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4

글로벌 트렌드와 미래마인드 `

글로벌 트렌드와 미래마인드 `. 박 인 주 사회통합수석비서관. I. 서론. 르몽드 기자와 Winston Churchill 경의 대화. II. Global Trends 2025 장기예측.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NIC) 보고서 Global Trends 2010 이후 매 5 년 마다 작성. 1. 경제의 세계화 → 거대한 부의 이동. 중국과 인도의 성장 전세계 부와 경제력의 이동 중산층 성장 – 4 억 4,000 명에서 12 억명으로 ( 세계인구의 16.1%)

Download Presentation

글로벌 트렌드와 미래마인드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글로벌 트렌드와 미래마인드` 박 인 주 사회통합수석비서관

  2. I. 서론 르몽드 기자와 Winston Churchill경의 대화

  3. II. Global Trends 2025 장기예측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NIC) 보고서 Global Trends 2010 이후 매 5년 마다 작성 1. 경제의 세계화 → 거대한 부의 이동 • 중국과 인도의 성장 • 전세계 부와 경제력의 이동 • 중산층 성장 – 4억 4,000명에서 12억명으로(세계인구의 16.1%) • 민영화 후퇴와 국유기업의 부흥 • 떠오르는 헤비급 강자 : 중국, 인도 • 러시아 – 서방, 아시아 중동 각국의 중요 파트너 - 미국의 세계지배에 반대하는 세력의 중심으로 국제무대 재등장 • 2025년 영향력이 약화될 유럽 : 노동 연령인구의 감소 • 미국과 중국 사이에 낀 일본 → 인구노령화 : 노동력 인구의 감소, 일당정치체제의 해체 • 브라질 – 남미지역의 일인자, 지속적 성장

  4. II. Global Trends 2025 장기예측 2. 인구분포 • 68억에서 80억(Asia, Africa가 중심) • 연금 수령자 급증 – 인구노령화 과제 • 거주지 변화 : 이민∙ 도시화 ∙민족이동 → 국제이주와 기술의 이전효과 3. 에너지·탈석유 시대의 도래 • 에너지 수요확대 : 기후변화의 영향 가속화 • 에너지 문제와 기후문제가 복합 : 건강문제, 농업손실, 폭풍 등 해악 • 탈석유시대 도래 : 천연가스(러시아, 이란, 카타르 3국이 천연가스 매장량의 57%) • 발전용 핵연료 사용의 증가 • 고유가의 경우 : 러시아, 이란 등이 국력 신장 • 물, 식량 그리고 기후변화 : 2030년 까지 식량수요 50% 증가예상 ※ 기후변화 승자는? 러시아, 캐나다

  5. II. Global Trends 2025 장기예측 4. 다극체제와 분쟁잠재성 증대 • 새로운 주역 등장 BRICs • 국제기구 무능력 심화 • 지역 블록화 성장 • 비국가 행위자들과 네트워크 힘 강화 • UN, WTO, IMF, World Bank 등의 미래는 ? 신흥국들의 의견수렴은 하나.. • 중동 내 핵무기 경쟁 위험 증대 - 이란 핵개발 : 중동국가 핵개발 - 중동의 세력균형 붕괴 • 새로운 자원 분쟁 : 에너지 자원 확보가 정권의 생존과 국내 안정의 필수 • 중앙아시아는 에너지 확보와 관련 철저한 경쟁지역

  6. II. Global Trends 2025 장기예측 5. 다극세계의 권력 분점 • 미국의 약화 : 리더십에 대한 요구는 크나 역량은 축소 • 대외적으로 중상주의와 자원민족주의 우선시 • 기후변화로 인도적 지원의 필요성 증대 → NGO 역할 증대 • 달러화의 독보적 역할에서 2025년 복수통화로

  7. II. Global Trends 2025 장기예측 6. 지구 기후변화 21세기 기후변화 가속화 현재와 같이 지속적으로 화석연료를 사용할 경우 21세기 말 지구평균기온 최대 6.4℃ 상승, 해수면 59mm 상승, 2000년 ~ 2030년 까지 전 세계 온실가스는 25~90%(CO₂-상당) 증가

