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5

Atopic dermatitis

Atopic dermatitis. 지도교수 : 전혜원 교 과 목 : 보건영양학 발 표 일 : 2011. 05. 31 조 원 : 20103002 강미영 20103018 서장원 20103027 이다영 20103045 홍은영. 목 차. Ⅰ. 알레르기란 ? Ⅱ . 알레르기와 아토피의 차이점 Ⅲ . 아토피란 ? 1 . 원인 2 . 증상 3 . 합병증.

blanca
Download Presentation

Atopic dermatitis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Atopic dermatitis 지도교수 : 전혜원 교 과 목 : 보건영양학 발 표 일 : 2011. 05. 31 조 원 : 20103002 강미영 20103018 서장원 20103027 이다영 20103045 홍은영

  2. 목 차 Ⅰ.알레르기란? Ⅱ.알레르기와 아토피의 차이점 Ⅲ.아토피란? 1.원인 2.증상 3.합병증 Ⅳ. 식이요법 1.좋은 음식 2.나쁜 음식 Ⅴ. 식단 Ⅵ. 식이습관 Ⅶ.참고문헌

  3. Ⅰ.알레르기란? 생물체가 어떤 외래성 물질과 접하게 되면 항원항체반응에 의하여 생체 내에 급격한 반응 능력의 변화가 생기는데, 이를 알레르기라고 한다. 생체는 이종물질에 대해서는 그 항원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와 림프구를 생산하고 재차 항원과 접하면 여러 가지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4. Ⅱ.알레르기와 아토피의 차이점 1.아토피는 항원이 불분명하다. 항원으로 작용하는 원인 인자를 분명하게 밝힐 수 있을 때는 보통 알레르기 질환 혹은 알레르기 피부염이라고 진단한다. 2.아토피는 알레르기에 비해 면역계가 불안하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의 면역 장애는 IgE과잉 분비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5. Ⅲ.아토피란? 1.원인 ①과잉 생산된 IgE 사람의 몸에는 입이나 피부를 통해 들어오는 이물질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한 면역항체가 있다. 일반인에게T조직 림프구의 두 가지 형태(TH-1세포, TH-2세포)가 전반적인 균형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토피 환자에게는 TH2세포가 증가되어있다.

  6. Ⅲ.아토피란? ②가족력

  7. Ⅲ.아토피란? ③스트레스

  8. Ⅲ.아토피란? 2. 증상 ①영아기: 아토피 피부염의 주 증상은 생후2-3개월 이후 얼굴의 양 볼에 홍반성병변이 나타나며 흔히 태열이라고 부릅니다. 머리나 팔다리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②소아기: 팔, 다리의 접히는 부위, 엉덩이, 안검, 귀 주위에 잘 발생하며 많이 가렵습니다 ③성인의 아토피 피부염: 소아기와 비슷한 부위에 생기지만 더욱 만성화되어 소양증과 태선화가 심합니다. 손 습진이 흔히 나타납니다.

  9. Ⅲ.아토피란? 3.합병증 아토피 피부염의 합병증으로는 눈의 이상과 감염증, 주부습진 등이 있다. 눈 이상 증상에는 눈 주위 피부염과 아토피성 각결막염, 춘계 결막염, 아토피성 백내장 등이 있다. 귀에는 중이염등이호발한다. 그리고 포도상구균에 의한 농가진이 발생한다.

  10. Ⅳ. 식이요법 1.좋은 음식 ① 검은콩 콩은 아토피를 유발하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지만, 검은콩의 비타민E는 활성산소를 파괴시키는 효능이 있어 몸속을 정화시켜 준다. 또한 검은콩의 안토시아닌 색소는 자외선이나 공해 등의 영향을 받은 피부 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11. Ⅳ. 식이요법 1.좋은 음식 ② 연근과 우엉 엽록소, 비타민, 미네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독소가 몸에 들어오는 것을 막고, 독소를 흡착해 대변과 함께 체외로 배출시킨다.

