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7

아동간호학 국시 특강 I

아동간호학 국시 특강 I. 윤정아 . 국가고시 예상 문항수. 성장발달. 성장발달의 이해. 성장 (growth) 신체의 크기나 부피의 증가로 양적 변화 측정가능하고 쉽게 관찰 , 조사 ( 키 , 몸무게 , 치아 , 골격의 변화 , 2 차 성징발현 등 ) 발달 (development) 성장에 따른 기능의 점진적 변화와 확장으로 정서적 , 사회적 변화 등 질적 변화 성장 , 성숙 , 학습 통해 성취. 성장발달 원리 방향성 , 연속성 ( 예측 가능 )

cuyler
Download Presentation

아동간호학 국시 특강 I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아동간호학 국시 특강 I 윤정아

  2. 국가고시 예상 문항수

  3. 성장발달

  4. 성장발달의 이해 • 성장(growth) • 신체의크기나 부피의 증가로 양적 변화 • 측정가능하고 쉽게 관찰, 조사(키, 몸무게, 치아,골격의 변화, 2차 성징발현 등) • 발달(development) • 성장에따른 기능의 점진적 변화와 확장으로 정서적, 사회적 변화 등 질적 변화 • 성장, 성숙, 학습 통해 성취

  5. 성장발달 원리 • 방향성, 연속성(예측 가능) • Cephalocaudal (head to tail) • Proximodistal(near to far) • Differentiation( mass to specific) • 개인차 •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 • 상호관련성

  6. 발달 사정(Denver-II 발달검사) • 생후부터 6세까지 아동에게 적용(미숙아 경우 현재나이에서 부족한 재태기간 만큼 빼어 연령선 교정) • 어린 아동의 발달을 사정하기 위해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검사, 발달 지연의 가능성 있는 아동의 선별 • 검사영역 • Personal-social (22문항) • Fine motor-adaptive(27문항) • Language(34문항) • Gross motor(27문항) • 각 항목의 검사집단의 25%, 50%, 75%, 90%가특정 항목 수행할 수 있었던 연령들을 나타내는 막대로 표시 • 같은 연령의 아동 90% 가 통과한 항목, 혹은 연령선에 완전히 좌측에 있는 항목을 수행하는데 실패 할 경우 지연(delay) • 의심(suspect) : 1개 이상의 지연 또는 2개 이상의 주의

  7. 단계별 발달과제

  8. 놀이의 유형

  9. 신생아기

  10. 신생아의 출생 직후 생리적 변화 • 호흡기계 • 화학적 요인 : 연수의 호흡중추 자극 • 온도적 요인 : 갑작스러운 온도변화는 피부 감각자극 흥분 • 폐포를 둘러싼 모세혈관망이 혈류와 혈압증가로 확장된 후 폐포의 부분적 확장 시작 • 폐포에서의 표면장력은 계면활성제(surfactant)에 의해 감소

  11. 순환기계

  12. (혈액 압력)태아기 : 대동맥 <폐동맥, 좌심장< 우심장 출생 후 : 대동맥 > 폐동맥, 좌심장> 우심장

  13. 신생아의 생리적 특성 • 미숙한 체온조절 능력 • 체포면적이 넓어 열손실 취약 • 피하지방층 얇아 열보존 위한 절연체 기능 취약 • 신생아기 열생산은 갈색지방 조직의 분해에 의해 발생 (shivering mechanism 없음), 굴곡체위 • 혈액계 • 만삭아의혈량80-85ml/kg • 출생직후전체 혈액량 평균 300ml • 생리적 빈혈 • 적혈구 수명 짧고 적혈구 파괴로 빌리루빈 생성증가

  14. 수분과 전해질 균형 • 출생 시 신생아의 총수분량은 전체 몸무게의 73%(성인 58%) • 세포외액의 비율 높다(따라서 Na ↑, K, Mg, P↓) • 수분교환율 성인에 비해 7배, 신진대사율2배 더 높다. • 미성숙한 신장 • 따라서 탈수, 산혈증, 과수분증 초래 위험성 크다

