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13

5. 콘크리트의 일반구조

5. 콘크리트의 일반구조. 5-1. 골재부족 현상시 공급방안 Ⅰ. 개요 ① 건성경기 활성화에 따른 수요증가 및 골재부족 현상이 심화되어 석산골재 및 해안 골재 사용량이 증가추세에 있다 . ② 골재는 운반비 부담이 크고 , 지역에 따라 수급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부족량 및 소

cleo-french
Download Presentation

5. 콘크리트의 일반구조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5. 콘크리트의 일반구조 5-1. 골재부족 현상시 공급방안 Ⅰ. 개요 ① 건성경기 활성화에 따른 수요증가 및 골재부족 현상이 심화되어 석산골재 및 해안 골재 사용량이 증가추세에 있다. ② 골재는 운반비 부담이 크고, 지역에 따라 수급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부족량 및 소 비량에 대한 정확한 통계와 골재 수급대책이 필요하다. Ⅱ. 문제점 ① 법규 및 체계가 복잡함.(20여 개의 관련 법규) ② 골재부족량 조사 미흡 ③ 해안골재, 석산골재 등의 불량골재 사용 ④ 알칼리 반응성 골재(황산염 등)에 의한 Con’c 품질 저하 ⑤ 지역별 골재 수급의 불균형 ⑥ 1년 단위의 허가로 장기계획이 곤란함.

  2. Ⅲ. 공급방안 ① 골재 부족량 및 이용 가능량에 대한 실태조사 ② 채취와 관련된 각종 법령을 통 ㆍ 폐합하여 행정체계를 일원화 ③ 양질의 골재는 주요 구조 및 중요 공사에만 사용 ④ 골재의 등급분류를 통해 효율적인 이용 도모 ⑤ 석산개발 및 쇄석ㆍ석분에 대한 품질기준 마련 ⑥ 경제적이고 고강도의 인공골재 개발 ⑦ 고강도 콘크리트화(부재단면 감소)하고, 경량화(A.L.C 사용)할 것. ⑧ 골재의 장기공급계획 수립 Ⅳ. 개발방향 ① 깬자갈의 사용 ② 고로 slag 쇄석(서냉 slag를 파쇄한 것)사용 ③ 폐콘크리트를 골재로 재활용하여 사용 ④ 골재가 거의 필요없는 공법(고성능 Con’c화)의 개발 필요

  3. 5-2. 무량판 slab(flat slab) Ⅰ. 개요 ① 평바닥 구조라고도 하며, 건축물의 외부 보를 제외하고는 내부에는 보가 없이 바닥 판으로 되어 있어, 그 하중을 직접 기둥에 전달하는 구조이다. ② 기둥 상부는 주두(capital)모양으로 확대하고, 그 위에 받침판(drop panel)을 두어 바닥판을 지지한다. Ⅱ. 특징 ① 구조가 간단함. ② 실내공간의 이용률이 높음. ③ 공사비가 저렴함. ④ 층고를 낮출 수 있음. ⑤ 주두의 철근층이 여러 겹이고, 바닥판이 두꺼워 고정하중이 증대됨. Ⅲ. 시공 1) 철근의 배근 방식 ① 2방향식 ② 3방향식 ③ 4방향식 ⑤ 원형식 2) 구 ① Slab 두께 : 15cm 이상 ② 기둥폭 : h/15, ℓ/20,30cm 중 큰값 ③ Drop panel 폭 : ℓ/4 ④ Capital : punching shear 방지

  4. Ⅳ. 시공시 유의사항 ① 바닥판은 주열대(column strip)와 주간대(middle strip)로 나누어 응력계산 및 배근하고, 주열대와 주간대의 나비는 기둥중심 간 사이의 ½로 함. ② 주열대는 기둥과 기둥을 잇는 넓은 나비의 보를 말함. ③ 주열대의 철근량은 주간대보다 하부근은 60%, 상부근은 75% 가량 많게 함. ④ 철근배근방식은 2방향식(우리 나라)이 많이 사용되며, 배근은 직선근과 굽힌근이 사용됨.

  5. 5-3. Slab의 종류 Ⅰ. 개요 ① Slab란 연직하중을 받는 면상(面狀) 부재로서 하중을 보에 전달하는 동시에 각 부 재를 연결하여 수평력을 고루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② 일방향 슬래브, 이방향 슬래브, 장선 slab 및 waffle slab와 같이 안보가 없는 구조 등으로 나뉜다. Ⅱ. 종류별 특징 1) 1방향 slab ℓy(장변방향의 순간격) ① λ(변장비, 邊長比) = >2 ℓx(단변방향의 순간격) 주근 ℓx ℓy 배력근(보조근, 온도철근)

  6. ② 하중이 단변방향 쪽으로만(1방향으로만) 전달되어 단변방향에는 주근을, 장변방향 에는 배력근(보조근, 온도철근)을 설치함. 2) 2방향 slab ℓy(장변방향의 순간격) ① λ (변장비, 邊長比) = ≤2 ℓx(단변방향의 순간격) 예) 4.5 ℓx(3m) ∴ λ = ≒1.5≤2 3 ∴ 2방향 slab임. ℓy(4.5m) ② 하중이 장변방향으로도 분배되어 단변방향과 장변방향 모두가 주근이 됨. 3) 장선 slab(ribbed slab, joist floor) ① 장선(長線,joist, reb) 과 slab가 일체로 된 구조로서 양단은 보에 지지됨. ② 장선의 나비는 10cm 이상(최대 20cm), 춤은 나비의 3.5배 이내로 함. ③ 배치간격은 90cm 이내, 하부근은 2개 또는 1개의 직선근과 1개의 bent bar가 유리함. 4) Waffle slab(two way joist construction) ① 장선을 직교하여 구성한 우물반자 형태로 된 2방향의 장선바닥 구조 ② 보통의 바닥판 구조보다 기둥의 간 사이를 크게 할 수 있음. ③ 기둥의 상부에 직교하는 주간대 내에는 drop panel을 구성하여 slab 지지부분을 보강함.

