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9

대형연구시설 경제성 평가 분석방법론

주관기관 :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발 표 일 : 2012 년 6 월 26 일 ( 화 ) 발 표 자 : 경희대 산업경영공학 이덕주 교수. 미래 기술의 가치와 경영의 효율성을 중요시 하는 기술경제분석연구실 과 함께합니다. 2012 NFEC Forum. 대형연구시설 경제성 평가 분석방법론. I. II. III. IV. V. 보론. 목 차. 경제성 분석의 이론적 배경. 경제성 평가 방법론.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성분석. 시설 / 장비 경제성 평가 방법론.

artie
Download Presentation

대형연구시설 경제성 평가 분석방법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주관기관 :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발 표 일 : 2012년 6월 26일(화) 발 표 자 : 경희대 산업경영공학 이덕주 교수 미래 기술의 가치와 경영의 효율성을 중요시 하는 기술경제분석연구실과 함께합니다 2012 NFEC Forum 대형연구시설 경제성 평가 분석방법론

  2. I II III IV V 보론 목 차 경제성 분석의 이론적 배경 경제성 평가 방법론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성분석 시설/장비 경제성 평가 방법론 시설/장비 경제성분석 사례 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한 산업연관분석

  3. 1. 경제성 분석의 이론적 배경 1.1 경제성의 개념 · 경제성 분석 (Economic Evaluation) ; 자본의 투자가 요구되는 사업(프로젝트)의 경제성에 관한 계량적인 평가를 통하여 경제적 관점에서 사업의 실행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분석 경제성이란 ? 어떤 사업의 경제적 목적이 그 실현을 위한 여러 활동에 의해 얼마만큼 달성되었는가에 대한 정도 · 경제성 공학 (Engineering Economics) ; 공학적/기술적 투자 프로젝트의 의사결정에 사용되는 경제성 분석과 관련된 제반 개념 및 방법론을 연구하는 분야

  4. 1. 경제성 분석의 이론적 배경 1.2 화폐의 시간적 가치 • 유동선 선호(Liquidity Preference) • 이자율(Interest rate) - 화폐를 일정기간 동안 포기하거나 획득하는데 필요한 대가를 사회적으로 정해놓은 값 • 할인율(Discount rate) • - 미래의 가치를 현재의 가치와 같게 하는 비율 • Ex) 현재 100만원을 1년간 적립하면 이자 10만원이 붙어 원리합계 110만원이 되는것을 • 역으로 보면, 1년 후의 110만원을 현재가치로 환산하면 100만원으로 10% 할인되는 것임 • 사회적할인율(Social discount rate) • - 비용-편익 분석에서 공익성을 지니는 공공부문 투자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할인율로민간할인율보다 일반적으로 낮은 할인율을 설정 • - 현재 공공사업 투자분석의 사회적 할인율로 사용되고 있는 값은 5.5%임(한국개발연구원, • 2008)

  5. 1. 경제성 분석의 이론적 배경 1.2 화폐의 시간적 가치 • - 현재가치 (PV : present value) • ; 미래 시점에 발생하는 현금흐름의 • 가치를 현재의 화폐가치로 변환한 것 <이자율에 따른 미래가 변화> n: 미래시점 r: 할인율(discount rate) (이자 및 물가상승을 고려한할인비율) • - 미래가치 (FV : future value) • ; 현재 돈의 가치를 미래의 특정시점의 • 가치로 바꾼 것 <할인율에 따른 현재가 변화>

  6. 2. 경제성 평가방법론 2.1 분석방법 • 현금흐름할인법(DCF: Discounted Cash Flow): 미래에발생할 현금흐름을 예측하고, 현금흐름을 할인한 현재가치를 계산하여 경제성을 평가하는 방법 • 순현재가치(NetPresent Value ; NPV), 내부수익률(Internal Rate of Return ; IRR) 등의지표가 활용됨

  7. 2. 경제성 평가방법론 2.2. 순현가법(NPV: Net Present Value Analysis) - 총현재가치의 계산 ; 해당사업 또는 설비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비용과 수입을 현재가치로 추정 - 총 현재가치수입(B) Bit: 각 기간 당 항목에서 발생하는 수입 - 총 현재가치비용(C) Cjt: 각기간 당 항목에서 발생하는 비용 - 순현가법 ; 총현재가치 수입 – 총현재가치 비용 NPV - 이 값이 0을 넘으면 사업 또는 설비가 경제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경제적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 - 할인률(r) = 최소요구수익률(MARR: minimum rate of return)