  8. II. Global Trends 2025 장기예측

  9. II. Global Trends 2025 장기예측 참고: 한반도 기후변화 東亞日報2011년 5월 19일 목요일 한반도 온난화 피해 2800조 “한반도 온난화로 2100년까지 기온이 4도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로 인한 피해액은 2100년까지 연평균 31조 원, 90년간 2800조 원으로 분석됐다.” 기온이 평년 평균보다 약 4도 오르면 해안 곳곳에서 해수면이 1m 이상 높아지고 침식과 범람이 일어나 3222km2(약 9억7465만5000평)가 물에 잠기며 국내 111개 해안 모래사장의 80%가 사라진다. 이로 인해 약 1400조 원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 기후변화 대응 OECD꼴찌… 30위” “석유의존 높아”…美 29위 연구 결과 기후 변화 적응과 에너지자립에 대한평가에서 노르웨이와 아이슬란드, 스웨덴이 각각 1, 2, 3위를 차지한 반면 한국은 최하위인 30위를 기록했다. 29위와 28위는 각각 미국, 일본이었다.

  10. III. 최근 우리나라의 어두운 현실 OECD(2010) OECD Health Data 2010: Statistics and Indicators for 34 Countries 1. 자살률의 급등

  11. III. 최근 우리나라의 어두운 현실 2. 교통사고 사망자 현황 경찰청 『교통사고관리시스템』

  12. III. 최근 우리나라의 어두운 현실 • 1991년을 정점으로 매년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감소, 2004년을 기점으로 반감기에 진입 - ’91년 13,249명 → ’04년 6,563명 • 주요 선진국이 반감기에 접어든 기간이 대체로 20여년이 소요된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13년 만에 교통사고 사망자가 절반 이하로 감소 • 꾸준한 교통사고 예방활동 및 국민들의 법규준수의식 향상으로 사망자 감소추세는 이어 가고 있음 - OECD 주요 가입국에 비해 여전히 하위권에 위치하고 있어 범국민적인 교통사고 사망자 줄이기 노력이 필요 - ’05년 기준 자동차 1만대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 OECD 평균 1.7명, 한국 3.4명

  13. III. 최근 우리나라의 어두운 현실 3. 저출산 고령화 사회 통계청 『2009년 출생통계』*합계 출산율 : 여자1명이 가임기간 동안 낳는 평균 출생아 수 우리나라의 합계 출산률은 1.15(’09년)명으로OECD국가 중에서 최저 수준 -’08년 우리나라 1.19명, 일본 1.37명, 미국 2.09명, 프랑스 2.0명, 독일 1.38명, 영국 1.96명 유럽, 일본, 미국 등과 비교해 우리나라는 급격한 출산율 감소와 동시에 가장 빠른 고령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지속될 경우 국가 경쟁력도 심각한 타격을 주게 될 것으로 전망됨

  14. III. 최근 우리나라의 어두운 현실 매일경제 2011. 2. 23 인구의 고령화가 급진전 됨에 따라 총인구 중 65세 이상 비율이 70년 3.1%, 2000년 7.2%(고령화 사회), 2018년 14.3%(고령사회), 2026년 20.8%(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고 2006년 예상했으나 속도가 빨라짐 통계청 예상에 따르더라도 2005년에는 생산가능인구(15~16세) 7.9명당 노인1명을 부양했지만, 2020년 에는 4.6명당 노인1명, 2050년 1.4명당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할 것으로 전망

  15. III. 최근 우리나라의 어두운 현실 4. 우리의 사회갈등 한국은행『국민소득』 박준 외. (2009). 한국의 사회갈등과 경제적 비용. 삼성경제연구원

  16. III. 최근 우리나라의 어두운 현실 5. 부패

  17. III. 최근 우리나라의 어두운 현실 6. 삶의 만족도 한국인 36%만 “삶에 만족” OECD 평균(59%)보다 크게 밑도는 것으로, 조사 결과가 발표되지 않은 스웨덴을 제외한 33개 회원국 가운데 24번째다. OECD 보고서는 나라별 복지상태를 주거, 소득, 공동체, 일자리, 교육, 환경, 일과 삶의 균형 등 11개 분야로 측정하고 있다. 한국은 교육 부문을 제외하고 나머지 분야에서는 OECD 평균보다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OECD, 2011, ‘더 나은 삶: OECD 회원국 복지지표’