  7. 5) Flat slab(무량관 slab) ① 평바닥 구조라고도 하며, 건축물의 외부보를 제외하고는 내부에는 보가 없이 바닥 판으로 되어 있어, 그 하중을 직접 기둥에 전달하는 구조 ② 기둥 상부는 주두(capital)모양으로 확대하고, 그 위에 받침판(drop panel)을 두어 바닥판을 지지함.

  8. 5-4.Con’c 일반구조 관련용어 1) punching shear ① 철근콘크리트 기초판에 기둥의 축력이 가해지는 경우나 slab에 집중하중이 작용하 는 경우에 발생됨. ② 직접 전단에 해당되는 상태 또는 그때의 전단력을 말함. 2) 내진구조(earthquake proofing construction) ① 지진력에 대하여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한 구조 ② 내진구조에는 유구조(柔構造)와 강구조(剛構造)가 있음.

  9. 4. 특수콘크리트공사 5-1. 레미콘 공장 선정시 고려사항 Ⅰ. 개요 ① Con’c 제조 절비를 갖는 곳(레미콘 공장)에서 생산되며, 아직 굳지 않은 상태로 현장에서 운반되는 concrete를 ready mixed concrete라 한다. ② 운반하는 과정에서의 품질변화가 많고, 레미콘 공장의 선정이 Con’c 구조체의 품질을 결정 하므로 유의해야 하겠다. Ⅱ. 운반방법별 종류 ① Central mixed concrete ② Shrink mixed concrete ③ Transit mixed concrete Ⅲ. 특징 ① 균질하고, 양질의 Con’c 확보0 ② 노무비 절감 ③ 타설작업이 능률적임 ④ 공기단축 ⑤ 운반이나 공급범위가 한정됨 ⑥ 돌발적인 사고에 의한 품질 저하

  10. Ⅳ . 운반과정 flow chart 공장 비빔과 싣기 운반 현장대기 타설 4 ~5분 30분 20분 10분 90분 이내 Ⅴ. 선정시 고려사항 ① 현장까지의 운반시간 및 배출시간 ② K.S 표시허가 공장 ③ Con’c 제조 능력 ④ 타설종료까지의 시간한도 ⑤ 운반차의 대수 ⑥ 공장의 성능 검토 ⑦ 품질관리 상태 ⑧ 운반차의 성능 검토 ⑨ 타설량 ·타설시기 ·기간 등 ⑩ 특수 Con’c 제조 가능여부 ⑪ 공장 출발시와 현장 도착시의 품질변화 한도 ·대책 ·검사방법 등

  11. 5-2. 레미콘(ready mixed concrete) Ⅰ. 개요 ① Con’c 제조설비를 갖는 곳(레미콘 공장)에서 생산되며, 아직 굳지 않은 상태로 현장에 운반되는 concrete를 말한다. ② 도심지 공사에서 batcher plan나 골재의 저장없이 좋은 품질의 Con’c를 주문만 하면 mixer truck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안전하다 Ⅱ. 운반방법별 종류 ① Central mixed concrete Plant에 설치된 mixer에서 반죽 완료된 Con’c를 truck agitator로 휘저으며 현장까지 운반되며, 근거리에 사용됨 ② Shrink mixed concrete Plant의 Mixer에서 약간 혼합된 Con’c를 truck mixer로 운반도중에 비비기를 끝내는 방법으로 중거리에 사용됨 ③ Transit mixed concrete Plant에서 재료만 계량하여 truck mixer로 운반하는 중에 완전히 비비기를 끝내는 방법으로 장거리에 사용됨

  12. Ⅲ. 특징 1) 장점 ① 균질하고, 양질의 Con’c 확보 ② 노무비 절감 ③ Con’c 반죽을 위한 현장설비가 필요없음 ④ 타설작업이 능률적임 ⑤ 공기단축 ⑥ 협소한 장소에서도 대량 구입이 가능 2) 단점 ① 운반이나 공급범위가 한정됨 ② 돌발적인 사고에 의한 품질 저하 ③ 운반 중에 품질의 변화 발생 ④ 중차량 진입을 위한 운반로 정비 Ⅳ. 시공시 유의사항 ① 현장까지의 운반시간 및 배출시간 ② Con’c 제조능력 ③ 운반차의 대수 ④ 공장의 제조설비 ⑤ 품질관리 상태 ⑥ Cement의 종류 ⑦ 골재의 입고 ·입형 ·크기 등 ⑧ 염화물 함유량의 한도

  13. 5-3. 트럭 애지테이터(truck agitator) Ⅰ. 개요 ① Ready mixed concrete 중에 central mixed concrete를 운반하는 트럭으로서, 이미 비빈 Con’c의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② Ready mixed concrete란 아직 굳지 않은 상태로 현장에 운반되는 concrete를 말한다. Ⅱ. 운반truck의 종류 1) Truck agitator ① Central mixed concrete에 사용됨 ② Plant에 설치된 mixer에서 반죽 완료된 Con’n를 휘저으며, 현장까지 운반함 2) Truck mixer ① Shrink mixed concrete 및 transit mixed concrete에 사용 됨 ② Plant의 mixed에 약간 혼합됐거나 계량만 된 Con’c를 운반하는 중에 비빔함

