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3

항균제 내성 MRSA & VRE 의 예방과 관리

항균제 내성 MRSA & VRE 의 예방과 관리. 2008. 11. 27 미생물부 유경기. MRSA. Gram 양성세균 중 S.aureus 는 혈류감염등 여려가지 감염을 흔히 일으키는 대단히 중요한 병원내 감염균으로 Methicillin 에 내성인 균 MRSA 선택배지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 Small pink

connie
Download Presentation

항균제 내성 MRSA & VRE 의 예방과 관리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항균제 내성MRSA & VRE의 예방과 관리 2008. 11. 27 미생물부 유경기

  2. MRSA • Gram 양성세균 중 S.aureus는 혈류감염등 여려가지 감염을 흔히 일으키는 대단히 중요한 병원내 감염균으로 Methicillin에 내성인 균 • MRSA 선택배지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 Small pink * coloniesMethicillin-resistant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 (MRCNS) : white colonies * Methicillin sensitive staphylococci (MSS) : no growth

  3. GROWTH된 MRSA • MRSA 원배지

  4. 발병기전 1.병원소및 감염원 MRSA를 포함한 S.aureus의 주된 감염원은 비강보균 환자나, 감염 된 환자,비강보균의료인이다 비강보균환자들은 감시배양을 하지 않 는 한 임상 검체에서 발견되지 않으므로 노출되지 않은 채 지속적인 감염원으로 작용한다

  5. 2.전파경로 직접또는 간접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그중에서도 감염원과 접촉한 의료인의 손에 MRSA가 오염되어 다른환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가장 흔한 전파방식이다 • 3.위험인자 MRSA를 획득하는 위험인자로는 고령,남자,입원경력,장기입원,화상 병동 또는 중환지실 입원,만성기저질환,항균제 사용,보균자와의 접촉, 광범위한 창상및 화상,카테터를 비롯한 인공물 삽입등이 관여한다.

  6. 4.MRSA의 Vancomycin 내성 MRSA의 감염이 증가됨에 따라 중증MRSA 감염치료에 Vancomycin이 지난 20여년간 사용되었다. 이후 glycopeptide내성인 S.aureus (VRSA)가 출현하였으며 아직 소수만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Vancomycin(glycopeptide) intermediate S.aureus( VISA,GISA) 균주 는 드물지 않게 보고되어지고 있으며 GISA의 Vancomycin 내성기전 은 두꺼워진 세포벽에 더 많은 glycopeptide가 흡착되므로 세균세포에도달되는 약제 농도가 낮기 때문으로설명되어지고 있다

  7. MRSA의 관리의 필요성 • MRSA의 관리의 필요성 1.MRSA 감염증은 MSSA 감염증에 비해 치료경비(고가 항생제사용에 따른 비용증가)와 입원기간이 많이필요하고 후유증을 더 많이 초래한 다.(MRSA 균혈증은 MSSA 균혈증에 비해 1.9배 사망률이 높다) 2.MRSA 의 치료약제인Vancomycin등을 광범위하게 사용하면 glycopeptide내성균(VRE, VISA, VRSA등)이 출현, 확산 될수 있다. 3. 감염관리시 적극적인 감시배양과 접촉격리 : 격리병동 또는 코호트 관리 4. MRSA 감염관리방법: 손 씻기, 환경소독, 항생제 사용관리, 비강 보균자 치료등…

  8. 우리나라에서 적용가능한 MRSA 감염관리 방법 (SHEA 권고안) 1.고위험군환자 : 감시배양이 권고 되는 환자 # MRSA 가 정착되거나 감염된 경력이 있는 환자 #다른병원이나 요양원등에서 전원된 환자 #최근 3개월 이내에 입원한적이 있는 환자 2.고위험지역 환자 : 감시배양이 권고 되는 지역 #중환자실 #장기이식 센터 #흉부외과,정형외과,혈관외과 #기타 심각한 MRSA 감염증(균혈증,폐렴,수술부위감염등)이 발생하는곳