  18. IV. 우리나라의 밝은 전망 1. 국내총생산 및 경제성장률 한국은행『국민소득』

  19. IV. 우리나라의 밝은 전망 2. 2010년 한국수출 세계 7위 등극 • 한국 글로벌 수출순위가 세계 7위로 상승 (1위 중국, 2위 미국, 3위 독일, 4위 일본, 5위 네덜란드) • 2010년 무역액 8,931억불로 2011년 12%만 늘면 무역액 1조 달러 시대 진입 • 2010년 한국 무역흑자 417억 달러(수출 4674억 달러. 수입 4257억 달러)

  20. IV. 우리나라의 밝은 전망 범용상선 메모리반도체 CDMA 휴대폰 3. 점유율 1위 세계 일류 상품 메모리 반도체 튜너, 전자레인지, 냉장고, CDMA 휴대폰, 범용상선 등 세계일류상품 중 121개 품목이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

  21. IV. 우리나라의 밝은 전망 4. G20 정상회의 의장국 글로벌 규칙제정자로 도약 • 우리나라의 국격과 브랜드 가치의 상승 등 눈에 보이지 않는 장기적 효과 기대 • ‘코리아 디스카운트’에서 ‘코리아 프리미엄’으로 역전시킬 전기 마련 • 반세기 전 전쟁의 폐허로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세계 10위 경제대국으로 발전 → 개도국들이 우리나라를 벤치마킹하려는 이유 • 경제개발, 외환위기 극복, 금융위기 탈출 등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어 다른 G20국가들 보다 개도국의 어려움을 잘 이해하고 대변해줄 수 있는 입장 • 새로운 국제질서의 창출에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역사적 의미 • 의제 선정, 정상선언문 작성, G20 국가들 간의 합의 도출 과정에서 글로벌 리더십 발휘

  22. IV. 우리나라의 밝은 전망 5. 원조 수원국에서 원조 공여국으로 • 우리나라는 원조 수원국과 원조 공여국의 역사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원조를 받아 오던 입장에서다른 개발도상국들에게 원조를 제공하는 공여자의 입장으로 그 지위가 전환 되었다. • 우리나라는 신흥원조공여국(emerging donnor)으로서 개도국의 개발에 기여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ODA를 증대시켜 왔으며, 그 결과 1991년 1.1억불에 불과하던 원조규모가 2008년에는 약 8억불을 기록하여 절대 규모면에서 큰 증가를 보이고 있다.

  23. IV. 우리나라의 밝은 전망 연도별 ODA 지원 현황 OECD, International Development Statisics Online DB : 한국국제협력단 2005년에는 원조규모가 급증하여 752.3백만불, GNI의 0.1% 까지 성장세를 보였다. 이는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등의 전후 복구지원 증가, IDB로의 신규 출자 등에 따른 예외적인 요인에 기인한다. 2006년은 2005년에 발생하였던 원조증대의 예외적인 요인들이 소멸하여 총 ODA규모가 전년대비 39.5% 감소 하였고, 2007년은 전년도 실적이 없었던 IDA에 대한 출자 등에 기인하여 총 ODA규모가 전년대비 53.6% 증가했다.

  24. IV. 우리나라의 밝은 전망 자랑스러운 1위들 • 2050년 미국에 이어 1인당 GDP 세계 2위 (골드만삭스 예측) • 평균지능지수 106으로 185개국 중 2위(도시국가 홍콩 1위) • 한글: 문자순위 1위(옥스퍼드 대학교 언어학과) • 15세 이하 학생 읽기 능력 세계 1위, 전국민 문해율 98.3% • 이란 대장금 시청률 90% (세계 곳곳으로 한류 확산) 등

  25. V. Korea Trends 2025 • 국민소득 3만 ~ 3만 5천 달러 • 중국, 일본, EU, 호주 등과 FTA체결 • 중산층 성장 • 남북교류 활성화 • 느슨한 형태의 남북연합 • 황해도 사과나무 심기 (흥사단) • 2023년 5,068만명을 기점으로 하강 • 출산율 2008년 1.15명 193개국 중 최저(미국 2.1명, 프랑스 2.0명) • 2018년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 14% 이상 고령사회 - 노인인구증가 → 빈곤, 질병, 소외 - 노인일자리 부족 → 일본 톨게이트 • 평생학습참여율 26% → 40%로 확대 • 학교교육체제에서 평생학습 체제로 변화