  14. Ⅲ. 특징 1) 장점 ① 비교적 양질의 Con’c를 확보할 수 있음 ② 노무비 절감 ③ Con’c의 공급이 원활하고, 일일 작업량이 증가함 ④ Con’c 반죽에 따른 현장설비가 필요없음 ⑤ 공기단축 2) 단점 ① 운반중에 품질변화 발생 ② 운반이나 공급범위가 한정되어 있음 Ⅳ. 유의사항 ① 현장까지의운반거리 ② 운반차의 성능 ③ Con’c 타설량 ·타설시기 등 ④ 공장 출발시와 현장 도착시의 품질변화 한도 ·대책 등 ⑤ 운반능률에 대한 관리 및 배차관리 ⑥ 돌발사고(교통사고, 교통량 증가 등)에 대한 충분한 사전조사 및 대책 수립

  15. 5-4. Dry mix(dry mixing, 건비빔) Ⅰ. 개요 ①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에 물을 가하지 않고 시멘트와 골재만 비빔한 것을 말하며, mising car 이외의 truck으로도 운반이 가능하다 ② 건비빔(dry mix)은 마감공사(조적공사, 미장공사, 타일공사 등)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시공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Ⅱ. 적용대상 ① Dry mixing type의 ready mixed concrete ② 조적공사(벽돌, 블록공사 등) ③ 미장공사 ④ 타일공사 Ⅲ. 특징 1) 장점 ① 공장과 현장과의 거리가 너무 멀 경우에 채택됨 ② 노무비가 절감됨 ③ 공기가 단축됨 ④ 균질하고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음 2) 단점 ① 운반이나 공급범위의 한정 ② 중차량 진입으로 운반로의 정비가 필요함

  16. Ⅳ. 시공시 유의사항 ① 물이 정확한 계량이 Con’c의 품질을 좌우함 ② 마감공사용 건비빔 mortar는 1시간 이내에 사용하고, 1시간이 지난 것은 사용을 금함 ③ 골재의 습윤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시멘트와의 화학반응(수화반응)이 발생되기 전에 시공하도록 하여야 함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물 시멘트 골재 (모래 ·자갈) 건비빔 <Dry mix의 원리 도해>

  17. 5-5. P.S.C(pre-stressed Con’c) Ⅰ. 개요 ① 인장응력이 생기는 부분에 미리 압축을 prestress를 주어 Con’c의 인장강도를 증가하도록 한 것이다. ② 제작방법으로는 pretension 공법과 posttension 공법이 있다. Ⅱ. 특징 ① 설계하중하에서 구조물의 균열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증가됨 ② 장 span의 설계가 가능함 ③ 탄성력 및 복원성이 크고, 거푸집공사 ·가설공사 등이 축소됨 ④ 부재에 확실한 강도와 안정성이 보장됨 Ⅲ. 재료의선정 ① Cement : 압축강도가 크고, 건조수축이 적은 것 사용 ② 골재 : 잔골재의 염화물량은 0.02 ~ 0.04% 이하 ③ concrete : 설계기준강도가 300 ~ 350kg/㎠ 이상 ④ 강재 : 규격품을 사용하고, 용접철망은 4mm 이상인 것 사용

  18. Ⅳ. 배합설계 ① Slump 값은 18cm 이하로 하며, 담당자의 승인을 받을 것 ② Con’c 부재의 염소이온량 ㉮ Pretension 부재의 0.2kg/㎥ 이하 ㉯ Posttensiion 부재는 0.3kg/㎥ 이하 Ⅴ. 제조방법 ① Pretension 공법 P.C 강재를 긴장한 상태에서 Con’c를 타설하고, 경화 후에 긴장을 해제하여 부재내에 압축력이 생기게 한 것으로써 설계기준강도 350kg/㎠ 이상 ② Posttension 공법 Sheath관을 배치하고, Con’c 타설하여 경화한 후에(공장제작) P.C 강재를 긴장하여 grout재를 주입한 후 긴장 해제하며(현장설치 및 긴장), 설계기준강도 300kg/㎠ 이상

  19. 5-6. Prestressed Con’c에 사용되는 시멘트, 골재, 콘크리트, 강재의 품질 Ⅰ. 개요 ① 인장응력이 생기는 부분에 미리 압축의 prestress를 주어 Con’c의 인장강도를 증가하도록 한 것이다. ② 제작방법으로는 pretension 공법과 posttension 공법이 있다. Ⅱ. 특징 ① 하중에 대한 균열, 수축에 의한 균열이 적음 ② 탄력성 및 복원성이 큼 ③ 장span 시공이 가능함 ④ 내화성능에 대한 주의 및 제작 시공에 고도의 기술과 세심한 주의가 필요