  9. 5.결론 MRSA는 병원 종사자의손,의류,의료장비, 항생제 치료에 따른 선택압 력에 의해 병원 내에서 폭발적으로 전파될 수 있다. MRSA의 원내전파 를 차단함으로써 MRSA 감염관리에 성공할수 있다는 것은 여러연구 에서 밝혀졌다. 미국 CDC에서는 MRSA 보균자를 찾아 접촉격리를 시 행할 것을 권고하였고, 최근 SHEA에서도 이러한 접근법을 지침으로 발표하였다.또한 최근 PCR과 같은 분자유전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보 다 빨리 MRSA를 발견할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조기에 MRSA 감염자나 보균자를 발견하여 감염관리를 시작하는 것의 효과에 대한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10. VRE(vancomycin-resistance entrococci) • vancomycin resistance entrococci 로서 중요한 원내감염균으로 미 국에서 1990년초와 90년대말 VRE는 0.3%에서 15.3%로 증가하였으 며 중환자실의 경우 0.4%에서 23.2%로 현저히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VRE는 반코마이신 내성이 다른 그람양성구균 (staphylococcus spp)에 전파될수 있기 때문에 methicillin 내성 포도 구균보다 더 중요한 임상상의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 국내 현황 : 1990년대 후반부터 종합병원의 중환자실,혈액종양 병동 등을 중심으로 출현. 2004년 12개 종합병원에서 분리된 Entrococcus faecium의 20%가 vancomycin 내성균. 내성률 : Entrococcus faecium > Entrococcus faecalis

  11. 1. vancomycin 남용억제 : vancomycin의 남용은 VRE 의 출현 및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할뿐아 니라 VRSA(vancomycin-resistant S.aureus)의 출현을 유도할 수 있 다. 2. 진단검사의학과의 역할 진단검사의학과는 VRE의 확산을 예방하는데에 있어 최전방에 있다고 할수 있으며 장구균의 동정및 반코마이신 내성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별하여 감염관리실등에 통보함으로서 VRE가 확산되고 남뒤의 억제 를 위한 불필요한 노력을 덜게 해줄수 있다. 3. 장구균의 동정 일단 1차 평판배지의 집락모양, Gram stain, PYR(L-pyrrolidonyl beta-naphthylamide) 가수분해 검사등으로 장구균 감별. 4. Vancomycin(2 ug)이 함유된 배지사용 : VRE : Black colony

  12. Growth 된 Enterococci VRE 선택배지

  13. VRE 의 검출시 1. 디스크 확산법 2. MIC 검사법 3. 균집락을 Mcfarland 0.5에 맟춘후 vancomycin 6ug/ml이 함유된 BHI 에 접종후 incubation 24시간후 집락유무 확인 4. 감수성 검사와 병행하여 주치의에게 VRE로 추정되는 세균이 자라고 있음을 통지한후 적절한 격리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14. VRE 에 대한 검사 1.고위험군에 속한 환자(중환자실, 종양병동, 이식병동 입원환자)의 모 든검체에서 자란 장구균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항균제 감수성 검사 실 시 2. 고위험군에 속한 환자(중환자실, 종양병동, 이식병동 입원환자)가 많 은 병원에서는 VRE의 감염이나 장내보균은 위험성이 높으므로 주기 적으로 대변이나 항문 면봉검사를 실시하여 VRE의 출현 여부를 조사 한다. 이는 장내 보균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 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15. 2008년 MRSA 건수별 비교단위: 명(인원)

  16. 2008년 MRSA 현황전체 비율(MRSA 보고 명 수 / S.aures보고 명 수)

  17. 2008년 MRSA 현황NASAL 검체중 MRSA(MRSA 보고 명 수 / 총 nasal검체 명 수)

  18. 2008년 VRE 건수별 비교단위 : 명(인원)

  19. 2008년 VRE 현황전체 장구균중 VRE 보고건수

  20. 2008년 VRE 현황전체 S-VRE검체중 VRE 보고건수

  21. 결론 • 1.다기관의 연구를 통한 내성균 감염 및 역학의 파악 • 2.내성균 발생 억제및 확산 방지 대책의 마련 • 3.국내에서의 효율적인 내성균 감시관리와 발생 억 제 방법 model 의 구체적 제시 • 4.내성균 획득을 통한 중증 질환 발생의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수단의 확립 • 5.감염관리 학회와 국가기관(질병관리 본부)의 공증 을 거친 전국적 감염관리 표준안의 수립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