  15. 위장관계 • 단백질과 단순 탄수화물(단당류, 이당류) 조절하는효소 적절하지만, 췌장 아밀라아제 생산은 불충분하여 다당류 이용은 제한적 • 간 기능 가장 미숙 • glucuronyltransferase부족으로 신생아 황달 일으킴 • 침 흘리기 자주 일어나는 2-3개월까지 타액분비 시작하지 않음 • 위용적 적어 소량씩 자주 수유

  16. 신장계 • 첫 주말까지는 하루 소변 총량 200-300ml • 첫 배뇨는 24시간 이내에 일어나야 하며 무색, 무취, 비중 1.020 • 피부계 • 피부의 표피와 진피 서로 느슨하게 붙어있고, 매우 얇음 • 출생 시 신생아를 덮고 있는 기름진 태지 • 모낭은 출생과 동시에 성장, 일시적 탈모 가능 • 멜라닌 양 적어 태양의 유해한 영향에 더 취약 • 신생아 피부는 약 산성 보호막 있어 목욕 시 중성비누 사용 • 혈관운동 신경 불안정(손발 차가울 때 청색증, 대리석양 피부, 할리퀸 색조변화(Harlequin) • 근골격계 • 화골화된 뼈보다 연골 더 많이 포함, 화골화과정 첫 1년간 매우 빠르게 진행 • 근육계는출생시 대부분 형성

  17. 감염에 대한 저항력 • 감염 국소화하는 조직의 염증반응 미성숙 • 자신의 면역글로불린(Ig)은 첫 2개월까지 생성할 능력 없지만 모체순환과 모유로 Ig G수동면역 • 내분비계 • 항이뇨호르몬(ADH) 분비량 적어 탈수에 취약 • 모체 호르몬 영향으로 음순 비후, 젖(마유, witch’s milk) 분비 • 가성월경(pseudomenstruation) • 신경계 • 대부분 원시반사

  18. 감각기능 • 시각 • 시야의 중심선 내에서 20cm(8인치) 이내거리의 움직이는 물체에 순간적으로 초점 맞춤 • 밝거나 어두운 색(적색, 주황색, 청색)보다는중간색(노란색, 녹색, 분홍색) 선호 • 기하학적 무늬, 체크무늬, 중간정도의 복잡도, 반사하는 물체 선호 • 청각 • 귀에서 양수 배출되면 영아는 성인과 같은 청력보임 • 출생한지 3일 이내 어머니의 목소리 구별 • 저주파음은 신생아의 활동과 울음 저하, 고주파음에 민감하게 반응 • 후각 • 엄마 젖냄새 구별, 알코올이나 식초같은 강한 자극성 냄새 반응 • 미각 • 맛 구별, 달콤한 용액에 더 강하게 빨고 만족 • 촉각 • 얼굴(특히 입), 손, 발바닥 가장 민감

  19. 정상신생아 사정 • 초기사정 : Apgar score • 신생아의 자궁 외 생활에 대한 즉각적인 적응정도 사정 • 평가항목 : 심박동수, 호흡능력, 근력, 자극에 대한 반응, 피부색 관찰 • 출생 후 1분, 5분 후에 측정 • 점수 평가 : 0~3점 : 심한 적응곤란, 4~6점 : 중등도 곤란, 7점~10점 : 정상

  20. Apgar Score 항목

  21. 신생아의 신체계측 • 머리둘레 33-33.5cm • 가슴둘레 30.5-33cm, 머리둘레가가슴둘레보다 보통 2-3cm 정도 더 큼 • 체중 • 2,700-4,000g, 평균 3,400g • 생리적 체중감소(출생시 체중의 10%감소) • 생후 3-4일까지 세포외액 소실, 태변배출, 제한된 음식 섭취 • 신생아의 활력징후 • 체온 36.5-37.6, 맥박 120-140, 호흡 30-60, 혈압 65/41mmHg

  22. 신생아의신체특성 • 머리 • 천문 (fontanel) • 대천문(anterior fontanel) : 12-18개월에 폐쇄 • 소천문(posterior fontanel) : 8주이내 폐쇄 • 산류(caput succedaneum) : 출생과정 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한 넓은 부종, 출생 후 첫 24시간이내 발생, 봉합선을 넘는 부종, 수일내로 가라앉음 • 두혈종(cephaohematoma) : 두개골과골막사이에혈액고임, 출생 후 24-48시간에 생김, 두개골의 봉합선 넘지 않음, 2-3주내 가라앉음

