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6

글 이해: 응집성과 대비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학술대회- 2000. 11. 3.

글 이해: 응집성과 대비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학술대회- 2000. 11. 3. 이 정 모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대학원 인지과학 협동과정 jmmlee@yurim.skku.ac.kr. Pupil : 'What is the one word? ’ Master: 'What do you say?' Pupil : 'What is the one word?' Master: 'You make it two. ’

Download Presentation

글 이해: 응집성과 대비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학술대회- 2000. 11. 3.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글 이해: 응집성과 대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학술대회- 2000. 11. 3. • 이 정 모 •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대학원 인지과학 협동과정jmmlee@yurim.skku.ac.kr

  2. Pupil : 'What is the one word?’ Master: 'What do you say?' Pupil : 'What is the one word?' Master: 'You make it two.’ - Zen Buddhism (Humphreys, 1961) -

  3. Comprehension implies forming coherent wholes with Gestalt-like qualities out of elementary perceptual and conceptual features(of a text). It is a marvelous and wonderous achievement, for there are myriads of such features ready to yield many different configurations. ...how do they cohereinto an understanding that is attuned to our goals and motivation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uation within which we found ourselves??(Kintsch, 1998; pp. 93-94)

  4. 1.언어 이해와 기억 연구의 출발 • Bartlett (1932): • The War of Ghost’ • - 글 이해가 지식을 적용한 construction임 • - schema의 적용 • - 추론, 오류, 왜곡

  5. 2. 1970년대 초 연구 (제1 세대) • 문장과 글의 기억 표상 강조 • * Anderson & Bower, 73; Kintsch, 74 • 문장, 글의 기억 의미표상에 초점 둠 • 글 이해의 과정(processing) 강조 • * Haviland & Clark, 74: • 참조와 연결, 통합 과정 • 글 읽기 과정의 세분화 • * Rayner, 75 등 • eye-tracking methods/ 추론과정에 초점

  6. 3. 70년대 후반- 80년대 초 (제 2 세대) • Representation / Processing based Models • (Kintsch & van Dijk, 1978) • 지식표상 + 작업기억 + 온라인 처리 + simulation • - 글 읽기의 요소과정 • (Just & Carpenter, 1980) • - 온라인 독서과정 • - 눈동자 움직임, 즉시 처리과정

  7. 4. 방법론적 발전과 변화 • 방법유형1: 사후확인 절차 - 전통적 이해 연구의 방법 • - 자유 및 단서 회상 과제 • - 질문-응답 과제 • 방법유형2: uninterrupted 절차 • - self-paced reading task (단어, 문장별) • - computer controlled eye-tracking task • - 온라인 과정의 존재 여부, 시간 경과

  8. 방법유형3: interrupted 절차 • - naming task • - 판단과제 • - lexical decision • - probe recognition • - context verification • - detection task (신호음, 음소, 철자) • - Modified Stroop Task • - think aloud task

  9. 5.주요 연구주제(텍스트 수준) • 기억 표상 • 표상의 기본단위/ 명제 표상의 심리적 실제 • 소형명제와 대형명제의 구성과정과 위계적 표상 • 상황모형 표상: 글을 넘어선 표상: • 심적 공간 표상, mental model의 실제

  10. 추론 • 추론의 유형별 추론 생성과정과 양식 • 텍스트기반추론 (대용, 인과, 이야기 도식) • 지식기반추론 (도구, 예언, 예화, 논리, 대비) • 정서기반추론 (주인공, 독자, 저자) • 저자 의도 추론 (장르, 사회문화 맥락)

  11. 대용 추론 (anaphoric inference) • 인과 추론 (causal inference) • 기타 일반 추론 • 도구 추론 (instrument inference) • 예언 추론 (predictive inference) • 예화 추론 (instantiation inference) • 대비/모순 추론 (contrastive inference) • 이야기 도식 추론 (story schema based inference)

  12. 온라인 처리 과정 • 텍스트와 지식의 상호역동적 처리의 과정적 특성 규명: 시간경과적 접근 • 글과 어휘의 상호작용 과정 • 글 맥락에서의 온라인 어휘처리 • SOA 200-400msec : 다양한 의미 활성화 • SOA 400-1500msec: 맥락과 의미 통합

