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7

Production/ Service Systems & IE(Industrial Engineering)

Production/ Service Systems & IE(Industrial Engineering). Communication 에 대하여. 실컷 대화를 열심히 한 후에 다음과 같은 의문을 갖는 경우가 종종 있다 : "I know you believe you understand what (you think) I said; but I am not sure you realize that what you heard is not what I meant.". Communication 에 대하여.

calida
Download Presentation

Production/ Service Systems & IE(Industrial Engineering)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Production/ Service Systems& IE(Industrial Engineering)

  2. Communication에 대하여 • 실컷 대화를 열심히 한 후에 다음과 같은 의문을 갖는 경우가 종종 있다: • "I know you believe you understand what (you think) I said; • but I am not sure you realize that what you heard is not what I meant."

  3. Communication에 대하여 • 깨어 있는 시간의 80 %를 communication 하는 데 사용. • 그리고 이 중 절반의 시간은 듣기. • 말하는 속도는 1분당 125 단어, 그러나 듣는 속도는 분당 500-600 단어. • 이러한 속도차이 때문에 우리들 마음이 딴 데로 달아나기 쉽다. • So we hear but do not listen. • We are poor listeners because listening is not taught in school. • 학교에서는 쓰기를 가장 많이 가르치고, 읽기, 말하기, 듣기의 순서로 가르친다. 그러나 사용빈도는 그 반대의 순서로 발생. •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이해하고자 하는 열망을 갖고 자신을 훈련시키라..

  4. 우리는 어떻게 살아왔나? -반만년의 역사 -영토와 국민은 있는데 시간의 흐름은 없었다? -현재는? -미래는?

  5. 우리는 어떻게 살아왔나? -1905년 경의 사진

  6. 그렇다면 근래 및 최근의 상황은?

  7. 주요국가의 국가GDP 및 인당 GDP(2008년, 10억달러,천명,달러) *)2005년도 순위는 우리가 10위(7931억불), 인도가 11위(7754억불), 브라질은 그 뒤 (2006.4.27 매일경제)

  8. 주요국의 1999년도 명목 GNI (국민총소득) (단위 : 10억 달러) 8,880 4,055 2,104 1,453 1,404 980 398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중국 한국 (1) (2) (3) (4) (5) (7) (13) <괄호안은 순위, 1999년 기준, 자료:세계은행>

  9. 주요국의 1999년도 1인당 GNI (단위 : 달러) 42,930 38,380 33,470 32,030 31,910 24,170 8,490 룩셈 스위스 노르 일본 미국 프랑스 한국 부르크 웨이 (1) (3) (5) (7) (8) (21) (54)

  10. 우리나라의 인구 및 산업비중 *) World Fact Book: https://www.cia.gov/cia/publications/factbook/geos/ks.html **) 2008년도 산업별 노동인구 비율 추정치는 1차산업 7.5%, 2차산업 17.3%, 3차산업 75.2%.

  11. 제조업 노동생산성 : 1979-2003 (연간 변화량: 퍼센트) Source : Bureau of Labor Statistics

  12. 세계 수출량의 분야별 비중, 1990-2000(퍼센트) Source : World Trade Organization, International Trade Statistics

  13. 실물경제의 중요성 • 현재 우리의 생활수준은 세계경제의 중상류 층 (180여 나라 중 총GDP 10위, 1인당 GDP는 40-50위 정도) • 한국의 기업들은 한국 경제 부흥의 초석 역할을 담당하여 왔으며 향후에도경제 발전의 핵심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그러나 그 형태는 달라질 것이다 - 디지털 경영, 2.5차 산업, 0.5차 산업,e-…, u-… • 우리의 미래는? • N 커브 vs M 커브? • 우리 기업들의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보완하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 • (예) 영국의 후회 – 기업을 채산성 위주로 정리하였다. 기술을 파는 정도로는 6000만 인구를 먹여 살릴 수 없다 • 미래 사회는 지식노동자의 사회(피터 드러커 교수의 예측)

  14. 제조업의 중요성 – 최소한 20년 이상? 전체GNP 구조 • 최근의 금융위기는 결국 실물경제의 뒷받침 없는 경제성장은 허구임을 보여주는 것 • 지식근로자: 지식 작업을 하는 사람이 아니라 작업에 지식을 적용할 수 고등교육 받은 사람 • 우리나라에는 위기이자 기회(1974년 한국의 외환보유고?) 1차산업 2차산업 3차산업 GNP 구조 1/6 1/3 1/2 實 재화 생산 GNP 구조 1/3 2/3 0