  20. Ⅲ. 재료의 품질(시멘트, 골재, 콘크리트, 강재) ① Cement 보통 portlalnd cement, 고로 slag cement, fly ash cement 등이 주로 사용되며, 압축강도가 크고, 건조수축이 적은 것을 선정 ② 골재 ㉮ 골재는 유해량의 흙 ·머지 등이 적고, 내화성 및 내구성의 것을 선정 ㉯ Pretension 부재(잔골재의 염화물량)는 0.02% 이하 ㉰ Posttension 부재(잔골재의 염화물량)는 0.04% 이하 ③ Concrete ㉮ 설계기준강도 pretension 방식은 350kg/㎠ 이상, posttension 방식은 300kg/㎠ 이상으로 규정 ㉯ Slump값은 18cm 이하로 하고, 염소이온량은 pretension 부재는 0.2kg/㎥ 이하, posttension 부재는 0.3kg/㎥ 이하 ④ 강재 ㉮ P.C 강선, 이형 P.C강선, P.C 꼬은선은 KS D 7002D의 규격품 사용 ㉯ P.C 강봉, 이형 P.C 강봉은 KS D 3505의 규격품 사용 ㉰ 용접철망은 직경이 4mm 이상인 것으로 함 Ⅳ. 취급 및 가공시 유의사항 ① P.C 강재는 창고 또는 적당히 덮어 저장 ② P.C 강봉은 나사부분은 녹막이 도장 ③ P.C 강재의 나사부 여장 절단시 P.C 강재의 공칭직경에 1.5배를 띄우고, 가스절단 ④ 현장에서 P.C 강재 시공시 가열 및 용접해서는 안 됨

  21. 5-7. Pretension 공법 Ⅰ. 개요 ① P.C 강재를 긴장한 상태에서 Con’c를 타설하고, 경화 후 긴장을 해제하여 부재 내에 압축력이 생기게 한 것으로 인장강도가 증가한다. ② 설계기준강도가 350kg/㎠ 이상이며, 제조방법으로는 long-line 공법과 indivi-dual mo이 공법이 있다. Ⅱ. 특징 ① 설계하중하에서 구조물의 균열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증대됨 ② 장 span의 설계가 가능함 ③ 부재에 확실한 강도와 안전성이 보장됨 ④ 탄성력 및 복원성이 큼 ⑤ 거푸집공사, 가설공사 등이 축소됨

  22. Ⅲ. Prestressed Con’c 제조방법 ① Pretension 공법 ㉮ Long line 공법 : 여러 개의 부재를 한 번에 생산 ㉯ Individual mold 공법(단독몰드공법, 단독식) : 한 번에 1개의 부재 ② Posttension 공법 : 설계기준강도 300kg/㎠ 이상 Ⅳ. 재료의 선정 ① Cement : 보통 portland cement, 고로 slag cement, fly ash cement 등 ② 골재 : 잔골재의 염화물량 0.02 ~ 0.04% 이하 ③ Concrete : 염소이온량은 0.2 ~ 0.3kg/㎥ 이하 ④ 강재 : 규격품을 사용하고, 용접철망은 4mm 이상의 것 사용

  23. 5-8. Prestress 공법 중에서 long-line 공법 Ⅰ. 개요 ① Prestress 공법이란 인장응력이 생기는 부분에 미리 압축의 prestress를 주어 Con’c의 인장 강도를 증가하도록 한 것이다. ② Pretension 공법에 의한 제조방법 중 대표적인 공법으로서 1회의 prestressing으로 여러 개의 부재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long-line 공법이라 한다. Ⅱ. 특징 ① 장 span의 설계가 가능하다 ② 설계하중하에서 구조물의균열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증대됨 ③ 탄성력 및 복원성이 큼 ④ 부재에 확실한 강도와 안전성이 보장됨 ⑤ 거푸집공사, 가설공사 등이 축소됨

  24. Ⅲ. Prestressed Con’c 제조방법 ① Pretension 공법 : 설계기준강도 350kg/㎠ 이상 ㉮ Long line 공법 P.C 강재를 긴장배치하고, 그 사이에 여러 개의 거푸집을 두어 타설 후 긴장을 해제하는 방법으로 한 번에 여러 개의 부재를 얻을 수 있음. ㉯ Individual mold 공법(단독몰드공법, 단독식) 거푸집 자체를 인장대로 하고, P.C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회의 pre-stressing으로 1개의 부재밖에 만들지 못함 ② Posttension 공법 : 설계기준강도 300kg/㎠ 이상 Ⅳ. Long-line 공법 도해 Ⅴ. 취급 및 가공시 유의사항 ① P.C 강재는 창고 또는 적당히 덮어 저장 ② P.C 강봉은 나사부분은 녹막이 도장 ③ P.C 강재의 나사부 여장 절단시 P.C 강재의 공칭직경의 1.5배를 띄우고 가스 절단 ④ 현장에서 P.C 강재의 시공시 가열 및 용접해서는 안 됨.

  25. 5-9. Post-tensioning Ⅰ. 개요 ① Sheath관을 배치하고, Con’c 타설하여 경화한 후에(공장제작) P.C 강재를 긴장하여 grout재를 주입한 후 2차 경화 후 긴장을 해제하는 방법(현장설치 및 긴장)이다. ② 현장에 시공하는 방법으로 , P.C 강재를 여러 차례에 걸쳐 긴장시키는 공법으로 토목에서는 교량 등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Ⅱ. 특징 ① Sheath 관을 이용 ② 탄력성 및 복원성이 뛰어남 ③ 장 span의 설계가 가능 ④ 가설공사 등이 축소됨 ⑤ 설계하중하에서 구조물의 균열방지 ⑥ 현장에서 prestress 도입 가능

