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0

제 5 장 정보의 디지털화

제 5 장 정보의 디지털화. 목 차. 디지털전송 - 기본개념 및 배경. 펄스코드변조 (PCM: Pulse Code Modulation). 이미지 및 동화상정보의 디지털화. 정보의 디지털화. 배경.  왜 정보를 디지털화 하는가 ?  정보통신 수요증가  고품질 정보서비스 요구 증가  디지털화란 ? 아날로그형태의 연속형 정보를 0 또는 1 의 이진비트를 단위로 하는 디지털정보로 변환하는 과정  고품질의 정보와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가능

ataret
Download Presentation

제 5 장 정보의 디지털화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5장 정보의 디지털화 목 차 디지털전송 - 기본개념 및 배경 펄스코드변조(PCM: Pulse Code Modulation) 이미지 및 동화상정보의 디지털화

  2. 정보의 디지털화 배경  왜 정보를 디지털화 하는가?  정보통신 수요증가  고품질 정보서비스 요구 증가  디지털화란? 아날로그형태의 연속형 정보를 0 또는 1의 이진비트를 단위로 하는 디지털정보로 변환하는 과정  고품질의 정보와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가능 <그림> 아날로그정보의 디지털화 예

  3. 정보의 디지털화 장점 동일한 매체를 통해 여러 형태의 정보 전송  아날로그신호에 사용되는 주파수분할다중화에서는 주파수간 상호 간섭  디지털신호에 사용되는 시분할다중화에서는 주파수간 상호 간섭이 없으므로 음성, 팩스, 문서 및 이미지등의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전송 가능 경제적 전송  아날로그정보를 디지털정보로 변환하여 전송하면 보다 넓은 주파수대역 필요  압축기술 발달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전송 디지털화를 위한 비용 저렴  디지털전송 및 교환을 위한 장치 가격 하락 고품질 전송  아날로그전송은 증폭기 사용하여 잡음과 감쇠 누적되어 신호 품질 저하  디지털전송은 리피터 사용하여 잡음과 감쇠 누적없이 신호 품질 유지 안전한 전송  변조전 정보 암호화  추가적인 에러제어코드 삽입으로 오류발견 및 정정 가능

  4. 나이퀴스트의 표본추출 정리 배경  표본추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위해 아날로그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추출하는 것  표본추출횟수(표본추출 주파수)는 디지털화의 정확도 좌우  표본추출횟수는 나이퀴스트의 표본추출정리에 의해 결정  표본(sample) 일정한 간격으로 추출한 원신호의 진폭들  변화가 심한 신호일수록 표본추출 횟수 증가  표본추출주파수는 아날로그신호의 주파수특성에 의해 결정 <그림> 아날로그신호로부터의 표본추출  나이퀴스트의 표본추출정리 표본추출주파수가 아날로그신호의 최대주파수요소의 두배 이상이면 그 신호를 정확히 재생 가능 필터를 통해 전송 가능한 신호의 최대 및 최소주파수(max,min)이면 주파수대역폭은 BWc =max - min이므로 표본추출주파수는 s  2BWc

  5. 펄스변조(PM : Pulse Modulation) 펄스, 펄스의 모수, 펄스변조  펄스 매우 짧은 시간동안 진행되는 네모꼴의 전자기파형  펄스의 모수(Pulse parameter) 펄스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진폭, 폭, 시간에 따른 위치 <그림> 펄스의 모수  펄스변조 추출된 표본의 크기(진폭)에 따라 펄스의 특정모수를 변화시키는 방법  대표적인 예로 펄스진폭변조(PAM) : 표본의 진폭변화에 따라 펄스의 진폭크기를 변화  0 또는 1 값이 계속되어도 직류전류 표류문제 발생 않음  동기화와 직류전류 표류문제 두가지 해결  전이가 기대되는 위치에서 전이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에러로 검출 <그림> 펄스변조의 분류 -PAM

  6. 펄스코드변조(PCM : Pulse Code Modulation) 펄스코드변조  펄스코드변조란? 표본의 진폭크기를 이진비트의 묶음으로 표현하는 아날로그정보에 대한 디지털화 방법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로부터 PAM 펄스를 만들고, 이로부터 정량화과정을 통해 이진 코드화된 디지털신호를 만드는 펄스변조  아날로그정보를 디지털화하는 대표적인 방법  나이퀴스트의 표본추출정리에 근거  표본의 진폭에 따라 펄스의 모수(폭, 진폭, 위치)를 변화시키는 펄스변조(PM)의 일종  PCM 펄스를 만들기 위해 PAM 펄스를 일정한 수의 비트 묶음으로 정량화(계량화) <그림> 펄스코드변조(PCM) 펄스코드변조가 펄스변조보다 훨씬 좋은데 펄스변조의 어떤 단점을 없애 주기 때문인가? 4KHz 대역폭을 갖는 음성을 표본주파수가 8KHz이고 하나의 PAM 펄스에 대한 비트표현 수를 8개로 할 때 정보전송율은?