  23. • 안검부종, 좌우대칭, 흰공막, 투명한 각막, 일시적 사시 • 귀 • 귓바퀴의 제일 윗부분은 외안각과 수평이거나 높아야 함 • 코 • 출생시편평, 손으로 영아 입과 한 콧구멍 막아 공기 통하는지 사정 • 입과 목구멍 • 토순과 같은 외형적 결함, 장갑낀 손가락으로 구개사정, 빨기반사 나타남 • 목 • 목은 짧고 주름, 운동의 범위, 쇄골의 골절 유무 촉진 • 흉부 • 전후경과좌후경 같으므로 거의 원통형, 늑골 매우 유연, 흡기시 약간의 늑간함ㅁㄹ 가능

  24. 복부 • 원통형, 불룩, 제대 검사 시 2 artery, 1 vein • 여아생식기 • 소음순, 대음순, 음핵 부종 • 질분비물, 가성월경(보통 2-4주에 사라짐) • 남아생식기 • 요도개구부 확인 • 잠복고환 사정위해 음낭 촉진 • 등과 항문 • 척추 형태는 완만한 둥근모양, 첫 24-48시간내 태변 배출은 항문 개방 의미

  25. 신경계 • 신경계

  26. 신생아 간호 • 기도유지 • 흡인 5초이내 수행, 양수나 점액이 흡인 막기위해 인두 깨끗이 한 후 비강 깨끗이 함 • 체온유지 • 피부와 머리카락 빠르게 건조, 온열방사기, 옷이나 담요로 감싸 보온 유지 • 감염과 상해로부터 보호 • 눈간호 • 임균성안염, Chlamydia 결막염 예방 : 0.5% erythromycin, 1% tetracyline • Vitamin K 0.5-1mg 근육주사 • HBV 예방접종 : 3회중 1회 실시 • 유전질환의 선별검사 : PKU, hypothyroidism, galactosemia, sickle cell disease

  27. 제대관리 • 알코올이나 gentian violet을 제대 기저부 바름 • 기저귀는 제대 아래쪽에 대어줌, 홍반, 악취, 농성분비물 유무 관찰 • 기저귀발진 • 기저귀 잘 갈아주지 않거나, 모유에서 인공유전환 시 잘 발생 • 기저귀 잘 갈아주고, 공기 중에 노출시켜 건조하게 유지 • 목욕 • 수유 직후 피하며, 순서는 머리부터 발 쪽으로 씻김 • 여아의 음순은 앞에서 뒤로, 눈꺼풀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닦을 것

  28. 최적의 영양공급 • 모유 • 소화 흡수 잘됨, 두뇌발달, 성장에 유리 • 엄마젖에 많은 콜레스테롤은 어려서부터 콜레스테롤 대사 능력을 증대시켜 성인병 발생률 감소 • 다량의 면역물질 함유 모유와 우유의 비교

  29. 고위험 신생아

  30. 고위험 신생아의 분류 • 신체크기에 따른 분류 • 저체중 출생아(LBW) • 극소 저체중 출생아(VLBW) • 초극소저체중 출생아(ELBW) • 제태기간에 적절한 출생아(AGA) • 제태기간에 비해 작은신생아(SGA) • 재태기간에 비해 큰 체중아(LGA) • 제태기간에 따른 분류 • 미숙아(premature infant) • 만삭아 (term infant) • 과숙아(postterm infant)

  31. 미숙아의 특징 • 출생 체중과 관계없이 37주 이전 출생 영아 • 솜털 과다, 태지 거의 없으며, 머리카락은 가늘고 솜털, 귀연골 발달 미약 • 관절 이완, 파악, 빠는 반사, 연하 반사 없거나 미약, 빈번한 무호흡증상 • 복부팽만, 손바닥,발바닥 주름 적거나 없음 • 체온조절 능력 저하 • 보육기, 방사보온기 적용 • 체온 자주 측정 • 남아 경우 음낭 주름 적고, 여아 경우 음순과 음핵 돌출