  26. Ⅲ. Prestressed Con’c 제조방법 ① Pretension 공법 : 설계기준강도 350kg/㎠ 이상 ㉮ Long line 공법 : 여러 개의 부재를 한 번에 생산 ㉯ Individual mold 공법(단독몰드공법, 단독식) : 한 번에 1개의 부재 ② Posttension 공법 : 설계기준강도 300kg/㎠ 이상 Ⅳ. 재료의 선정 ① Cement : 보통 portland cement, 고로 slag cement, fly ash cement 등 ② 골재 : 잔골재의 염화물량 0.02 ~ 0.04% 이하 ③ Concrete : 염소이온량은 0.2 ~ 0.3kg/㎥ ④ Grout재 : 물 ·시멘트비가 40% 이하고 하고, 긴장 후 즉시 실시하되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함 ⑤ 강재 : 규격품을 사용하고, 용접철근망은 4mm 이상인 것 사용

  27. 5-10. Hot concrete Ⅰ. 개요 ① 골재 또는 mixer속의 Con’c를 가열하여 고온으로 비빈 Con’c를 hot concrete라고 하며, 40 ~ 60˚C의 고온도에서 반죽된다(hot mixer 방식) ② 재료를 보통 50 ~ 55˚C 정도로 가열하며(재료방식), 증기양생법에서 공기를 단축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Ⅱ. 적용대상 ① Precast Con’c 부재 ② 콘크리트 2차 제품 ③ 철도의 직결궤도 slab

  28. Ⅲ. 방식분류 ① 재료방식 증기 또는 열풍에 의해 가열된 골재와 온소를 사용하는 혼합방식 ② Posttension 공법 : 설계기준강도 300kg/㎠ 이상 Ⅳ. 유의사항 ① 비빈 후 시간경과에 따른 slump 저하가 심하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의 제품에는 적합하지 않음 ② 조강 portland cement를 사용한 hot concrete(약 50 ~ 55˚C 정도)를 사용 ③ Prehot한 거푸집 (약 50 ~ 55˚C 정도)에 콘크리트 타설함 ④ 증기양생을 실시하는뎅 약 3시간 정도 경과하면 거푸집 탈형(강도 80 ~ 100kg/㎠ 정도)이 가능함

  29. 5-11. Autoclave curing (고압증기양생, high-pressure steam curing) Ⅰ. 개요 ① 고온 ·고압(대기압을 초과하는 압력)의 탱크(압력용기방식) 내에서 하는 콘크리트 양생방법 이다. ② 압력용기를 autoclave.라고 하며, 압력용기와 고압증기를 이용한 양생을 auto-clave curing 이라고 한다. Ⅱ. 적용대상 ① 규산석회 벽돌 ② Precast concrete ③ A.L.C panel 및 block ④ 콘크리트 2차 제품 Ⅲ. 특징 1) 장점 ① 조기강도가 높음(표준양생의 28일 강도를 24시간만에 달성) ② 내구성이 좋고, 황산염 반응에 대한 저항성이 큼 ③ 내동결융해성 및 백태(efflorescence) 현상이 감소함 ④ 건조수축 감소(표준온도 양생 Con’c의 약 1/6 ~ 1/3 정도) 및 수분이동 감소 ⑤ Creep 변형 감소 및 석회 ·실리카 반으응로 cement paste 중의 석회 감소

  30. 1) 단점 ① 철근의 부착강도 감소(표준양생 콘크리트의 1/2 정도) ② 고압증기 양생한 콘크리트는 어느 정도의 취성(脆性)이 있음 Ⅳ. 품질기준 ① 최적 양생온도는 8.2kg/㎠의 증기압에 약 177˚C 정도임 ② Silica의 최적량은 cement 중량의 0.4 ~ 0.7 정도임 ③ 182˚C의 최고온도가 될 때까지 3시간에 걸쳐 천천히 상승시킬 것 ④ 최고온도를 5 ~8시간 유지한 후 20 ~30분 내에서 압력을 풀어줌 ⑤ 급속히 감압시키면 콘크리느트이 건조를 촉진하여 건조수축을 감소함 Ⅴ. 유의사항 ① 과열증기가 콘크리트에 접촉해서는 안 되며, 여분의 물이 필요함 ② Silica를 첨가하면 수축룰은 커지나 콘크리트와의 화학반응으로 양생에는 유리 ③ 고압증기양생은 portland cement 에만 적용(알루미나 및 내황상 시멘트는 불리) ④ Silica는 cement와 분말도를 같게 하고, 양생 후 Con’c 표면은 흰색을 띰

  31. 5-12. 서중 콘크리트와 한중 콘크리트 Ⅰ. 개요 ① 월 평균기온이 25˚C를 넘는 시기에 혼합 ·운반 ·타설 및 양생을 하는 경우 서중 콘크리트의 적용대상이며, 부어넣을 때 온도는 35˚C 이하로 유지한다. ② 월 평균기온이 4˚C 이하가 되는 경우 한중 콘크리트의 적용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초기 양생기간 내에 50kg/㎠이 얻어지도록 양생계획한다. Ⅱ. 서중콘크리트 1) 특징 ① 절절한 혼화제 사용 ② Precooling 등의 냉각공법 검토 ③ 단위수량과 단위 시멘트량은 최소화할 것 ④ Slumpsms 18cm 이하에서 정함 ⑤ 타설시 온도는 35˚C 이하 2) 유의사항 ① 고온의 cement는 사용을 삼가할 것 ② 물 ·골재 등은 낮은 온도의 것은 사용함 ③ 혼화제는 A.E감수제 지연형, 감수제 지연형 등을 사용 ④ 거푸집에 물을 뿌려 Con’c의 수분이 거푸집에 흡수되지 않게 할 것