  7. 펄스코드변조(PCM : Pulse Code Modulation) 정량화 오류(Quantization error)  정량화(계량화) 각 표본의 크기에 이진코드를 부여하는 것  정량화 결과는 하나의 표본이 가질 수 있는 값을 몇 단계로 나누었는가에 따라 다름  각 표본이 16개의 값중 하나에 대응되면 log216=4비트를 한 단위로 표본이 표현(n=4)  정량화 오류(정량화 잡음) 표본을 2n (n: 정량화 수준) 단계로 정량화한 값은 원래의 아날로그신호의 진폭을 정확히 나타내지 못하는 데서 비롯되는 오류 <그림> 정량화 예 및 정량화 오류  정량화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정량화 수준을 높이면, 단위 시간에 처리할 비트 수 증가  정량화를 위해 한 비트 추가할 경우 신호대잡음비(SNR)는 6dB 만큼 증가

  8. 펄스코드변조(PCM : Pulse Code Modulation) 선형 코드화(Linear coding)  선형코드화 아날로그신호 형태에 관계없이 표본 추출한 신호의 진폭을 일정한 간격으로 구분된 2n 개의 값으로 표현  정량화수준이 정해진 상태에서는 크기가 작은 신호를 정량화할 때 상대적 오차가 커짐  일반적인 PCM 방법의 코드화 방법

  9. 펄스코드변조(PCM : Pulse Code Modulation) 개량된 코드화방법  정량화에러를 줄이기위한 PCM의 변형 방법  크기가 작은 신호에서 발생하기 쉬운 정량화 오류를 감소시켜 신호품질 향상 방법  비선형 코드화 방법(Nonuniform or Nonlinear coding)  컴팬딩(Companding)  신호의 저장 또는 전송을 위해 필요한 비트수를 줄이는 방법  차등적 펄스코드변조(DPCM : Differential PCM)  적응적 차등 펄스코드변조(ADPCM : Adaptive Differential PCM)  델타변조(DM : Delta Modulation)  선형적 예측변조(LPC : Linear Predictive Coding)

  10. 펄스코드변조(PCM : Pulse Code Modulation) 개량된 코드화방법  비선형 코드화 선형 코드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표본 대상인 모든 영역을 같은 간격으로 나누지 않고, 크기가 작은 신호 영역은 표본화 간격을 좁게하고, 큰 신호 영역은 표본화 간격을 넓게하여 코드화  신호의 정량화 오류를 상당부분 중임 <그림> 선형코드화방법과 비선형 코드화 방법  컴팬딩(Companding : Compressing & Expanding) 원래의 아날로그신호의 세기가 큰 부분은 줄이고(compressing), 작은 부분은 크게 하여(expanding) 새로운 아날로그 신호를 만든 후 일반적인 선형코드화로 디지털화  입력신호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규칙인 컴팬딩 함수는 미주지역과 유럽이 서로 다름 <그림> 컴팬딩 함수

  11. 펄스코드변조(PCM : Pulse Code Modulation) 개량된 코드화방법  차등적 펄스코드변조(DPCM) 바로 이전 표본값과의 차이만을 코드화  신호의 변동이 그리 심하지 않은 음성신호의 디지털화가 목적  보통 PCM에서 사용하는 표본 값 표현을 위한 8비트의 절반인 4비트 사용  PCM 정보전송율(64kbps)보다 낮은 정보전송율(32kbps)로 음성신호 전송  인접한 두 표본이 극단적인 차이를 보일 경우 비트수가 모자라 원래의 신호와 큰 차이 발생 : 경사과부하 문제 <그림> 차등적 펄스코드변조  적응적 차등 펄스코드변조(ADPCM) DPCM의 경사과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호의 변화가 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표본간의 차이를 1보다 큰 값으로 나눈 몫과 나눌 때 사용한 값을 전송  코드화된 표본간의 차이 작아짐  비교적 양호한 신호대잡읍비 가짐  PCM 정보전송율(64kbps)보다 낮은 정보전송율(16kbps)로 음성신호 전송

