 친밀한 예문 및 배경지식 활용 실용성에 중점을 둔 목표를 분명히 제시 목적이나 실용성을 분명히 제시하기 어려운 학습과제일 경우 Game, Simulation 등의 학습 형태를 활용 학습자에게 다양하게 제시된 목적 중에서 스스로에게 적합한 목적을 선택하도록 한다.

  48. 4. 동기 유발, 유지 전략 (2) 관련성(Relevance) 3) 필요, 동기와의 부합성 학습의 목적을 어렵고 쉬운 다양한 수준으로 제시하여 학습자가 본인의 능력이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수준으로 선택하도록 한다. 학습자가 자신에게 적절한 수준의 학습과제를 해나가는 과정에서 필요한 피드백을 제공해준다. 학습자에게 비경쟁적 학습상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한다. 학습자에게 전혀 위험이 없다고 믿고, 학습과정에 몰두하게 하는 협동적 상호학습상황을 제시한다.

  49. 4. 동기 유발, 유지 전략 (3) 자신감(Confidence) 1) 학습의필요조건 제시 학습의 목표, 수업의 전반적 구조를 분명히 제시한다. 평가기준을 분명히 제시하면서 도한 수업목표를 달성할 수 잇도록 연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선수지식, 기술이나 태도 등을 진술해준다. 학습자에게 시험의 조건을 알려주어 학업수행의 필수요건이 무엇인지를 인식하도록 도와준다.

  50. 4. 동기 유발, 유지 전략 (3) 자신감(Confidence) 2) 성공기회 제시 쉬운 내용에서 어려운 내용으로 수업을 조직하고 강화를 자주 또는 매번 사용하는 스케쥴을 계획한다. 학습의 필요조건, 선수지식, 기술을 부합시켜 적절한 수준의 난이도를 유지한다. 학습자들의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준비 시험을 제시하고, 학습순서상 각기 다른 능력 수준의 학습자들이 자기에 맞는 수업을 시작하도록 구성한다. 학습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이후 연습이나 적용의 과정에 무작위로 다양한 사태들을 제시하여 학습자 본인이 조절할 수 없는 도전감을 첨가한다. 시간의 조절, 자극의 속도조절, 상황의 복합성 조절 등을 통해 다양한 수준의 난이도를 제공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