  8. 2. 경제성 평가방법론 2.3. 내부수익률법(Internal Rate of Return Analysis) - 내부수익률의 계산 ; 해당사업 또는 설비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비용과 편익의 현재가치를 같게 하는 할인률 Bit : 각 기간 당 항목에서 발생하는 이익 Cjt : 각기간 당 항목에서 발생하는 비용 λ : 내부수익률 - 내부수익률법 ; 내부수익률이 최소요구수익률보다 높으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 - IRR > MARR

  9. 2. 경제성 평가방법론 2.4. 장단점

  10. 2. 경제성 평가방법론 2.4. 비용편익 분석 • 공공사업의 경제성 분석은 비용편익비율(Benefit-cost ratio)을 기본지표로 분석함. - 비용과 편익의 계산 ; 공공사업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비용과 편익을 현재가치로 추정 - 총 현재가치편익(B) Bit : 각 기간 당 항목에서 발생하는 편익 - 총 현재가치비용(C) Cjt : 각기간 당 항목에서 발생하는 비용 - 비용편익비율 ; 총현재가치편익을총현재가치비용으로 나눈 비율을 비교 - 비용편익비율 = B/C (>1) - B/C 비율이1을 넘으면 해당공공사업 이 경제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경제적 의미가 없는 것으로 해석

  11. 3.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 분석 3.1 R&D 시스템 2. PROCESSING SYSTEM 4.RECEIVING SYSTEM • INPUT Activites - Researching - Developing - Testing - Reporting Results - People - Ideas - Equipment - Facilities - Information - Specific Requests - Marketing - Business Planning - Manufacturing - Engineering - Operations 2. OUTPUTS - Patents - Products - Processes - Publications - Facts/Knowledge 5. OUTCOMES - Cost Reduction - Sales Improvement - Product Improvement - Capital Avoidance 6. IN-PROCESS MEASUREMENT AND FEEDBACK 7. OUTPUT MEASUREMENT AND FEEDBACK 8. OUTCOME MEASUREMENT AND FEEDBACK ※ source : Mark et al.(1988)

  12. 3.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 분석 3.2 연구개발의 성과평가 • 연구개발 성과평가는 연구개발 활동의 적합성, 효율성, 효과성을 판단하기 위해 성과평가 대상의 전체 또는 그 일부를 객관적으로 점검하고 평가하는 과정 - 적합성(Appropriateness): 연구개발 성과가 기업의 기술전략 및 시장의 요구에 얼마나 적합한 지를 말함. - 효율성(Efficiency): 주어진 투입자원으로 얼마나 많은 연구 성과물을 창출하였는지 혹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투입자원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었는지를 평가함 -효과성(Effectiveness): 투입자원보다는 연구개발의 성과가 실제로 처음에 설정된 목표와 비교하여 얼마나 충분히 달성하였는지를 의미함

  13. 3.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 분석 3.3 연구개발사업의비용/편익항목 • 비용항목 분류 ※ source :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1판).(2011) • 편익항목 분류

  14. 3.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 분석 3.4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적 가치 평가 방법 • R&D 사업을통해 유발되는 편익은 매출수익 편익과 지적재산 편익이 기본적인항목임 - 매출 수익 편익은 개별 사업의 특성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산출방식을 따름 1. 매출수익편익 = 매출액 증가액 × 관련 산업의 부가가치율 × R&D기여율 × 기술개발 성공가능성 - 기초원천연구의 직접적 산출물인 논문의 경제적 효과나 생성 가치에 대해 집중하는 경우 그 경제적 효과 산정 방식은 크게 네 가지 방식으로 대별할 수 있음 • 2-1.전통적 무형자산의 가치측정 방식 • ; 원가접근법, 시장가격 접근법, 실물옵션법 등 무형자산의 핵심인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와 유사

  15. 3.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 분석 3.4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적 가치 평가 방법 2-2.연구자에 대한 경제적 인센티브 접근법 ; 출간논문의 가치를 연구자의 급여에 대한 출간의 한계적 기여도 차원에서 접근하여 직접적 가치를 추정[Bertin and Zivney(1992), Steve Swindler and Elizabeth Goldreyer(1998)] 2-3.지식스톡의경제성장에의 영향을 분석 ; 학술논문을 활용하여 경제전체의 장기지식스톡을 추정하여, 총요소생산성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Adams(1990)] 2-4. 수요자의 가치인식(Willingness To Pay)을 이용 ; 여행비용접근법, 헤도닉가격기법, 조건부가치측정법, 컨조인트 분석법을 활용한 공공재의 효과 평가