  32. Ⅲ. 한중콘크리트 1) 특징 ① 물 ·시멘트비는 60% 이하 ② 단위수량은 최소화할 것 ③ 적절한 혼화제를 사용할 것 ④ 경화가 빠른 cement 사용 2) 유의사항 ① A.E제, A.E감수제 및 고성능 A.E제 중 한가지는 반드시 사용할 것 ② Cement는 가열해서는 안 되며, 골재는 직접 불꽃에 대고 가열해서는 안 됨 ③ 타설시 온도 10 ~20˚C 미만 ④ 물의 온도는 40˚C 이하 ⑤ 단열보온양생, 가열보온양생 등을 실시할 것 Ⅳ. 서중 콘크리트와 한중 콘크리트의 비교표

  33. 5-13. 한중 콘크리트(winter concrete) Ⅰ. 개요 ① 월 평균기온이 4˚C 이하가 되는 경우 한중 콘크리트의적용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초기 동해방지가 가장 중요하다 ② Con’c 타설 후 0˚C 이하가 되면 동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초기양생을 철저히하여 Con’c의 어느 부분도 0˚C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한다. Ⅱ. 특징 ① 물 ·시멘트비는 60% 이하 ② 단위수량은 최소화할 것 ③ 경화가 빠른 cement 사용 ④ 적절한 혼화제를 사용할 것 Ⅲ. 동해의 원인 ① 콘크리트 중의 자유수 ② 흡수율이 큰 골재 사용(연석 등) ③ 물 ·시멘트비가 클 경우 ④ Con’c에 수분(눈 ·비 등) 침투

  34. Ⅳ. 동해에 의한 피해 ① Con’c 구조체의 붕괴(해동기에) ② Con’c의 강도저하 ③ Con’c 열화의 원인 ④ 균열 및 누수로 철근 부식 Ⅴ. 방지대책 ① A.E제, A.E감수제, 고성능 A.E제 등을 사용 ② Con’c 타설시 온도는 10 ~ 20˚C 미만 정도로 유지 ③ 물의 온도는 40 ˚C 이하로 유지 ④ 단열보온양생, 가열보온양생 등을 실시함 ⑤ 단위수량을 적게 배합설계함 ⑥ 물의 칩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끊기, 물흐름 구배, 제설제 등의 방법 사용 ⑦ Con’c 내부에 적당량의 연행공기(4 ~5% 정도)를 둠 Ⅵ. 유의사항 ① Cement는 가열해서는 안 되며, 골재는 가열시 불꽃의 접촉을 피함 ② 초기양생은 압축강도가 50kg/㎠ 이상이 될 때까지 계속할 것 ③ 타설에 앞서 이어붓기면, 철근, 거푸집에 잇는 얼음 ·눈 등은 제거 ④ Con’c의 어느 부분도 0˚C 이하가 되지 않도록 초기양생할 것

  35. 5-14. 서중 콘크리트(hot weather concrete) Ⅰ. 개요 ① 월 평균기온이 25˚C를 넘는 시기에 혼합 ·운반 ·타설 및 양생을 하는 경우 서중 콘크리트의 적용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② 급격한 수분증발로 cold joint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precooling 등의 냉각공법 등을 사전에 검토한다. Ⅱ. 특징 ① Precooling 등의 냉각공법 검토 ② 타설시 온도는 ˚C ③ Slump는 18cm 이하에서 정함. ④ 단위수량 및 단위 시멘트량은 최소화함 Ⅲ. Cold joint의 원인 ① 장시간 운반 및 대기로 재료분리된 Con’t 사용시 ② Massive한 구조물의 수화열 ③ 설계시 각종 movement joint의 누락 및 미시공 ④ 넓은 지역의 순환타설시 돌아오는 시간이 2시간을 초과시

  36. Ⅳ. Cold joint에 의한 피해 ① 철근의 부식 ② 중성화의 요인 ③ Con’c의 수밀성 저하 ④ 내구성 및 강도 저하 Ⅴ. 대책 ① Precooling 등의 냉각공법을 검토함 ② 혼화제는 A.E 감수제 지연형, 감수제 지연형 등을 사용 ③ 사전에 콘크리트 운반계획을 철저히 수립함 ④ 중용열 portland cement 등 분말도가 낮은 cement 사용 ⑤ Dry mixing한 재료를 현장반입하여 사용하는 방법 Ⅵ. 유의사항 ① 거푸집에 물을 뿌려 Con’c의 수분이 거푸집에 흡수되지 않게 할 것 ② Con’c 비빔에서 타설 종료까지 90분 이하로 할 것 ③ 일반적으로 30˚C의 Con’c는 20 ˚C의 Con’c보다 1 ~3 시간 정도 빨리 응결 됨

  37. 5-15. Mass Con’c Ⅰ. 개요 ① 보통 부재단면의 최소치수가 80cm 이상이고, 내부 최고온도와 외기온도의 차가 25˚C 이상이 예상되는 경우의 Con’c를 말한다. ② Con’c 표면과 Con’c 내부의 건조수축의 차에 의한 온도균열에 유의하고, 방지대책으로는 냉각공법(Precooling, pipecooling)등이 있다. Ⅱ. 온도균열원인 ① Con’c의 탄성계수가 클수록 ② 수화발열량이 클수록 ③ Con’c의 온도와 외기온의 차가 클수록 ④ 부재의 단면이 클수록 ⑤ 단위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⑥ 온도변화가 클수록

