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1

Pulmonary edema

Pulmonary edema. 2008. 11. 28. 폐부종이란 ?. 정의 : 폐모세혈관의 울혈과 혈장이 폐간질과 폐포내로 빠져나와 폐간질부종 , 폐부종이 나타난 상태 원인 : 뇌질환 , high altitude, 과량의 마약제 , 유해가스흡입 , 쇼크 , 수분과다 , 신장증 , 간질환 , 좌심부전. 1. 자극성 기체 (Irritant Gas) 에 의한 폐부종. 폐부종 원인. - Nitrogen oxide, 염소 , phosgene, 암모니아 , 화재시의 연기

Download Presentation

Pulmonary edema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Pulmonary edema 2008. 11. 28

  2. 폐부종이란? • 정의: 폐모세혈관의 울혈과 혈장이 폐간질과 폐포내로 빠져나와 폐간질부종, 폐부종이 나타난 상태 • 원인: 뇌질환, high altitude, 과량의 마약제, 유해가스흡입, 쇼크, 수분과다, 신장증, 간질환, 좌심부전

  3. 1. 자극성 기체(Irritant Gas)에 의한 폐부종 폐부종 원인 - Nitrogen oxide, 염소, phosgene, 암모니아, 화재시의 연기 - 노출 즉시 혹은 수 시간 후에 폐부종이 발생 - Gas의 농도 및 노출시간 등에 비례 - 공장이나 화재 현장에서 노출되었던 사람은 일단 12시간 이상 관찰 - 치명적 위기를 넘긴 후에도 폐 섬유화, 미세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등으로 후유증이 남을 수 있음

  4. 2. 위산의 흡입에 의한 폐부종 폐부종 원인 마취제나 진정제 과용, 간질, 혼수의 경우 위 내용물이 기도로 흡인되어 역시 폐포모세혈관 손상이 올 수 있다. 기관지를 알칼리 용액으로 세척하거나 부신피질 호르몬제나 항생제를 예방 투여하기도 하나 그 치료 효과가 입증된 바는 없다

  5. 3. 익사 할 뻔한 경우 폐부종 원인 • 폐포-모세혈관 손상이 와서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12시간 이상 관찰 - 가급적 빨리 인공호흡을 시키고 산소를 공급 - 환자의 1/3에서 4∼6시간 이상 인공호흡

  6. 4. Fat Embolism 폐부종 원인 - 드물지 않은 pulmonary edema의 원인 중의 하나 - 골절 후 수시간에서 2∼3일간의 잠복기 - 의식장애, 폐수종, petechiae, - 소변(50%)과 객담(10∼40%)에서 염색으로 구분되는 fat globule의 출현

  7. 폐부종의 병태생리 및 증상 1)폐울혈(pul.congestion) 2)폐간질 부종(pul. Interstitial edema) : 폐모세혈관 정수압18mmHg 이상상승 ⇒호흡곤란, 기좌호흡, 발작적 야간성 호흡곤란, 빈맥, 나음, 폐고혈압, 우심실과부하 3)폐포부종 : 폐모세혈관 정수압 25~28mmHg로 상승 ⇒폐모세혈관파열로 거품이 있는 분홍색 객담배출, 저산소혈증에 의한 질식할 것 같은 느낌, 호흡시 보조근 사용, 파고 창백한 피부, 발한

  8. 폐 부 종 검사소견 - 폐기저부와 기타 부위에서 기관지 호흡음과 수포음(rale) 청진 - 흉부 X-선 촬영상: Kerley씨 B-line 폐포성 부종 - 심부전에 의한 폐부종: 폐의 내측에 중심성으로 잘 나타남 -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시는 폐의 말초부위까지 폐포의 음영이 광범위하게 분포.

  9. 치료 목표: 호흡곤란의 완화 후부하 감소 • 항고혈압(nitropruside): 후부하(좌심실의 부하) 감소 • Morphine sulfate: 교감신경계의 활동을 줄여 호흡곤란으로 인한 불안을 감소 전부하 감소 • 혈관확장제(니트로글리세린): 전부하 감소 • 이뇨제(furosemide): 수분배설 • 윤번 지혈대: 전부하 감소위해 사지를 돌아가면서 지혈대로 묶음(거의 사용 안함) • 정맥절개술: 과다한 혈액량을 제거하기 위함 • 반좌위, 좌위: 다리를 아래로 하는 자세를 취하여 전부하를 줄임

  10. 치료 저산소증 교정 • 산소공급: 높은 FiO2 산소치료, CPAP 관류보조 • 심근수축 강화제(dobutamine): 좌심실부전 완화 • 소변배설량 감시: 신장의 관류 확인 • 대동맥내 풍선펌프(IABP: intra aortic balloon pump)

  11. 간호 사정: 불안(morphine), 호흡곤란(질문에 답을 잘 할 수 있을 시기에 사정), 최초체중, 폐사정(악설음과 수포음) 가스교환 장애 • V/S 매 15분마다 측정, 심전도 감시, 고유량 산소(산소포화도 90% 유지) 인공호흡기와 기관내삽관 비치, 반좌위나 좌위, 체위변경(피부관류 손상 가능성) 체액과다 • 유치도뇨관으로 이뇨상태 감시: 수분배설량이 수분섭취량 보다 많음 • 소변배설량, 체중, K 수치(furosemide 부작용: K 배설촉진) 사정 • 혈압, 구강으로 수분섭취 제한된 경우 2시간마다 구강간호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