  12. Ⅳ. 식이요법 1.좋은 음식 ③ 발효식품 우리 조상들의 지혜로 만들어낸 발효식품들(김치, 된장, 청국장, 고추장, 간장, 식초)등에는 인체에 유익한 균이 우리 몸의 소화흡수를 도와주어 면역력을 길러주어 아토피 개선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13. Ⅳ. 식이요법 1.좋은 음식 ④제철과일과 야채 제철과일류(사과, 배, 수박, 포도, 귤)와 제철야채류(브로콜리, 피망, 시금치, 당근)에 함유된 미네랄, 비타민류와 카로틴은 면역력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피부건강에도 좋다. 그리고 섬유질이 풍부하여 몸 속의 유해성분을 배출시켜 아토피에 좋다.

  14. Ⅳ. 식이요법 1.좋은 음식 ⑤양상추 양상추는 면역력이 약해 몸 전체의 균형이 맞지 않아 증상이 더 심해질 경우 면역력을 강화시켜 가려움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

  15. Ⅳ. 식이요법 2.나쁜 음식 ① 유제품 아토피 유발 빈도가 가장 높은 제품이다. 우유의 단백질이 바로 아토피의 악화 인자이기 때문이다. 아토피가 있는 사람들은 장점막의 방어벽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단백질이 장 점막을 투과하여 음식 알레르기를 일으키거나 알레르기를 악화시킬 수 있다.

  16. Ⅳ. 식이요법 2.나쁜 음식 ②어패류 게,새우,오징어,문어는 트라메칠아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아토피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17. Ⅳ. 식이요법 2.나쁜 음식 ③인스턴트 식품 햄이나 소시지, 라면, 스파게티, 햄버거 등과 같은 인스턴트 식품은 아토피에 해로운 식품 첨가물과 트랜스지방이 많아 몸의 면역체계에 이상을 일으킨다. 또한 방부제는 물론, 당분과 염분이 강하므로 피해야 할 음식이다.

  18. Ⅳ. 식이요법 2.나쁜 음식 ④밀 밀가루 음식은 알레르기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소화가 잘 안된다. 소화 능력이 떨어지는 아토피 피부염 아이들에게는 좋지 않다.

  19. Ⅳ. 식이요법 2.나쁜 음식 ⑤ 달걀 달걀 흰자에는 스무 가지가 넘는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달걀은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증상을 악화시킨다.

  20. Ⅳ. 식이요법 2.나쁜 음식 ⑥ 육류 유류는 활성산소는 수명이 짧지만 동물성 기름과 결합해 과산화질로 변하게 되면 쉽게 소멸하지 않아 오랜 시간 우리 몸의 세포를 파괴하기 때문이다.

  21. Ⅴ. 식단

  22. Ⅵ. 식이습관 1. 아토피피부염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먹지 못하게 하는 것은 옳지 않다. 2. 균형 된 식생활로 몸의 면역계를 강화시켜야 한다. 3. 섬유질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4. 항원성이 심한 식품(알레르기 음식)은 가급적 피해야한다. 5. 우유를 먹지 못하게 되므로, 다른 음식에서 칼슘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6. 달걀을 먹지 못하게 되므로, 다른 음식에서 철분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7. 증가된 단백질과 당질의 대사를 위해 충분한 비타민B군의 섭취가 필요하다. 8. 수분을 많이 섭취해야 한다.

  23. Ⅶ. 참고문헌 [출처] 알레르기 [allergy ] | 네이버 백과사전 [출처]아토윌한의원 [출저]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뉴스웨이브) [출저] 의학연수교육총시 제3집 개정판 가정의학, 가정의를 위한 진료지침(2003) -서울대학교 출판부 [출저]세계일보- 비만 어린이, 아토피 걸릴 확률 3배 이상 높다 [출저]편강한의원 - ‘국민병’ 아토피 피부염, 범인은 피부가 아닌 ‘폐’라고? [출저]네이버블로그http://blog.naver.com/samsoniter [출저]네이버블로그 [출처]네이버 건강검색 ‘아토피 피부염’ http://health.search.naver.com/search.naver

  24. THE END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