  38. Ⅲ. 냉각공법(온도균열제어 양생방법) 1) Precooling ① Con’c 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르 냉각시켜 콘크리트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 ② 저열용 portland cament를 사용하고, 얼음은 물량의 10 ~40% 정도로 하며, 각재료 (cement, 골재 등)는 온도를 낮추어 사용함 2) Pipecooling ① Con’c 타설 전에 pipe를 배관하고, pipe 내료 냉각수나 찬공기를 순환시켜 콘크리트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 ② ∮25mm 혹은 gas pipe를 사용하며, 간격은 1.0 ~ 1.5m 정도로 하고, 냉각수 대신 찬공기를 넣기도 함 Ⅳ. 시공시 유의사항 ① 혼화제는 A.E감수제 지연형, 감수제 지연형 등을 사용함 ② Slump는 15cm 이하로 하고, 단위 시멘트량은 가능한 적게 함 ③ 차설시 Con’c의 온도는 35˚C 이하로 유지할 것 ④ 이어붓기 시간간격은 외기온의 25˚C 미만일 때는 120분, 25˚C 이상에서는 90분으로 하며, Con’c 타설계획에 따라 실시할 것

  39. 5-16. 온도균열을 막기 위한 시공상 유의점 Ⅰ. 개요 ① Con’c가 급격히 건조하게 되면 Con’c 표면과 Con’c 내부의 건조수축의 차에 의해, Con’c 표면에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② 이때 발생되는 인장응력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되는뎅 이것을 온도균열이라고 하며, 구조체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Ⅱ. 피해 ① 누수에 의한 철근부식 ② 구조체의 강도저하 ③ 열화의 원인

  40. Ⅲ. 원인 ① Con’c의 탄성계수가 클수록 ② 수화발열량이 클수록 ③ Con’c의 온도와 외기온도의 차가 클수록 ④ 부재의 단면치수가 클수록 ⑤ 단위 시멘트량의 많은 수록 ⑥ 온도변화가 클수록 Ⅳ. 시공상의 유의점 ① Con’c의 타설온도를 낮출 것 ② 인장변형에 저항이 큰 콘크리트 사용 ③ 수화열리 적은 중요열 portland cement 사용 ④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를 가능한 크게 할 것 ⑤ Fly ash 등의 혼화재 사용 ⑥ 적당한 간격의 expansion joint 설치 ⑦ 냉각공법(precooling, pipecooling 등) 적용 ⑧ 단위 시멘트량을 감소할 것 ⑨ 적당한 타설속도를 유지할 것 ⑩ Con’c의 1회 타설높이(lift)를 적게 할 것

  41. 5-17. 경량 Con’c(light weight concrete) Ⅰ. 개요 ① 설계기준강도가 240kg/㎠ 이하이고, 기건 단위용적 중량이 1.4 ~ 2.0t/㎥ 범위내에 들어가는 Con’c를 말한다. ② 경량골재로는 크게 천연경량골재와 인공경량골재로 나뉜다 Ⅱ. 종류 ① 보통 경량 Con’c 골재의 비중이 세골재는 2.0, 미만, 조골재는 1.6 이하의 경량골재 사용 ② 기포 Con’c(cellular concrete) 기초제를 이용하여 물리적 반으에 의해 기포 발생시키거나, 발포제를 사용 gas 기포 발생시킴 ③ 다공질 Con’c(pirous concrete) 입경이 작은 굵은골재와 cement paste만 사용하여 다공질의 filter 형성 ④ 톱밥 Con’c 톱밥을 골재로 사용하여 못을 박을 수 있게 한 Con’c ⑤ 신더 Con’c(cinder concrete) 석탄재를 공재로 사용한 Con’c

  42. Ⅲ. 특징 ① 자중경감 효과 ② 단열 및 방음성이 좋음 ③ 흡수성 ·건조수축 등이 큼 ④ 열전도율이 일반 Con’c의 1/10 정도 Ⅳ. 시공시의 유의점 ① Slump는 18cm 이하, 단위 시멘트량은 300kg/㎥ 이상, 물 ·시멘트비는 60% 이항 ② 굵은골재 최대치수는 15 ~ 20mm로 함(인공경량골재 사용시) ③ 경량골재는 배합 전에 충분히 습윤하여 표면건조 내부포화상태로 유지할 것 ④ 혼화제는 A.E제 · A.E감수제를 쓰고, 공기량은 5%를 표준으로 함 ⑤ 피복두께는 보통 콘크리트의 피복두께에 10cm를 더한 값으로 함 ⑥ 비중이 1.0 이하의 골재는 압축강도와 탄성계수가 현저히 저하하므로 유의 ⑦ 부립률은 10% 이하로 유지할 것 ⑧ 염소가스는 철근부식을 촉진하고, 질소가스는 독성이므로 취급상 유의해야 함.

  43. 5-18. 보통 경량 Con’c Ⅰ. 개요 ① 골재의 비중이 세골재는 2.0 미만, 조골재는 1.6 이하의 경량골재를 이용하여 만든 Con’c를 말한다. ② 경량골재로는 크게 천연경량골재와 인공경량골재로 나뉜다. Ⅱ. 경량골재의 종류 1) 천연 경량골재 ① 화산암(volcanic rock) ② 화산암재(scoria) ③ 화산재(volcanic ash) ④ 응회암(tuff) ⑤ 규조토(diatomaceous earth) 2) 인공 경량골재 ① 혈암 ·점판암(shale clay · clay slate stone) ② 팽창질석(expanded vermiculite) ③ Fly ash ④ 응용광재(expeaded slag) ⑤ 석탄재(cinder ash)