  13. 언어이해 처리과정 • 1. 언어자극이 주어지기 직전 과정 • 잠정적 상황모형 형성 • 2. 자극입력후의 형태 파악, 어휘 접근, 통사구문 분석과정 • 3. 명제분석과정 • 4. 참조적 연결 해결 처리과정 • 5. 대형구조 형성과정 (글 구조) • 6. 지식구조의 활용 과정 • 7. 지식 근거한 추론 과정 • 8. 온라인 추론과정 • 9. 상황모델 처리과정 • 응집적 기억 표상으로 저장

  14. 추론의 온라인 과정 규명 • 글 맥락에서의 온라인 추론의 범위 • 최소주의와 구성주의 • 구성주의 입장의 강세 • 글 맥락에 의한 온라인 지식 활성화 과정 • 개념범주 지식 • 행위각본 지식 • 다른 유형의 지식구조 활용 • 온라인 접근: 미시적 (과정) 이해 강조 • 시작은 명확하지만 종결은 불명확

  15. 6. 글 이해의 이론: 80년대-90년대 전반 (제 3 세대) • "Text understanding is the dynamic process of constructing coherent representations and inferences at multiple levels of text and context, within the bottleneck of a limited-capacity working memory. (Graesser & Britten, 1996, p. 350)"

  16. 1세대와 2세대 연구의 통합, 종합적 접근,질적 접근의 중요성 인정 • 이해란 지식 적용/ 표상이다 • Assembly of a multileveled representation • 명제가 의미의 기본 단위 • 이해 표상은 구조화된 망의 유추로 접근 • 적용/활용되는 (事前) 지식 유형의 효과 • 상황(심성) 모형의 중요성 • text base 표상 vs. 상황모형 표상

  17. 이해란 기억 표상 구성이다. • complex dynamical system • 작업기억의 역할의 중요성 • 장기기억의 구조의 중요성 • encoding과 인출과정의 중요성

  18. 이해란 응집적 표상 형성이다. • construction of coherent representaions • 통합성, 연결성, Gestalt-like • 응집성의 유형 분류 • 응집성과 표상의 관계 • 응집성과 추론 관계 • 응집성과 기억

  19. 이해란 inference generation이다 • 추론 없이는 이해 불가 인정 • 추론의 여러 유형의 세분화 • 관계 추론(참조, 인과...)의 중요성 인정 • 온라인 추론 중요 • 추론의 긍정적/ 부정적 효과 인정 • minimalist 대 constructionist 입장 대립

  20. 이해 체계는 hybrid system • symbolic and subsymbolic(신경망모형) • 이해에서의 세부하위 온라인 과정 규명 중요 • 기억 활성화/ 조정 과정 • 작업기억의 한계 효과 • reference resolution 과정 강조 • 추론과정 강조

  21. 연결주의 모델의 도입 • 기억에서의 확산적활성화 (spreading activation) 모형 적용 • 병렬적 처리 모형 • 문장 수준에서의 시뮬레이션 • 글 수준에서의 확산-통합 모형

  22. 7.3세대 모형들 • Construction-Integration Model • (Kintsch, 1988): • Structure-Building Model • (Gernsbacher, 1990): • Focusing Model • (Sanford and Garrod, 1981): • Spreading-Integration Model • (Lee, 1979)

  23. Construction-Integration Model(Kintsch, 1988, 98) • Stage 1: < Construction > • 글 이해 초기 단계: 병렬적 신경망적 과정 • 개념 의미 활성화 + 명제 구성 • 입력 자극에 대응되는 개념, 명제 구성 • 지식망에서 가장 밀접히 연결된 소수 개념 집합 활성화 => 자극 개념의 정교화

  24. 단어 개념 활성화 • bottom-up, 맥락 무관 • 한 단어의 여러 의미 활성화 • local 응집성적 추론 • 400msec 후에 맥락의존 의미 선택 • 맥락 무관련 의미 억제 • 연결된 모든 쌍들에 비중, 연결강도 부여 • Latent Semantic Analysis (LSA) • 한 개념/명제의 의미는 다차원적 의미공간에서의 상관 벡터로서 개념화 함

  25. Stage 2. Integration • 글 맥락 + 단어 의미 통합 • 응집적이지 않은 요소들을 응집적이고 안정적인 text-base 표상으로 변환함 • 긍정적 연결은 강도 상승화, 부정적 연결은 연결강도 억제 • relaxation process -> 문장이 끝나기 전에 의미 파악 , 표상 형성

  26. Structure-Building Model(Gernsbacher, 1990) • Mapping and Shifting Processing • - 언어이 해처리는 구조 형상 과정 • - 이해 목표는 응집적 심적 표상 형성 • - 3 구조형성과정 + 2 활성화 미케니즘

