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6

불교의 불타관

불교의 불타관. 대구불교대학 강사 : 윤영해 교수 제작 : 이 갑 덕. 부처님은 어떤 분이신가 ?. 역사적 부처님 : BC 624 년 탄생 , 불확실 - 그 분은 누구이신가 ? 신앙의 부처님 : 그 분은 나에게 어떤 분이신가 ? 여래 십호 : 어떻게 불리셨나 ?. 여래 십호. 여래 ( 如來 ). 세간해 ( 世間解 ). 무상사 ( 無上士 ). 응공 ( 應供 ). 정변지 ( 正遍知 ). 조어장부 ( 調御丈夫 ). 명행족 ( 明行足 ). 천인사 ( 天人師 ).

chico
Download Presentation

불교의 불타관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불교의 불타관 대구불교대학 강사 : 윤영해 교수 제작 : 이 갑 덕

  2. 부처님은 어떤 분이신가? • 역사적 부처님: BC 624년 탄생, 불확실 - 그 분은 누구이신가? • 신앙의 부처님: 그 분은 나에게 어떤 분이신가? • 여래 십호 : 어떻게 불리셨나?

  3. 여래 십호 여래(如來) 세간해(世間解) 무상사(無上士) 응공(應供) 정변지(正遍知) 조어장부(調御丈夫) 명행족(明行足) 천인사(天人師) 선서(善逝) 불/세존(佛/世尊)

  4. 1. 여래(如來) • 어원: 여래(thatagata) = thata(그렇게) + agata(가다, 오다) 그렇게 가신 분, 그렇게 오신 분 • 여법(如法)하게, 법답게 오신 분 • 의미: 진리대로 오신 분(여래: 如來), 진리대로 가신 분(여거 :如去)

  5. 2. 응공(應供) • 응공 (아라한) • 마땅히 공양을 받으실만한 분 • 공양을 받아도 빚이 안 되시는 분

  6. 3. 정변지(正遍知) • 온 세상의 참 모습을 올바로 (두루두루) 아시는 분

  7. 4. 명행족(明行足) • 계율, 선정, 지혜를 완벽하게 실천하시는 분

  8. 5. 선서(善逝) • 세상의 모든 번뇌를 잘 보내버리신 분, 번뇌를 훌륭하게 극복하신 분

  9. 6. 세간해(世間解) • 세상의 모든 일을 잘 아시는 분

  10. 7. 무상사(無上士/師) • 위없는 스승, 능가할 자가 없는 스승

  11. 8. 조어장부(調御丈夫) • 모든 번뇌와 악의 침범으로 부터 자신을 잘 제어하시는 분

  12. 9. 천인사(天人師) • 신과 인간들의 스승

  13. 10. 불/세존(佛/世尊) • 불 : 부처님 , 붇다(Buddha) , 佛陀, 覺者 ( 깨달으신 분 ) • 세존 : 세상에서 가장 존귀하신 분. =바가바

  14. 부처님의 두 다리 • 귀의불 양족존(歸依佛 兩足尊) • 兩足= 福德 +智慧 가 아니라 智慧 + 慈悲 • 부처님은 지혜를 성취하시고 자비를 실천하시는 분 • 구도의 종교, 제도의 종교 • 지혜 -- 上求菩提 (成佛)- - - 자각-자리- 구도 • 자비 -- 下化衆生(佛國土完成)-각타-이타- 제도

  15. 개혁불교 : “깨달음의 사회화” 자비를 실천하는 속에서 지혜를 터득해야 한다. 성불 위주에서 사회구원 - 부처님 나라 만들기로 깨달음의 내용 : 緣 起 法, 中 道, 空 緣起 - pratitya -samudpada ~에 의해서 생기다. ~에 의해서 존재하다. 모든 존재는 예외없이 저 스스로 생겨나는 것은 없다. 모든 존재는 어디에 의존해서 생긴다. 연기법을 보는 자가 진정한 불자다.

  16. 부처님은 나에게 어떤 분이신가? • 신앙생활 이후 우리의 생활 행동이 변해야 한다. • 불만, 번뇌에서 평화로 전환 • 곤란, 불행을 불교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평정을 유지할 수 있는 자세 • 들은 것을 體化, 自己化 해야한다.

  17. 18불공법(不共法) • 1 0 력 (十力) • 4무외 (四無畏) • 3염주 (三念住) • 대비심 (大悲心) 부처님이 18가지 중생과 다른 진리

  18. 10력(10가지 중생과 다른 힘) • 1. 진리와 진리 아닌 것을 판단하는 힘 • 2. 인과관계를 아는 힘 • 3. 여러 가지 선정에 통달하신 능력 • 4. 중생의 근기를 아는 힘 • 5. 중생의 욕망을 아는 힘

  19. 6. 중생의 성품을 잘 아는 힘 • 7. 업에 따라 생기는 세계를 아는 힘 • 8. 과거세의 기억을 잘 아는 힘 • 9. 미래를 아는 힘 • 10. 번뇌가 다해서 해탈여부를 아는 힘

  20. 4무외(4가지 두려움이 없음) • 1. 일체법을 깨달아 다른 사람의 비난을 두려워 하지 않는 힘. • 2. 온갖 번뇌를 다 끊어서 외난을 두려워 하지 않는 힘. • 3. 깨달음에 장애가 되는 일을 설해주되 비난을 두려워 하지 않는 힘. • 4. 고통을 벗어나는 요긴한 법을 설하되, 비난을 두려워 하지 않는 힘

  21. 3 염 주( 3가지 생각에서 흔들리지 않음) • 1. 중생들이 부처님을 신봉하지 않아도 화내지 않음. • 2. 중생들이 한결같이 귀 기울여 설법을 듣지 않아도 태연함. • 3. 한 곳에서 설법시 한쪽에서 열심히 듣고, 다른 쪽에서 듣지 않아도 마음의 평정을 유지함.

  22. 대비심 • 중생의 고난을 구제하겠다는 마음을 내고 실천함. • 항상 너와 나를 한몸으로 느끼는 것. • 중생의 고통소리를 내 고통으로 듣고 구제 • 소유와 노력을 동시에 행함 (소유물을 나누어 주고 몸으로 노력을 받침.

  23. 능력상의 차이= 삼명육통 • 1. 숙명통: 자신과 타인의 과거와 생존 상태를 아는 능력 • 2. 천안통: 세상의 모든 것을 다 볼 수 있는 능력 • 3. 누진통: 번뇌를 모두 끊어서 두번 다시 미혹의 세계에 태어나지 않는 것 • 4. 천이통: 세간의 모든 소리를 다 듣는 능력 • 5. 신족통: 생각하는 곳은 어디든지 갈 수 능력 • 6. 타심통: 타인의 마음 속에 생각하고 있는 선악을 아는 능력

  24. 근본불교와 대승불교의 불타관 • 근본불교- 부파불교-상좌불교= 일불사상 • (부처님을 스승, 인도자로 봄) • 대승불교 = 다불사상 •  과거7불 : 비바시불, 시기불, 비사부불, 구류손불, 구나함모니불, 가섭불, 석가모니불 • 현재불: 아미타불(서방극락), 묘희불(동방) • 미래불: 미륵불(용화세계, 56억7천만년후)

  25. 부처님에 대한 철학적 고찰 • 삼신불(三身佛) • 1. 법신불 : 진리 자체가 부처, 진리의 부처님 • 2. 보신불 : 수행한 공덕으로 성취하는 부처님 • 3. 화신불 : 중생을 위해 의도적으로 오는 부처님 우리는 이미 법신불, 보신불이다. 화신불이 되어야 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