  16. 3.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 분석 3.4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적 가치 평가 방법 예시 1) 기술개발 편익 추정을 위한 수익률 가정 접근법 적용사례 (1/2) [사업개요] 과학기술과 인체가 하나가 되는 미래의 인류를 구현하고, BIT융합 기술분야의 차세대 Global 인재양성과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BIT 융합기술연구개발을목적으로 함 [편익항목설정]본 사업의 편익항목은 추가 연구개발 투자로 인하여 발생하는 편익, 전임상 및 임상시험 장비구축에 의한 편익, 그리고 산학협력단지구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편익으로 구분됨. 본 사업의 편익 중 추가 연구개발 투자로 인하여 발생하는 편익이 기술개발에 의한 편익항목으로 정의가 가능함 [해당 편익추정분석 방법론]본 사업에서 추가 연구개발 투자 편익(기술개발에 의한 편익항목)을 추정하기 위하여 투자 대비 수익률 접근법을 적용하고R&D 투자대비 매출액 비율을 활용함 기술개발에 의한 편익 = 추가적 R&D 연구개발비투자 × 사업화성공률 × R&D 투자대비 매출액 비율 × 부가가치율

  17. 3.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 분석 3.4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적 가치 평가 방법 예시 1) 기술개발 편익 추정을 위한 수익률 가정 접근법 적용사례 (2/2) [해당 편익추정분석 구송 요소 및 근거] - 사업화성공률 : 28.4%, 2008년 산업기술개발사업 성과활용현황조사 결과보고서(한국산업기술평가원), 중단/실패 과제를 전체에 포함 - R&D 투자대비매출액 비율 : 19.96%, 연구비투입 5년차 시점 매출발생, 2008년도 산업기술개발사업성과활용현황 조사 결과보고서(한국산업기술평가원) - 부가가치율 : 37.91%, 2007년 기업경영분석(한국은행) [경제적 타당성 분석결과]각 시나리오 및 민감도 분석 별 경제적 타당성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본 사업의 편익비용 비율(B/C ratio)은 0.82~1.23)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됨

  18. 3.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 분석 3.4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적 가치 평가 방법 예시 2) R&D의산출물(특허)를 이용한 편익 추정 접근법 적용사례 (1/2) [사업개요] 지역특화분야 기초·원천 연구 활성화하고, 산학연이 집적된 지자체R&D 클러스터 육성하며, 지역의 R&D 전주기 수행능력 배양을 목표로 함 [편익항목설정]장기간의 걸쳐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현되는 기초·원천연구의 성과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편익을 산정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하며, 또한 경제적 편익만으로 사업의 온전한 효과를 고려하기에도 한계가 있음. 본 사업을 통해 창출 예상되는 편익은 논문 성과를 중심으로 기초원천연구의 경제적 편익만을 추정함 [해당 편익추정분석 방법론] 본조사에서는 기술에 대한 가치 평가와 유사하게 논문에 대한 가치평가를 시도한 원가접근법에 근거하여 논문가치 추정 방법론을 적용함 연구개발에 따른 편익 = 기초연구 논문의 경제적 가치(원/편) × 논문의 상대적 가중치 × SCI 논문 성과목표(편) = (논문의 원가가치 × 논문의 특허전환율× 특허사업화 성공률 × 경제적 파급승수 × 부가가치율) × (지역별 분야별 피인용횟수/전국평균 피인용회수) × SCI 논문 성과목표(편)