  15. 2005넌도 Fortune Global 500 Companies Rank Company Revenues ($ millions) 1 Wal-Mart Stores(2) 287,989.0 2 BP(7) 285,059.0 3 Exxon Mobile(1) 270,772.0 4 Royal Dutch/Shell Group(6) 268,690.0 5 General Motors(4) 193,517.0 6 DaimlerChrysler 176,687.5 7 Toyota Motor(10) 172,616.3 8 Ford Motor(4) 172,233.0 9 General Electric(8) 152,866.0 39 Samsung Electronics 71,555.9 47 Sony 66,618.0 92 Hyundai Motor 46,358.2 괄호 속은 작년 순위

  16. (산업생산 비중/고용인구비중)-2008* *)Source: https://www.cia.gov/cia/publications/factbook/geos/ks.html **) farming, forestry, and fishing 0.6%, manufacturing, extraction, transportation, and crafts 22.6%, managerial, professional, and technical 35.59%, sales and office 24.8%, other services 16.5%

  17. Engineering(공학): Theprofession in which a knowledge of the mathematical and natural science gained bystudy, experience and practice is applied with judgment to develop ways to utilize, economically, the materials and forces of nature for the benefit of mankind. • ME(기계공학), EE(전기공학), Civil E(토목공학), Ch.E(화학공학), CE(컴퓨터공학)

  18. Industrial Engineering(산업공학): Industrial Engineering is concerned with the DESIGN, IMPROVEMENT and INSTALLATION of INTEGRATED SYSTEMS of PEOPLE, MATERIAL, EQUIPMENT, INFORMATION and ENERGY. It draws upon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in the MATHEMATICAL, PHYSICAL and SOCIAL SCIENCES together with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engineering analysis and design to SPECIFY, PREDICT and EVALUATE the results to be obtained from such systems.

  19. 미래사회에 대한 힌트

  20. 산업공학에서의 생산/서비스 부문의 위치 • 전통적 공학분야는 제품의 설계와 관련이 깊지만 산업공학은 제품의 생산 그리고 서비스 산업과도 관련이 깊다. • 산업공학의 목표중의 하나는 Engineer출신의 CEO( Chief Executive Officer)를 배출하는 것. • 제조분야는 산업공학의 전통적인 핵심 응용분야: 생산관리, 품질경영/신뢰성, 물류관리 Job Design, Operation Management CI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ERP/SCM( Enterprise Resource Planning/Supply Chain Management) • 그러나 또한 미래에 대해서도 준비해야 한다 시스템 Designer Job Designer

  21. 제조 시스템의 과거와 현재 1780년경 공장형 제조 시스템 태동 1900년경 Taylor의 과학적 관리 1930년경 호오도온 공장실험(산업심리학의 발달) 1975년경 MRP(자재소요계획) 1985년경 CIM(컴퓨터 통합생산) 1995년경 CALS(광속의 상거래) ERP(전사적 자원계획)

  22. CIM 시스템 • CIM시스템(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 • '製造( Manufacturing )업무의 효율성 提高를 ( 목표 )' • '컴퓨터( Computer )로 대별되는 자동화/정보처리 기술을 ( 도구 )' • '모든 업무를 정보처리 시스템을 통해 일체화( integration ) ( 철학 )' • CIM 시스템 이후: • 지능형 또는 홀로닉 제조 시스템( Intelligent/HolonicMfg. System) • 광속의 商거래(CALS: Commerce At the Light Speed ) 또는 e-Business • SCM(Supply Chain Management), KMS(Knowledge Management),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이들의 핵심개념은 CIM에서의 부분적인 확대 : • 컴퓨터 및 통신기술의 최대 활용 • 분산/소형화 • 소비자의 개성화된 시장요구(mass customerization)에 민첩 대응

  23. 우리의 기업 여건은? 즉 사회의 경쟁력은? • 우리 국가경쟁력이 아직 선진국에 뒤지는 이유는 시스템 측면에서 취약한 부분이 있기 때문(IMF 이후 괄목할 진전이 있었지만…) • 산업공학은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하여 탄생한 학문분야 : • 인간, 물자, 설비, 정보, 에너지로 구성된 시스템의 설계, 설치, 개선에 관여하며 이 같은 시스템으로 달성 가능한 목표를 명시, 예측, 평가. • 사회의 건강 문제도 시스템적으로 개선가능 : • 사회학은 내과적 접근 • 산업공학은 외과적 접근

  24. 어떤 기업이 성공하는가? • 국내에도 세계시장 점유율 3위 이내의 제품을 만드는 기업들이 다수 존재 • 그들 기업의 공통점 : • 시스템을 갖추고 있음(테일러의 아이디어의 실천) • 산업공학 기법의 숙지 및 활용 • 종업원에 대한 아낌없는 교육투자 • 컨설팅 • 경영학의 거두 Peter Drucker 가라사대: • 세상에 정말 정의가 살아있다면Taylor를 19세기의 visionary로 인정하여야…(D, F, M 대신 D, F, T 로) • 제조업의 생산성 향상으로 선진국의 조건은 How to work smart로… • Working smart의 원조는 Taylor, 그러나 정보통신시대의 Working smart의 방법은 아직 아무도 모르고 있다.