  27. 1. process of laying foundation • 입력자극에 의해 기억의 마디들이 활성화됨 • => 심적 표상의 기초 형성 • 첫 요소들에 더 많은 정보처리 노력 • => 첫 부분 기억 잘됨 • !!! Advantage of First Mention

  28. 2/3. processes of mapping and shifting • 이전의 활성화된 기반 내용과 대조 • -> 이전과 연결되는, 응집적인 구조 구성 • -> 더 잘 이해, 기억됨 • 단서: the, because 효과 - 응집성, 추론 • - 이전 정보와 맞지 않으면, 응집적이지 않으면 이동하여 새 구조 형성 • -> 새 정보의 처리 속도가 느리고 기억 나쁨

  29. 4/5. mechanisms of suppression & enhancing • 기억마디가 활성화되면, 처리 신호를 전달함 • 처리신호: 다른 마디들의 활성화 향상/ 억압 • 계속된 구조 구성에 필요한 정보는 향상됨 • 언어처리는 일반적 인지과정에 대응 • shifted elements의 처리 부담, 저하 • less skilled reader • 최근 정보 기억 못함 <= 자주 shift • <= less efficient suppression mechanism

  30. Focusing Model(Sanford and Garrod, 1981) •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 참조적 응집성, 대용 관계 해결에 초점 • 앞에 나온 내용과 뒤에 나온 내용의 연결 • 지금까지 나온 내용에 대한 응집적 해석에 초점/ top-down 강조 • discourse focus - 글주제 초점 • - explicit focus(글) - implicit focus(배경지식) • 화용적 추론 제약 (전체적 응집성)

  31. Spreading-Integration Model(Lee, 1979; 1989) • Elaboration & Coherence Processing • 이해의 응집적 표상 형성은 텍스트 정보가 이해자의 지식에 융합되는 과정 • 이해의 두 가지 미케니즘: • 기존 표상 연결의 확산적 활성화 • 활성화된 정보들의 상위추상수준 통합화 • - 이해는 표상의 계속적, 점진적 수정

  32. 1단계: spreading elaboration • text-based, knowledge-based, situation based 수평적 확산 처리 • 2단계: integrative elaboration • 상위의 추상적 통합적 표상적 형성 • 3단계: situation-activity processing • 이해 표상은 상황적 행위에의 tuning 과정

  33. 8.연구 예: 응집성과 대비 • < coherence > • 정의: • 글의 의미 내용이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연결성 있고, 통일된 내용으로 표상된 바

  34. 응집성 유형 • coreferential coherence • sentence topic coherence • thematic coherence • global(text-grammar) coherence • situational(act) coherence

  35. 기존의 응집성 연구의 단점 • 예상에 부합되는 글내용 이해 중심 모형과, 경험적 연구 결과 제시 • 이는 assimilation 중심의 연구 • 기존지식구조가 부합되지 않는 불일치 정보, 모순, 대비 정보의 이해, 처리와 그에 따른 응집적 표상의 문제 다루지 못함 • 보다 상위 수준의 응집성으로의 통합적 이해과정 (accommodation)다루지 못함

  36. 대비, 응집성, 이해 • 대비관계:이전에 활성화된 지식구조의 내용에 의해서 명백히 또는 암묵적으로 예기된 사건 또는 특성이 후속 정보에 의해 충족되지 않으며, 예기된 내용과 부정적 관계에 있는 정보가 출현하는 관계 • 글 이해에서의 이러한 내용의 출현은 • 부가적 정보처리와 • Spreading Elaboration & Integrative Elaboration • 상위수준 응집성 표상 형성 처리 유발함

  37. 실험 연구 • [모형] • 대비정보 이해: 부가적 정보처리를 요함 • 현 정보와 기존 상황모형과의 비부합 파악 처리 • 새 정보를 활성화, 추론하여 비부합의 해결 처리 • 이 모든 정보들을 새로운 상위수준 응집 표상으로 통합처리

  38. [가정/ 가설] • 대비 정보의 처리는 encoding 시에 부가적 정보처리 요함 • => 읽기(이해처리) 시간이 더 길다 • 상위추상수준의 표상으로 저장되어(인출단서) • => 더 빠르게, 잘 인출된다 • 대형구조 수준의 대비는 상위 수준의 더 깊은 처리 • -> 부호화 시간이 길음 • -> 회상이 더 쉬움 (빠르게, 더 잘 회상)