  19. 3.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 분석 3.4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적 가치 평가 방법 예시 2) R&D의산출물(특허)를 이용한 편익 추정 접근법 적용사례 (2/2) [해당 편익추정분석 구송 요소 및 근거] - 논문 단위당 원가가치 : 7,120(만원/편), 장진규, 2005, 우리나라 총 기초연구관련 논문편수 대비 연구개발 사업비 및 인건비를 활용 - SCI 논문의 특허전환율: 37.02%(2006, 2008년 평균), 'SCI논문 연구분석‘(KAIST),'산학협력백서'의대학창출 특허수/대학창출 논문수 - 특허의 사업화 성공율 : 7.91%, '지식재산활동실태조사‘(특허청), 대학, 공공연구기관 등록특허 사업화율(29.3%)×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사업의 사업화율을 활용(27.0%) - 경제적파급승수: 37.0배, 중소기업이전기술개발사업, Wesley M. Cohen외(2002), 사업화 성공 신제품 매출액 증분배수(7.87배) × 논문 외 타 경로를 통한 부가효과(4.7배) - 부가가치율 : 36.8%(한국은행), 전산업 평균 부가가치율 [경제적 타당성 분석결과]각 시나리오 및 민감도 분석 별 경제적 타당성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본 사업의 편익비용 비율(B/C ratio)은 0.16~0.30)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됨

  20. 4. 시설/장비 경제성 평가 방법론 4.1 시설/장비의 경제적 가치 • 시설/장비의 경우 일반 시설/장비와 연구 시설/장비로 구분이 가능함 • - 일반 시설/장비의 경우 장비를 활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매출액 증대 또는 비용절감액 등이 대표적인 편익임 [일반 시설/장비] 장비 활용 경제적 가치 장비 도입 - 연구 시설 장비 편익의 경우 장비를 통한 연구개발의 경제적 가치 중 일부로 볼 수 있음 [연구 시설/장비] 연구개발 장비 도입 R&D의 경제적 가치

  21. 4. 시설/장비 경제성 평가 방법론 4.2 연구장비의 경제적 가치 평가 방법 • 연구장비의 편익을 전체 R&D의 일부로 가정할 경우 R&D의경제적 가치에 장비의 기여율을 곱하여 산정이 가능함 연구장비의 편익 = R&D의 경제적 가치 x 장비 기여율 산업적 측면 매출 수익 편익 R&D의 경제적 가치 기초과학적 측면 논문, 특허, 인력

  22. 5. 시설/장비 경제성 분석 사례 사례 1 : 중입자 가속기 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 중입자가속기 • - 의료용 중입자가속기는중이온(헬륨, 탄소, 질소, 우라늄 등)을 높은 속도로 가속시키는 장치로써 핵물리학, 입자물리학 연구에 주로 이용되어 왔으며 현재는 생명과학, 의학, 핵공학, 물성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어지고 있음. • - 의료용 중입자가속기는 중입자 중 탄소를 수 천도로 가열해서 음이온을 분리(이온화)하면 탄소 이온이 만들어지는데, 이것을 빛의 속도 가까이 가속하여 얻은 에너지로 암을 치료하는 최첨단 의료기기임 ※ source : 중입자가속기 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한국개발연구원)

  23. 5. 시설/장비 경제성 분석 사례 사례 1 : 중입자가속기 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 사업개요 ※ source : 한국원자력의학원 홈페이지(www.kirams.re.kr)

  24. 5. 시설/장비 경제성 분석 사례 중입자가속기 기술개발사업 중입자가속기 연구개발 및 이용을 통한 미래원천기술개발의 기반을 구축하고, 중입자치료시스템의 공동연구개발을 통해 첨단의료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함 중입자 치료 편익 연구개발 편익 • 중입자가속기 연구 편익 • 임상/의학 연구 편익 • 과학기술 연구 및 산업적 응용 편익 • 생존자 경제활동 편익 • 원정치료 편익

  25. 5. 시설/장비 경제성 분석 사례 1. 중입자가속기 연구 편익 = 중입자가속기 부문 총 연구개발 및 제작비용(가) – 가속기 제작비용(나) * 중입자가속기 연구 편익 - 원자력의학원 연구진에 의해 중입자가속기 기술개발과정에서 축적된 경험, 노하우, 기술 등 무형의 편익이 존재하므로 이를 반영함 - 중입자가속기 부문 총 연구개발 및 제작비용 중 가속기 제작비용을 제외한 금액을 순수 연구비로 간주하여 이를 연구개발편익으로 연차별로적용함 (비용 접근법)

  26. 5. 시설/장비 경제성 분석 사례 2. 임상/의학 연구 편익 = 경상연구비(가) × 편익유발계수(나) * 임상/의학 연구 편익 : - 중입자 치료시스템 구축과정 및 구축 후의 임상/의학연구로 인한 편익 3. 과학기술 연구 및 산업적 응용 편익 = 경상연구비(가) × 편익유발계수(나) * 과학기술 연구 및 산업적 응용 편익 - 중입자의 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이용해 치료기술 개발 및 향상을 위한 생명과학 연구에 대한 편익을 일부 고려.

