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9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전략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전략. 중소기업연구원장 김인호. Ⅰ. 문제 제기. 지원정책과 제도의 관심에도 불구 중소기업 문제의 심각성 대두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양극화 현상 심화 한국 중소기업 문제의 본질 중소기업의 취약성은 한국경제 태생적 한계인가, 해결 가능한 과제인가?. Ⅱ. 중소기업의 현황 및 당면과제. 중소기업의 국민경제적 비중. 중소기업의 국민경제적 비중

Download Presentation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전략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전략 중소기업연구원장 김인호

  2. Ⅰ. 문제 제기 • 지원정책과 제도의 관심에도 불구 중소기업 문제의 심각성 대두 •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양극화 현상 심화 • 한국 중소기업 문제의 본질 • 중소기업의 취약성은 한국경제 태생적 한계인가, 해결 가능한 과제인가?

  3. Ⅱ. 중소기업의 현황 및 당면과제 • 중소기업의 국민경제적 비중 중소기업의 국민경제적 비중 (2003년 기준) 주 : 사업체 •종업원 •수출은 전산업(수출액은 2004년), 생산 및 부가가치는 제조업 기준 자료 :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중소기업현황(2005. 4월)」 ‘03년기준 전체 사업체수의 99.8%, 고용의 87%, 생산 및 부가가치의 50.6%, 52.8% 차지

  4. Ⅱ. 중소기업의 현황 및 당면과제 중소기업의 수출 비중 (단위 : 억달러) 자료 : 관세청, 중기청 ‘03년 정점으로 지속적인 하락. ’05년 10월 현재 33.6% 기록

  5. Ⅱ. 중소기업의 현황 및 당면과제 주요국 중소기업의 국민경제적 비중 (제조업기준, %) * 주요국의 중소기업 범위(제조업 기준) : ①한국, 일본 : 종업수 300인 이하 ② 대만 : 납입자본금 8천만 NT$ 미만 ③ 미국 : 종업원수 500인 미만 ④ 영국 및 폴란드 : 종업원수 250인 미만 ⑤ 독일 : 매출액 5천만 유로 미만 자료 :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해외중소기업통계 (2004. 12월)」 한국은 사업체수나 고용면에서 선진국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

  6. Ⅱ. 중소기업의 현황 및 당면과제 • 중소기업의 변화 추이 • 사업체수는 1997년 이후 2003년까지 약 33만개가 증가 • IMF 외완위기 극복과정에서 구조조정 등으로 대기업을 통한 고용은 128만명 감소 • 중소기업 부문은 222만명의 신규 고용 창출 • 중소기업 체감경기의 악화 • 저조한 가동율, 자금사정의 악화, 각종 수익성 관련 지표의 부진 지속 • 최근 경기 회복세를 보이는 상황에도불구, 중소기업 체감경기는 둔감 • 매출액, 경상이익률, 매출액영업이익률 등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 확대

  7. Ⅱ. 중소기업의 현황 및 당면과제 • 중소기업의 구조적 문제점 • 중소기업 문제의 본질 • 중소기업 당면과제의 표출 : 낮은 가동율, 수익구조의 악화, 만성적인 인력부족, 대기업과의 기술격차 확대 등 중소기업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이 표출되고 있음. • 중소기업들이 당면한 현안, 예컨대 판로의 한계, 금융조달의 어려움, 대기업과의 문제, 환율 • 유가 등 대외변수에 대한 적응능력, 인력 확보상의 애로 등은 우리 중소기업의 경쟁력과 직결된 문제 • 중소기업이 직면한 문제는 한국경제 문제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중소기업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한국경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상황

  8. Ⅲ. 경제여건의 변화와 중소기업의 경쟁력 1. 중소기업 경영여건의 변화 • 중소기업 경영여건의 변화 • 혁신형 경제구조로의 이행 • 기술 및 산업구조의 급격한 변화 • 글로벌 경제환경의 변화 • 새로운 세계경제질서의 대두 : 세계화 - 냉전의 종식, WTO의 출범, FTA 등의 진전, 정보 • 통신기술의 발달 - 국경없는 무한경쟁의 시대, 수요자 중심의 경제구조, 지식기반 경제의 확산, 다국적 기업렵력의 시대 도래 • 중소기업을 둘러싼 국제경영환경의 변화 - 세계경제질서의 변화와 함께 기업의 국제화를 통한 국제경쟁력의 제고가 기업경영의 최우선관제로 대두

  9. Ⅲ. 경제여건의 변화와 중소기업의 경쟁력 • 대 • 중소기업간 격차 확대 • 경기양극화의 심화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기업실적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 •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부채비율, 차입금의존도 등에서 대 • 중소기업간 격차가 확대되고 있음 • 수익성을 나타내는 매출액대비 경상이익률, 매출액대비 영업이익률 등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격차가 크게 벌어지고 있음 • 차이나 쇼크로 대표되는 국제경쟁력 약화 • 우리 중소기업들은 흔히 말하는 ‘차이나 쇼크’에 대비할 시간도 없이 중국의 저가 공세에 노출되어 경쟁력을 급속하게 상실하였으며 급변하는 기술변화 속도에 적응 실패 • 중소기업의 주력상품의 시장 축소시기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절반 이상의 중소기업들이 이미 진행되었거나 진행 중이라고 응답

