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1

의학과 미생물학 실습 III

의학과 미생물학 실습 III. 2006. 9. 21.-22. 담당교수 : 권 형 주 담당조교 : 김 민 수. 세균의 생화학적 성상. 목적. 세균의 탄수화물 및 아미노산 , 단백질 대사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 세균의 운동성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 . 탄수화물. 세균의 에너지 및 세포성분으로서의 역할 종류 : 단당류 (mono-), 이당류 (di-), 삼당류 (tri-) 및 다당류 (poly-saccharides)

ciel
Download Presentation

의학과 미생물학 실습 III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의학과 미생물학 실습 III 2006. 9. 21.-22. 담당교수: 권 형 주 담당조교: 김 민 수

  2. 세균의 생화학적 성상

  3. 목적 • 세균의 탄수화물 및 아미노산, 단백질 대사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 세균의 운동성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4. 탄수화물 • 세균의 에너지 및 세포성분으로서의 역할 • 종류: • 단당류 (mono-), 이당류 (di-), 삼당류 (tri-) 및 다당류 (poly-saccharides) • 대사산물: • Acids (acetic acid, lactic acid) +Gas (수소, 탄소) • 균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당류와 방법이 다양함, 탄수화물 대사의 산물의 양과 종류도 다양 •  중요한 세균분류의 자료 • 탄수화물에 대한 작용 시험: • 당분해 시험 • 구연산 사용 시험 • Methyl-Red 및 Voges-Proskauer (MR-VP) 시험

  5. 당분해 시험 • 균주: Bacilus subtilis, E.coli, • 실험: phenol red를 포함한 glucose 또는 lactose broth가 들어있는 Durham tube에 균 접종 (loop이용) • Phenol red: 지시약, pK 7.0 • Yellow (pH6.8)   (pH 8.4) Red • 결과 확인: 산의 생성으로 인한 색깔 변화와 기체생성의 여부 판독

  6. 당분해 시험 • 균주: Bacilus subtilis, E.coli, • 실험: phenol red를 포함한 glucose 또는 lactose 배지가 들어있는 Durham tube에 균 접종 • Phenol red: 지시약 • Yellow (pH6.8)   (pH 8.4) Red • 결과 확인: 산의 생성으로 인한 색깔 변화와 기체생성의 여부 판독

  7. IMViC test I : Indole production M : Methyl Red Vi : Voges-Proskauer test C : Citrate utilization test Escherichia 와 Enterobacter 의 구별

  8. 구연산 사용 시험 (Citrate Utilization Test) • 균주: Escherichia coli, Enterobacter aerogenes • 실험: Simmons citrate agar slant (구연산만이 탄소계 에너지원으로 함유되어있음)에 균 접종 (needle 이용) • 지시약: bromothymol blue • Yellow (pH 6.2)   (pH 7.6) Blue • 결과 확인: 배지색의 변화와 증식여부 확인 • 배지색의 변화: green blue • 사면에서의 증식여부

  9. Bromothymol blue, also known as bromthymol blue, is a chemical indicator for weak acids and bases. Following are given its colours at different solution pH values. Alkaline (basic) - Blue (pH > 7) Neutral - Green (pH = 7) Acid - Yellow (pH < 7) The bromothymol blue acts as a weak acid in solution and therefore can be in acid or base forms which appear yellow and blue respectively: C21H15NaBr2O3S ↔ H+ + C21H14NaBr2O3S- The pKa for bromothymol blue is 7. Formula: C21H15NaBr2O3SAlternative name: Dibromothymolsulfonephthalein, BTB

  10. Methyl-Red and Voges Proskauer test (MR-VP test) Enteric group bacteria : Gram negative Facultative anaerobiosis 1. Escherichia, Salmonella, Shigella “coliform” bacteria 2. Enterobacter, Serratia, Erwinia 3. Proteus, Providencia 4. Yersinia