  27. 5. 시설/장비 경제성 분석 사례 사례 2 : 감성터치 플랫폼 개발 및 신산업화 지원사업 예비타당성조사 • 사업개요 ※ source : 감성터치 플랫폼 개발 및 신산업화 지원사업 예비타당성조사(한국개발연구원)

  28. 5. 시설/장비 경제성 분석 사례 감성터치 플랫폼 개발 및 신산업화 지원사업 한국 IT산업의 미래시장 생존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감성터치 기반의 산업을 기술개발과 신제품 생산 그리고 제품신뢰성 및 인증기반 구축이라는 두 개의 축으로 육성하여 2015년 세계 2위 IT 융합특화산업국 진입을 목표로 함 연구개발 사업 편익 연구개발 편익 • 인증평가를 통한 편익 • 공용활용 장비지원 편익 • 기술 및 시장정보 분석지원 사업 편익 • 기반기술개발 유형 과제 편익 • 제품기술개발 유형 과제 편익

  29. 5. 시설/장비 경제성 분석 사례 1. 공용활용 장비지원 편익 = 연간 최대 활용기업 수(가) × (연간 보유비용 – 연간 임대비용)(나) ×장비활용율(다) 가. 연간 최대 활용기업 수 - 한국 감성터치 산업기술지원센터에서 구축하고자 하는 공용활용 장비지원 사업에 대한 수요조사를 통해 장비별 연간 최대 활용 기업수를 산정함 나. 연간 보유비용 – 연간 임대비용 - 연간 보유비용은 장비가격을 장비의 내구연한 10년으로 나눈 값임 - 연간 임대비용은 한국 감성터치 산업기술지원센터에서 장비를 임대하여 사용하는 비용임 다. 장비활용율 - 수요 기업수를 연간 최대 활용기업 수를 나눈 값이며, 분석결과 장비 활용율이100%를 초과하므로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70%로 가정함

  30. (보론) 투입-산출 분석 모형(Input-Output Analysis Model) 기본개념 자동차 판매, 부품판매, 용품판매, 자동차 정비 , 중고차 매매 • 각 산업은 원재료의 거래관계를 토대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관을 맺고 있음 • ex) 자동차산업 판매/정비 부문 • 투입산출 분석(or 산업연관분석)은 이러한 생산활동에서 생산요소와 기술지식의 산업 간상호연관 • 관계를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분석방법 • 철강, 비철금속, 고무, 플라스틱, • 유리, 도료 , 기타부품 이용부문 제조부문 여객운송, 화물운송, 자동차 임대, 주차장, 운수서비스 관련부문 정유, 주유소, 윤활유판매, 보험/금융, 광고, 인쇄 <자동차 관련 산업>

  31. 산업경제의 상호의존관계를 일람표의 형태로 나타낸 '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하여, 이와 관련된 경제의 움직임을 산업간의 생산기술적 연결구조에 초점을 두고 규명하는 분석방법. (보론) 투입-산출 분석 모형(Input-Output Analysis Model) 투입-산출 분석 모형의 정의 • i 산업이 j 산업으로부터 제품을 많이 구입할수록 j 산업에서 i 산업으로 흘러 들어오는 기술지식의 양 • 즉, 투입(input)이 비례해서 늘어난다고 가정함 • 따라서 산업 간 기술지식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술지식의 개발주체와 활용주체간의 연관관계 • 혹은 흐름의 양을 나타내는 일종의 행렬표가 필요함 • 각 산업별로 재화와 용역이 어떤 부문에서 어떤 부문으로 이전되어 사용되는가를 일정한 형식에 의해 • 표현한 것이 산업연관표(I/O Table)임 <참고> 산업연관분석은 실증적 계량경제학의 한 갈래로, 경제학자인 Leontief에 의해 처음 개발됨. 1950년대 전후로 세계 각국에서 산업연관표가 작성되기 시작하였으며,한국의 경우 한국은행에서 1960년대 시작하여 5년에 한번씩 작성하고 있음