  12. 펄스코드변조(PCM : Pulse Code Modulation) 개량된 코드화방법  델타변조(DM) 바로 전 표본의 크기에 비해 크고 작음만을 판단하여 하나의 비트(DM 비트)로 코드화  바로 전의 표본에 비해 증가하면 1, 감소하면 0, 변하지 않으면 0과 1을 교차  만들어진 파형은 DM비트를 누적하여 더한 계단형  간단하며, 진폭이 높은 신호일지라도 잘림없이 따라 감  급격히 변하는 신호는 따라 갈 수 없음 : 경사절단(slope clipping) 문제  경사절단문제 해결을 위해 표본주파수를 늘이거나, 신호 변화 크기에 따라 계단 높이를 달리 함(적응적 델타 변조) <그림> 델타변조 및 경사절단 예  선형적 예측변조 짧은 시간동안의 음성신호스펙트럼의 전력은 신호를 구성하는 주파수 중에서 몇 개의 주파수에 집중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일정시간동안의 음성블럭에서 이를 뽑아내어 이를 전송하고, 수신측은 이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블럭을 재 구성하는 방식  소량의 정보만이 전송되므로 4.8kbps의 낮은 정보전송율로도 음성 전송 가능  2 내지 3 블럭정도의 지연이 발생하여 공명(echo)를 줄이는 장치를 함께 사용 해야함

  13. PCM과 시분할다중화 시분할다중화(TDM : Time Division Multiplexing)  시분할다중화 하나의 전송회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채널의 수를 늘리기 위해 각 채널마다 표본 시간을 달리하는 기법 <그림> 시분할다중화 예  PCM을 이용한 시분할다중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신호를 번갈아가며 추출하여 n개의 비트로 PCM코드화  PCM을 이용한 시분할다중화장치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신호를 번갈아가며 추출하여 n개의 비트로 PCM코드화하여 이를 전송하고, 역다중화기를 통해 다시 원래의 아날로그신호들을 분리 복구하는 장치  PCM을 이용한 시분할다중화전송시스템  T1 캐리어(T1 Carrier)  E1 캐리어(E1 Carrier)

  14. PCM과 시분할다중화 PCM을 이용한 시분할다중화전송시스템  T1 캐리어 24개 채널이 각기 8KHz의 표본주파수를 갖고, 각 표본을 표현하는 8비트 중 7비트는 각 표본을 128개 단계로 구분하는데 사용하며, 나머지 1 비트는 제어용으로 이용하면서, 24개 채널이 한번씩 표본추출 후에는 동기를 맞추기위해 1비트를 이용하는 방식의 PCM을 이용한 시분할다중화전송시스템 마치 1초 동안에 24명이 하나의 전송로를 번갈아가면서 8000번(8KHz) 이용하며, 매 이용 때 마다 8비트 정보를 싣고, 24명이 한번씩 이용 후 동기용으로 1비트 정보를 싣는 방식 <그림> T1 캐리어 및 E1 캐리어의 프레임 구조  표본주파수 8KHz이고 각 표본에 음성정보용으로 7비트를 사용하며, 나머지 1 비트는 제어신호용으로 사용하므로 각 채널의 음성정보의 정보전송율은 56kbps이고 제어신호의 정보전송율은 8kbps  24개의 코드화된 음성정보(24개 채널)를 동시에 전송  24개 채널에서 추출한 표본과 프레임동기 비트를 묶어 프레임이라 함 1 프레임 = (24 X 8 + 1) 비트 = 193 비트  전송속도는 초당 8000번 표본추출하므로 193비트 X 8000/초 = 1.544Mbps  북미, 일본, 한국에서 주로 사용하므로 북미방식전송시스템이라 함

  15. PCM과 시분할다중화 PCM을 이용한 시분할다중화전송시스템  E1 캐리어 32개 채널이 각기 8KHz의 표본주파수를 갖고, 각 표본을 표현하는 8비트는 각 표본을 256개 단계로 구분하는데 사용하며, 32개 채널중 첫번째 채널은 동기용, 18번째 채널은 제어신호용으로 이용하는 방식의 PCM을 이용한 시분할다중화전송시스템 마치 1초 동안에 32명이 하나의 전송로를 번갈아가면서 8000번(8KHz) 이용하며, 매 이용 때 마다 8비트 정보를 싣고, 이중 2명은 동기 및 제어신호 정보를 싣는 방식 <그림> T1 캐리어 및 E1 캐리어의 프레임 구조  각 음성채널의 정보전송율은 64kbps이고, 동기신호의 정보전송율은 64kbps, 제어신호의 정보전송율은 64kbps  32개 채널중 30개 채널만이 코드화된 음성정보를 동시에 전송  32개 채널에서 추출한 표본을 프레임이라 함 1 프레임 = (32 X 8) 비트 = 256 비트  전송속도는 초당 8000번 표본추출하므로 256비트 X 8000/초 = 2.048Mbps  유럽에서 주로 사용하므로 유럽방식전송시스템이라 함