  11. Mixed-acid fermentation Butanediol fermentation Acetoin (acethyl-methyl-carbinol) 생산

  12. 균주: E. coli, E. aerogenes • 실험: • 배양: MR-VP media broth 2개는 MR용, 2개는 VP용 • MR test: 산성 test • 다량의 산을 생성하는 균 배지의 pH를 산성화 • Methyl Red: Red (pH 4.2)   (pH6.3) Yellow • VP test: acetoin (acethyl-methyl-carbinol)생성감별 • pH의 변화는 적으나 VP 시약과 반응하여 붉은 색의 acetoin을 생산 • VP시약 A (5% -naphthol, 8-10 drops) 점적후 혼합 • VP시약 B (0.3% creatine in 40% KOH, 8-10 drops) 점적후 혼합 • RT, 20분 • 양성반응: pink red

  13. 단백질과 아미노산에 대한 작용 • Indole 형성 시험: tryptophan hydrolysis로 생기는 indole생성 확인: - Tryptophanase 의 존재 확인 • 유화수소 생산 시험 (KIA slant, Kligler’s Iron Agar): • H2S + Fe  FeS (Black) + H2 gas • Sulfur이 들어있는 amino acid를 분해하여 H2S gas 생성 H2S gas가 Fe포함배지에서 FeS 형성 • FeS 형성을 통해 H2S의 존재를 예측

  14. Indole 형성시험 • 균: B. subtilis, E. coli • 실험: tryphtopahn broth에 균주를 접종 (loop이용) • 검사: 배양후 Kovac시약 (2-3 drops)  alchol층이 분리 붉게 변하면 indole형성 • 주의: Kovac시약- HCl 함유

  15. 유화수소 생성 시험 • 균주: E. coli, S. paratyphi A, Proteus vulgaris • 실험: KIA slant (Fe 포함 배지)에 균 접종 (needle사용) • 검은 집락의 형성 여부 관찰

  16. 운동성 검사 • 반유동 한천배양법 (Semisolid agar method, 0.2-0.4% 배지) • 균주: B. subtilis,P. vulgaris 을 접종- 이때 streaking은 하지 않고 배지에 찌르기만 함. • 균주 증식의 확산 여부 관찰

  17. 물리화학적 요인과 세균의 증식

  18. 목적 • 세균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물리화학적 방법의 기전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열 및 삼투압이 세균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19. 열에 대한 세균의 감수성 • 균주: B. subtilis (18h, 72h), E. coli (18h) • 실험: 액체배지에 배양한 균을 썹씨 60도, 80도의 water bath에서 10분 영양배지에 잘 도말하여 배양 • Spore형성 여부의 감별 가능

  20. 삼투압이 세균증식에 미치는 영향 • 균주: S. aureus, E. coli • 실험: Nutrient agar (0.85% 또는 7.5% NaCl 함유)에 접종, 증식여부 확인 • Plate를 둘로 구획을 나누어 반씩 접종할 것 (labeling 필수) • 일반적으로 0.5-3%의 염농도에서 증식 • 예외적인 호염균도 있음: V. parahaemolyticus

  21. 항균제 감수성 검사

  22. 목적 • 항균제 감수성 검사방법을 열거하고 각 특징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흔히 이용되는 검사방법을 실시하고 감수성과 내성 결과를 판독할 수 있어야 한다 • 최소발육저지농도와 최소살균농도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항균제 감수성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인자를 충분히 이해하여야 한다

  23. 항균제 감수성 검사방법 • 시험관 희석법 • 원판확산법 (Kirby-Bauer method) • 사용 항생제 (용량/disc) • Carbenicillin (100 ㎍) • Cephaolthin (30 ㎍) • Chloramphenicol (30 ㎍) • Erythromycin (15 ㎍) • Gentamycin (10 ㎍) • Penicillin (10 unit) • Tetracycline (30 ㎍)

  24. 원판 확산법 • 균주: S.aureus, E.coli • 실험: •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각 균주를 면봉으로 Muller-Hinton agar배지에 잘 도말하여줌 (각 균주당 2 plates) •  항생제 disc를 plate에 하나씩 얹어줌. (3-4개의 disc/plate)

  25. 항생제 감수성 실험을 위해 각 조별로 “자”를 준비할 것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