  44. Ⅲ. 적용대상 ① Precast panel 제품 ② 부재의 자중경감 ③ 초고층 구조물 공사 ④ 콘크리트 2차 제품(경량벽돌 등) Ⅳ. 특징 ① 비중이 가벼움 ② 단열 및 방음성이 좋음 ③ 내동해성, 시공연도가 향상됨 Ⅴ. 시공시 유의사항 ① 굵은골재 최대치수는 15 ~ 20mm로 함(인공경량골재 사용시) ② 비중이 1.0 이하의 골재는 압축강도와 탄성계수가 현저히 저하하므로 유의 ③ 부립률은 10% 이하로 함 ④ 경량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는 보통 콘크리트의 피복두께의 10cm를 더한 값 ⑤ 배합은 소요강도 ·시공연도 ·비중 ·균일성 ·내구성 등을 충분히 검토할 것 ⑥ 배합 전에 충분히 흡수시키고, 표면건조 내부포화상태로 유지할 것 ⑦ Slump값은 18cm 이하, 단위 시멘트량은 300kg/㎥ 이상, 물 ·시멘트비는 60% 이하

  45. 5-19. 기포 콘크리트(cellular concrete) 시공 Ⅰ. 개요 ① 기포제를 cement에 혼합하는 경우 물리적 반응에 의해 기포를 발생시키거나 발포제를 사용하여 화학적 반응에 의한 gas를 발생시켜 경량화한 Con’c를 기포 콘크리트라고 한다. ② 경량성 ·단열성 ·내화성 등이 좋아진다. Ⅱ. 요구성능 ① 경량성 ② 내화성 ③ 단열성 ④ 방음성 Ⅲ. 적용대상 ① 바닥 단열 및 흡음재 ② 경량 precast 제품 ③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46. Ⅳ. 기포도입 방법별 분류 ① 기포법 기포제를 사용, 물리적인 방법(표면활성제 사용, A.E제 등)으로 기포발생 ② 발포법 발포제를 사용, 화학반응(알루미늄분말 등을 사용)으로 기포발생 Ⅴ. 특징 ① 건축물의 자중경감 효과가 큼 ② Con’c 타설시 시공성이 좋고, 노동력이 절감됨 ③ 수밀도가 1,500 ~ 1,600kg/㎥ 정도임 ④ 흡수성, 건조수축 등이 큼 ⑤ 열전도율은 일반 콘크리트의 1/10 정도임 Ⅵ. 시공시 유의사항 ① 염소가스는 철근의 부식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② 질소가스는 약품 자체의 독성으로 취급상 주의가 필요함 ③ 질소가스는 고가이므로 적용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함 ④ 현재는 수소가스(금속알루미늄분말+cement 중 알칼리 = 가스발생)가 비용면과 반응성에서 유리하여 많이 채택하고 있음

  47. 5-20. 다공질 콘크리트(porous concrete) Ⅰ. 개요 ① 입경(粒經)이 작은 굵은골재만을 사용한 다공질의 투수성이 있는 콘크리트를 말한다. ② 내부에 많은 작은 구멍을 가지고 있어서 수로의 filter로 사용되고 있으며, 경량이다. Ⅱ. 적용대상 ① 배수용 수로 ② 식수의 여과장치 ③ 구조물에 적용(하중경감) Ⅲ. 경량 Con’c의 종류 ① 보통 경량 Con’c ② 기포 Con’c(cellular concrete) ③ 다공질 Con’c(pirous concrete) ④ 톱밥 Con’c ⑤ 신더 Con’c(cinder concrete)

  48. Ⅳ. 특징 ① 잔골재(모래 등)는 사용하지 않음 ② 굵은골재의 치수는 5 ~10mm정도의 것 사용 ③ 기포는 골재를 둘러싼 시멘트풀로 만듬 Ⅴ. 시공시 유의사항 ① 중량 배합비 1(시멘트) : 5(골재)로 시공할 것 ② 물 ·시멘트비는 33% 정도로 할 것 ③ 압축강도가 70kg/㎠ 이상의 것을 사용함

  49. 5-21. Thermo-con(thermo concrete) Ⅰ. 개요 ① Con’c 제작시 골재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물 · cement ·발포제만으로 만든 경량 Con’c를 말한다. ② 기포 Con’c의 일종이며, 발포방식(발포제 사용)에 의해 만든 Con’c를 말한다. Ⅱ. 요구성능 ① 경량성 ② 방음성 ③ 단열성 ④ 내화성 Ⅲ. 적용대상 ① 경량 precast 제품 ② 바닥 단열 및 흡음재 ③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50. Ⅳ. 품질 및 특성 ① 물 ·시멘트비는 43% 이하로 함 ② 압축강도는 40 ~ 50kg/㎠ 정로로 함 ③ 인장강도는 4.3 ~ 5.0kg/㎠ , 휨강도는 17 ~ 19kg/㎠ 정도로 함 ④ 흡수율은 10 ~ 14%, 열전도율은 0.16 ~ 0.18kcal/m · h · ˚C 정도로 함 ⑤ 비중은 0.8 ~ 0.9 정도임 Ⅴ. 발포가스의 종류(발포제사용) ① 수소가스 ② 산소가스 ③ 아세틸렌 가스 ④ 탄산가스 ⑤ 암모늄 가스 ⑥ 염소가스 Ⅵ. 시공시 유의사항 ① 건조수축(일반 Con’c의 5배 정도)에 의한 균열발생 ② 발포제 사용시 염소가스는 철근의 부식을 촉진시킴 ③ 발표제 사용시 질소가스는 독성으로 인해 취급상 불리함 ④ 질소가스는 고가이므로 선정시 신중을 기해야 함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