  39. [연구결과] • target 문장의 읽기시간 • contrast noncontrast • _________ _________ • EXP.1: short story 1280 > 1166 ** • EXP.4: long story 4441 > 3005 ** • EXP.5: long script 3018 > 2405 msec. **

  40. 단서-회상량: • 대비글 일반글 • EXP2: Target sentence 11.71 > 8.59 [ Cue = the preceding sentence ] • EXP3: • : discourse 9.5 > 7.8 • : sentences/discourse 3.37 > 2.92 • : target sentence/discourse 0.86 > 0.651 • [ Cue = theme word ]

  41. 대비 수준 효과 • 읽기 시간 점화재인시간 • EXP4: (story) 대형 소형 대형 소형 • _____ _____ _____ ______ • CONTRAST 5037 3977 ** 2082 2434 • NONCONTRAST 2916 3094 3264 3748.** • _____ _____ _____ _____ • EXP5: (script) • CONTRAST 3203 2782 ** • NONCONTRAST 2265 2285 msec. • _____ _____

  42. 비부합 해결 효과 • 대비 문장 직후 문장이 대비문장에서 유발한 비부합 해결, 또는 미해결 • 마지막 문장 읽기시간 : 해결 = 미해결 • 회상량: 해결 83% > 미해결 33% • 점화재인시간 : • 해결시는 대형 = 소형 • 미해결시는 대형 < 소형 • 2907 2513 msec. **

  43. 15-22개 문장의 긴 텍스트 • 읽기 시간은 대비문장이 더 느리나 • 점화재인, 인출 시간은 대비 문장이 더 빠르다.

  44. [대비 연구의 의의] • - higher level elaboration & coherence • 대비 정보 처리: 처리는 노력을 요하나, 기억 등에 긍정적 효과 • - 상위 수준의 통합적 응집성 처리의 중요성 • - irony, metaphor 등의 이해 과정 규명 • - disequilibria => equilibria 의 사이클적 생성 과정 (Piaget) • 언어 이해 개념 확장

  45. 9.글 이해 이론과 관점의 확대 • <전통적 접근에 대한 비판> • * 핵심: 이해는 archival 기억 표상 구성 • : 언어자극은 단순한 처리단서일뿐 • - 기억 표상 구성으로서의 이해 • - 고전적 데카르트적 존재론, 인식론에 의존 • - 지각-행위 과정의 무시 • - 사회/문화 요인의 간과

  46. <대안적 접근> • 가.인지주의 패러다임의 수정 • - 마음과 인지?개념의 재개념화 추세 • - 인간의 마음/인지/언어의 본질: • - embodied mind/cognition • - mind: extended and distributed • - situated mind/cognition -> activities • 마음 개념의 확장

  47. '마음'의 개념의 확장 • 물리적/사회적 환경에 구체적인 몸 속에 구현된(embedded) 마음, • 비표상(nonrepresentation) 체계로서의 마음, • 환경과 상호작용 할 때에 비로소 존재하게 되는 마음, • not: 많은 innate & static 지식이 내장된 단원적 modules로서의 마음 • but: 최소한(Less)의 지식/표상을 지니고 , 환경과의 상호작용 가운데서 매 상황에 대한 역동적 적응반응들이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순간적 앎의 연결로서의 마음

  48. 인지란? • 두뇌-환경(인공물 포함)을 연결하는 '지식 활용의 과정과 내용' • 환경과 인공물, 인공체계 등에 • 확장된 인지 (extended cognition) • 분산된 인지(distributed cognition) • 분산된 지 (distributed intelligence) • socially-shared cognition • cognition as activities

  49. 상황지워진 활동으로서의 인지 • cognition as situated activities, • 개인이 아니라 개인과 사회적, 물리적 환경의 상호작용 강조 • 정보의 처리를, 정보의 구조와 외적 변화에 대한 가능한 행위를 연결시켜 정보가 생성되는, 해석되는 과정으로 간주 • 새로운 분석단위: 인간과 환경 비분리

  50. 상황적 행위로서의이해 • > 이해에 대한 새로운 관점 • 이해자로 하여금 상황적 행위를 준비하게 함 • 입력: 언어자극만이 아니라, 물리적 대상, 사건, 신체, 다른 agents 포함 • 저장된 기억 표상: 단순히 추출된 언어적 정보가 아니라, 잠재적 지각, 행위, 상호작용들 (과거, 현재, 미래와 관련된) • .- 이해의 결과물: 이해된 언어표상이 아니라, 대상에 대한 행위, 다른 행위자들과의 상호작용, 정보 탐색, 신체적 실행 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