  10. Ⅲ. 경제여건의 변화와 중소기업의 경쟁력 2. 중소기업의 경쟁력 현황 • 노동생산성 • 인력부족의 심화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생산성 추이 (전년대비 증감률, %) 중소기업의 인력부족률 추이 주 : 중소제조업 기준 (2005년은 현재 조사 중) 자료 : 중소기업청

  11. Ⅲ. 경제여건의 변화와 중소기업의 경쟁력 • 중소기업의 기술수준 분야별 세계최고수준 대비 기술능력 수준 (세계최고수준=100.0, 단위 : %) 자료 : 중소기업청

  12. Ⅳ.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 1. 기술혁신능력 제고 : 원천기술의 확보 • 중소기업 기술혁신의 현황 • 10인이상 제조업체 중 기술혁신 활동 수행기업은 38% 차지 • 제조업 총 R&D투자액은 ’03년 12조원으로 매출액대비 2.64% 상승 • IMD에 따르면 과학기술 인프라 부문은 세계 2위이나 중소기업 효율성 부문은 50위에 불과 • 세계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한국상품은 77개(13위) •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능력 제고 • 혁신주체와의 공동협력이 중요한 혁신수단 • 다양한 형태의 기술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수자 특성별 맞춤형 기술혁신 활동 촉진 - 개별기업형, 기업협동형, 산학협동형

  13. Ⅳ.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 2. 벤처기업 육성 : 새로운 성장동력 • 국내 중소 벤처기업의 현황 • ’98년 2,042개에서 ’01년 11,392개를 정점으로 감소, ‘04년 7,967개 • 혁신시스템과 연계된 벤처기업 육성정책 • 벤처기업의 태동기 –‘97년 이전 (법과 제도 정비) • 창업촉진 및 인프라 확충기 –’97~’02년 (양적확대와 기반확충) • ’02년 이후 붕괴된 벤처 시스템 복원에 역점을 둠 • 새로운 벤처기업 육성 방안 - 기술집약적 중소·벤처기업의 역할을 정립 - 시장원리의 벤처생태환경 조성 - 질적인 발전으로의 지원정책 전환 - 벤처기업의 글로벌화

  14. Ⅳ.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 3. 부품 • 소재기업 육성 • 부품 • 소재산업의 위상 및 경쟁력 • ’03년 기준 제조업 생산의 38%, 제조업 종사자의 46%, 전체수출의 46%(’04)차지 • 무역수지: 대일무역적자의 40%, IT분야에서 40% 발생 • 생산성: 생산성 증가율 (92~97:평균 11.6% ▷97~02:평균 5.4%로 하락) • 산업연관도: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결과 전기와 전자기기 업종의 수입의존도 비대 • 부품 • 소재기업의 육성방안 • 장기전략 수립 및 정책간 연계성 강화 • 수급기업간 협력체제 구축 • 산학연 공동연구 내실화 • 금융지원시스템 확충

  15. Ⅳ.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 4. 인재유입 촉진 : 기술 및 경영혁신의 주체 • 인력부족의 원인 • 보상의 미스매치: 우수인력들의 취업 기피현상 • 숙련의 미스매치: 숙련된 인력의 부족으로 근로자의 훈련 및 재교육 불가 • 정보의 미스매치: 정보의 취약성으로 우수 인재 유입에 제한요인 • 중소기업으로의 인력유입 방안 •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개선 및 중소기업 클린화 사업 등을 통해 중소기업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을 개선하고 인력유입을 촉진 • 중소기업 장기근속자 출신 창업자에 대한 획기적인 지원체제를 마련하여 중소기업 근로자의 생애소득 극대화를 지원

  16. Ⅳ.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 5. 대 • 중소기업 협력기반의 조성 • 중소제조업의 63%가 하도급관계에 있으며 매출액의 50%비중 차지 • 대기업의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여 일방적 수혜가 아닌 동반자 관계를 구축해야 할 것임 • 대 • 중소기업간 교섭력 불균형 해소를 위한 의사소통 경로 및 공정한 경쟁풍토 조성에 노력

  17. Ⅳ.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 6. 국제화 추진 과제 • 중소기업과 중기업인의 국제화에 대한 인식 전환 • 경제 구조의 체질을 바꾸는 정책 전환 • 해외의 potential을 국내 중소기업과 연계시킬 수 있는 방안 강구 • 우리 경제구조의 특징, 산업의 발전 정도 등을 고려한 전략의 발굴

  18. Ⅴ. 결 론 • 중소기업의 경쟁력 문제는 거시적 시각의 접근 필요 •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도적, 구조적 접근방안 요구 • 정부의 직접 개입보다는 시장경제적 관점에서 접근 • 유연한 경제구조 • 엄격한 유인과 징벌 (incentive&penalty)의 원칙 확립 • 글로벌 기업가 정신의 함양 • 기업가 정신 (Entrepreneurship)을 고취하기 위해 국가와 사회 전체를 혁신과 창의가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는 거대한 교육과 학습의 장으로 만들어야 할 것임

  19. 감 사 합 니 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