  16. 이미지 및 동화상정보의 디지털화 이미지(정지화상)정보의 디지털화  이미지정보의 디지털화 방법 비트지정방식(Bit map method) 프로그램방식(Program method)  비트지정방식 이미지를 화소(pixel)로 나누고, 각 화소의 명암 및 색상에 대한 정보를 코드화 <그림> 이미지정보의 디지털화 예  프로그램방식 표현하고자하는 대상의 위치와 크기등을 좌표로 지정하여 이를 프로그램화 <그림> 포스트스크립트 프로그램 예  대표적 예는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 언어  전송되는 정보량 줄임  이미지가 정형화되지 않고 복잡한 색과 형태 변화를 보일 경우 비트지정방식보다 비효율적

  17. 이미지 및 동화상정보의 디지털화 동화상정보의 디지털화  동화상정보의 디지털전송시스템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 Converter),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D/A Converter), 대역폭의 압축 및 팽창을 위한 디지털-디지털 변환기(D/D Converter), 전송장비로 구성 <그림> 동영상정보의 디지털화 시스템 구성도  동화상정보의 표현방법 1) 흑백 TV 경우 매 1/3초마다 라인당 약 280개의 화소를 가지는 360라인의 프레임을 전송하며, 검은색에 서 힌색까지의 명암차이를 8비트(256등급)으로 표현하고, 이를 압축하여 전송 2) 컬러 TV 경우 흑백 TV의 표현정보에 색상정보를 포함하여 전송  동화상정보의 디지털화 방법 PCM 부호화 예측 부호화 보간 부호화 움직임보상 부호화

  18. 이미지 및 동화상정보의 디지털화 동화상정보의 디지털화 방법  PCM 부호화 신호를 표본화하고 각 표본을 N레벨을 이용하여 양자화한 후 이를 부호화  간단하며 경제적  화질 훼손이 가장 작음  높은 전송비트율과 비싼 전송가격  예측 부호화 부호화될 표본의 예측값을 먼저 부호화된 정보로부터 얻고, 이들의 차를 양자화한 후 부호화  양자화기 레벨의 수(N)에 따라 델타변조(N=2)와 차등PCM(N>2)으로 구분  동화상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 경우 효율적 (예: 골프시합 장면 전송)  보간 부호화 화소의 일부는 전송되고 나머지 화소들은 주위 화소들의 평균값으로 보간

  19. 이미지 및 동화상정보의 디지털화 동화상정보의 디지털화 방법  움직임보상 부호화 한 프레임에서 다음 프레임까지 물체 이동을 추적하는 움직임벡터를 전송  예측부호화에 비해 1/2 ~1/3까지 줄일 수 있음 최근에 나오는 화상코덱은 어떤 부호화방법을 사용하나?

  20. 정보압축기술 정보압축기술  연속길이코드화(Run length coding) 화소의 명암을 이진비트로 표현하고(흑:1, 백:0), 0의 수와 1의 수를 부호화  팩스에서 사용 ( ITU에서 권고한 팩스 압축부호화 방식인 MH와 MR방법을 조사하시오)  간단  압축하지 않은 A4크기 한 페이지 당 4M비트를 100~200k비트로 압축 효과  차등코드화(Differential coding) 각 표본과 바로 이전 표본간의 차이를 전송  음성전송에서 사용  압축하지 않은 64kbps를 32kbps로 전송 가능  예측코드화(Predictive coding) 다음 표본의 값을 예측하는 예측장치를 두고, 예측치와 바로 전 표본의 실제값과의 차이를 전송  예측장치는 전송해야 할 신호의 종류에 따라 결정 문제 1 : JPEC 기술 중 가변문자길이코드화방법과 Wavelet코드화방법의 원리는? 문제 2 : MPEC과 MPEC-2에서는 어떤 코드화방법을 사용하며 그 원리는?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