  32. (보론) 투입-산출 분석 모형(Input-Output Analysis Model) 산업연관표 • 국민경제를 구성하고 있는 각 산업부문은 • - 서로 다른 산업부문으로부터 중간재를 구입하고 • - 노동, 자본 등의 본원적 생산요소를 결합하여 • - 새로운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한 후 • - 다른 산업부문에 중간재로 판매하거나 • - 최종수요자에게 소비재나 자본재 등으로 판매 • 국가경제에서 한 산업이 생산해 내는 재화와 용역이 다른 산업들 또는 최종소비자에 의해서 어떻게 • 수요 되고, 또한 이러한 생산을 위해서 다른 산업에서의 생산물이나 노동, 자본 등본원적 생산요소가 • 얼마나 투입되는가를 기록한 통계표

  33. (보론) 투입-산출 분석 모형(Input-Output Analysis Model) 산업연관표 (계속) • 산업연관표 : 일정기간(보통1년) 동안 국가경제 내에서의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 및 처분과정에서 • 발생하는 거래를 일정한 원칙과 형식에 따라 기록한 종합적인 통계표임. 산업연관 • 표에서는 재화와 서비스의 거래를 아래와 같이 세가지로 구분하여 기록함. • ① 산업 상호간의 중간재 거래부분(내생부문) • ② 부가가치 : 각 산업부문에서의 노동, 자본 등 본원적 생산요소의 구입부분(외생부문) • ③ 최종수요 : 각 산업부문 생산물의 최종소비자에게로의 판매 부분(외생부문) 열 행 (-) 배분구조(생산물의 판매내역) 내생부문 투입구조 (원재료, 노동, 등의 구입내역) : 투입계수 행렬 외생부문 : 최종수요 : 부가가치 <산업연관표의 기본구조>

  34. (보론) 투입-산출 분석 모형(Input-Output Analysis Model) 산업연관표 (계속) 여기서, xij: 산업i에서 산업 j로의 중간투입액 Xi : 산업i 의 총투입액(또는 총산출액) Vj : 산업 j 의부가가치액 <산업연관표의 구성>

  35. (보론) 투입-산출 분석 모형(Input-Output Analysis Model) 경제적 파급효과의 계산 절차 1. 산업의 재분류 2. 재분류된 산업에 대한 산업연관표 작성 3. 투입계수 행렬 계산(생산유발효과계수 (I-A)-1 ,부가가치 유발효과계수 : V) 4. 투입계수 행렬 계산산업별 경제적 충격(X) 추정 5. 생산유발효과 : (I-A)-1X , 부가가치유발효과 : VX <참고> 충격이란 경제학적 의미로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경제적인 변화가 일차적으로 전체 산업에 발생시키는 독립적인 교란을 의미하는 것임

  36. (보론) 경제적 파급효과의 정의 • 산업연관분석 • - 생산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산업간의 상호연관관계를 수량적으로 파악하는 분석 방법 • 생산유발효과 • - 어느 산업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증가했을 때 그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각 산업에서 • 증가하는 생산량을 생산유발효과라고 함 • 부가가치유발효과 • - 어느 산업의 생산물을 생산할 때 창출되는 부가가치의 크기임 • 고용유발효과 • - 최종수요발생이 생산을 유발하므로 이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노동수요의 크기를 • 고용유발효과라고 함

  37. (보론) 도시재생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발생구조 도시재생사업 시장창출(175조원) 경제적 파급효과 발생 ? 주택재개발 (88조원 창출) 전기 및 전자기기 생산유발효과 주택재건축 (67조원 창출) 수송장비 부가가치 유발효과 건축 도시환경정비 (19조원 창출) 고용유발효과 금융 및 보험 … 도시재생 R&D 사업 수행 (1355억원) 핵심 1 국가차원의 도시재생 종합전략 및 제도기반구축 (246억) 핵심 2 사회통합적도시공동체기반구축 및 주거지 재생모델 개발 (214억) 핵심 3 입체·복합공간 개발 (369억) 핵심 4 성능 ·환경복원 기술개발 (527억)

  38. 결 론 • 공공 기초 연구개발 투자의 경제성 분석을 위한 robust한 방법론은 존재하지 않음 • 공공 기초 연구개발을 위한 연구장비 투자의 경제성 분석은 더더욱 존재하지 않음 • 틀린(wrong) 경제성 분석은 잘못된(bad) 의사결정을초래 • 일반적으로 과소 평가보다 과대 평가가 더 심각 • 경제성 분석은 과학(science)이 아니라, 예술(art)에 가까움!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