  26. VI. 미래학자 3인과 미래마인드 리처드 왓슨 다니엘 핑크 앨빈 토플러 IBM·맥킨지·코카콜라 등 주요 글로벌 기업에 미래 트렌드를 컨설팅 떠오르는 차세대 미래학자, 앨 고어의 수석대변인 미래학의 거목(巨木)인 세계적 석학

  27. VI. 미래학자 3인과 미래마인드 1. 미래학자 3인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미래 너무 빨라지고 너무 복잡해진 세계…. 그래서 위기가 왔다. 그래도 미래는 낙관한다. 인간은 늘 위기를 이겨 왔다. 도저히 양립하지 않을 것 같은 극단들이 공존(共存)하는 미래가 머지 않아 열릴 것이다.

  28. VI. 미래학자 3인과 미래마인드 2. 미래학자 3인이 말하는 미래 트렌드 정치든 경제든 사회든 점점 스토리와 디자인이 중요해진다. 하이콘셉트(high-concept)가 각광받을 것이다. 감성과 예술까지 아우르면서 전체를 조망하는 통섭과 종합의 능력을 뜻한다. 인간의 오른쪽 뇌가 주로 관장하는 영역들이어서, 우뇌(右腦)의 시대 개막 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29. VI. 미래학자 3인과 미래마인드 • 전문가의 장벽이나 기존 사고(思考)의 틀을 깨고 넘나드는 인재, 더 열려 있고 더 신축적인 인재가 중요해질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교육 제도를 확 바꿔야 한다" - 토플러 - • 정치든 “글로벌 경제 위기 탓에 어느 분야에서든 넓고 큰 시야를 갖고 큰 그림을 그릴 줄 아는 전문가를 원하게 됐다.” • “이런 하이컨셉트의 능력, 우뇌의 능력 은 갈수록 가속화할 자동화가 결코 대체할 수 없다는 점에서 더욱 각광받을 수 밖에 없다. - 다니엘 핑크 - • 첨단 기술이 발전 할수록, 감성 디자인을 맡고 있는 우뇌가 경제 경영의 중심으로 떠오른다. • 감성과 디자인, 창조경영의 아이콘인 애플(Apple)이 만드는 자동차를 한번 상상해 보라. - 왓슨-

  30. VI. 미래학자 3인과 미래마인드 역사의 무게 중심과 세계의 눈길은 아시아로 쏠릴 것이다. 중국은 순항하겠지만, 잠재한 리스크를 잘 관찰해야 한다. 대한민국은 다른 나라의 미래가 이미 싹트고 있는, 미래 국가의 전형이다. • “다른 나라의 미래가 벌써 싹트고 있는 재미있고 아름답고 역동적인 나라 “– 왓슨 - • “ IT 분야에서 앞으로도 세계 최고의 국가 중 하나가 될 것이고, 현 위기에서 미래로 나아가는 창의적 방법을 발견 할 것” – 토플러 – • “풍요의 극적인 사례를 이룬 국가” – 핑크 -

  31. VII. Five Minds For Future 1. 주도적이 되라 –스티븐 코비 • 도산, 간디 → Vision의 제시 2. 종합하는 능력을 키워라 • Howard Gardner(하버드대 심리학과) : A자형 인간이 되자 3. 창조하는 마음을 가지자 • 새로운 미래가 온다 Daniel Pink 著 : 앨 고어 스피치라이터

  32. VII. Five Minds For Future 4. 존경하는 마음을 익히자 • 다름에 대한 인정 , 인격존중, 토론문화의 활성화 • 도산 愛己愛他, 有情한 사회와 無情한 사회 5. 윤리적 마음을 닦자 • 투명사회 • 務實力行 : 도산 안창호 • 사티아 그라하 : 간디 • Sincerity : Benjamin Franklin

  33. Ⅷ. 결어 Winston Churchill(1943년 하버드 학위수여식) "미래의 제국은 마음의 제국이다. 미래에 대한 예측, 분석능력, 마음훈련으로 성공하는 미래인이 되자"

  34.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