  25. 최근의 경영혁신 기법 • 최근 각광받고 있는 여러 경영 기법들은 거의 대부분이 산업공학과 관련된 것. • GE사의 Jack Welch 전 회장을 전설적인 존재로 만들어준 6 Sigma 기술은 품질경영에서 파생된 것이다. • 일본 Toyota 자동차의 JIT( Just In Time)/TPS생산이라는 것도 산업공학의 Motion and Time Study에서 탄생한 것이다. • 가장 성공적인 정보 시스템 구축 도구인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이나 SCM( Supply Chain Management)는 생산관리 도구인 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부터 시작. • 결국은 시스템 기술이 미래의 성공적인 제조 시스템의 핵심

  26. 정말로 ERP가 산업공학과 관련이 있나?

  27.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AP R/3 모듈 Logistics Module Accounting Module Human Resources Industry Solutions Courtesy: SAP AG

  28. 공급 체인 관리 APS/ATP ERP 발전 과정 기업간의 상호 정보 통합을 통한 시너지 개념 EERP 2000년대 기업 전조직간의 상호 정보통합을 위한 전사적 개념 EC/EDI ERP 1990년대 생산관련 정보의 자동화 측면에서 추진 품 질 관 리 실험실 정보관리 생산 공정관리 생산 공정관리 주문 사양관리 주문 사양관리 현 장 통 제 현 장 통 제 MRP II 1980년대 정기적 보고관리 정기적 보고관리 기업의 원활한 자재/구매활동을 위해 제안 창고관리 시스템 창고관리 시스템 생산 Lot Control 영업주문 관리 현장 데이타 수집 MRP 1970년대 물 류 관 리 재무회계 관리 Routing & Workcenter Bill of Materials 생산능력 계획(CRP) 자재수배 계획(MRP) 주생산일정 계획(MPS) 재 고 관 리

  29. R/3 로그온

  30. R/3 메뉴 구조

  31. ERP와 그 이후 •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SCM( Supply Chain Management)은 선진 기업들이경쟁력 유지의 원천. • 과거ERP의 구축 및 운영은 국제 경쟁력을 갖춘 기업의 충분조건,현재는국제적 기업의 필요조건에 불과. • 확장ERP( Extended ERP 또는 ERP II)의 시대가 도래.

  32. 확장 ERP • “BUY SIDE” • Supply Chain • Management • Supply Chain Execution • Supply Chain Planning • Collaborative Production • “IN SIDE” • Knowledge • Management • 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 Knowledge Management • “SELL SIDE” • Customer • Relationship • Management • Tele-, DB-, e- Marketing • Customer Care & Service • Call Center/ Tele-Business e-Business

  33. 전략기업경영관리 (SEM) 제품수명주기관리 (PLM) 고객 공급자 고객관계관리 (CRM) 공급자관계관리 (SRM) 기업내부프로세스 (Core ERP) 공급망관리 (SCM) 4. EERP 솔루션간의 상호관계 개념도 Courtesy : SAP Korea

  34. ERP 핵심개념 Order Information Released Order ERP Master Data Gantt chart

  35. 원자재 재료 재활용 노트북 Oil field 철 판 철광석 자동차 반도체 PDP 모 래 제품 SCM 개념

  36. System Integration APO Master Data R/3 Demand Planning Network Design SEM BW SupplyNetwork Planning Courtesy: SAP AG

  37. Components of SCM Supply Network Planning • Graphic user interface to manage total supply chain Courtesy: SAP AG

  38. Components of SCM Network Design Design and Redesign your Supply Chain Courtesy: SAP AG

  39. Components of SCM Geographical Location Assignme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è . . . . . . . Courtesy: SAP AG

  40. Components of SCM System Integration APO Master Data R/3 Demand Planning Network Design SEM BW SupplyNetwork Planning Courtesy: SAP AG

  41. 가장 최근에는 e-Manufacturing, Virtual Enterprise Model, Rosettanet, XML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42. Rosetta Net solution (made in Korea)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