  32. 과숙아의 특징 • 재태연령42주 이상 • 태변 흡인으로 인한 합병증 가장 위험 • 야위고 눈 뜨고 솜털없음 • 태지가 감소, 태반 노화로 인해 영양공급받지 못해 피하지방 적어 피부 쭈글쭈글 • 머리카락 많고 손톱 길고, 피부 창백, 갈라져 있음 • 제대와 손톱에 태변 착색

  33. 황달(Jaundice) • 생리적 황달(physiologic Jaundice) • 생후 2-4일 경에 나타나는 황달로 비교적 경한 경과, 혈중 빌리루빈치5mg/dL이상시 • 피부나 공막, 손톱등에 황달 • 원인 • 짧은 적혈구 수명(70-90일)으로 비포합(간접) 빌리루빈 증가 • 간의 미성숙으로 glucuronyoltransferase활성 부족으로 포합(직접) 빌리루빈(수용성)으로 전환되지 못함 • 직접빌리루빈은 담도, 장관 통해, 소변, 대변으로 배설 • 배설되지 못한 빌리루빈이 다시 재흡수되어 피부, 공막에 침착

  34. 병리적 황달(pathological Jaundice) • 혈청빌리루빈 수치 12mg/dl 이상 • 혈청 빌리루빈과 무관하게 24시간 이내 황달발생 • 황달이 2주 이상 지속 • 간접 빌리루빈이뇌저신경절에 축적 시 핵황달 • 핵황달(Kernicterus) • 뇌세포에 불포합빌리루빈 침착으로 신경학적 증후군 • 만삭아 경우 혈장 빌리루빈 농도 25mg/dl이상, 미숙아 경우 20mg/dl 미만인 경우도 발생 • 치료받지 않은 용혈성 질환인 경우 빌리루빈치가25-30mg/dl 이상 환아 1/3에서 발생

  35. 모유황달 • 모유에 함유되어 있는 glucuronyltransferase의 포합작용을 방해하는 요소(pregnanediol, 지방산 등)로 인해 발생 • 모유수유아의2-3%에서 발생 • 생후 4-7일부터 비포합빌리루빈 상승하여 10-15일째 최고치 • 모유 계속 수유시 서서히 감소하여 3-10주 동안 낮은 농도에서 지속 • 황달 나타날 때 1-2일간 모유 수유 중단시 급격 감소, 다시 모유 수유해도 재발 않는다. • 조기모유황달 • 모유부족으로 인한 탈수나 칼로리 부족, 생후 2-4일에 나타나 3-5일에 초고수준 • 모유수유 신생아 10-25%에서 나타남 • 가능한 빨리 모유수유 시작하고 더 자주 하도록 한다ㅣ

  36. 간호 • 광선요법 • 신생아로부터 45-60cm 거리에전구 매달아 빛이 피부에 흡수되어 빌리루빈을 수용성으로 바꾸어 배설 • 빛 아래 옷 벗기고 눕혀서 신체의 모든 부위가 빛에 노출되도록 하고 자주 체위변경(남아 경우 고환 가려줌) • 불투명한 마스크로 눈 가려줌 • 고체온이나저체온 막기 위해 체온 자주 측정 • 부작용 관찰 : 묽고 녹색의 대변, 피부발진, 고체온, 대사율 증가, 탈수, 전애질 장애, 지속적 발기 • 교환수혈 • 용혈성 질환에 의한 고빌리루빈혈증 경우 • Direct Coombs test 양성, 빌리루빈이24시간 이내 만삭아에서20mg/100mL 이상 시(제대동맥 통해 하대정맥으로 삽입) • 알부민 투여 • 알부민은 혈청에서 빌리루빈과의결합성 높여줌

  37. 신생아 용혈성 질환 • ABO 타입 • 산모의 혈액형이 O형이고, 영아가 A, B형일 때, 또 첫 분만일 때 발생빈도 높음 • Rh부적합증 • 어머니가 Rh – 이고, 영아가 Rh+일때 발생 • 첫임신: 태아의 Rh양성적혈구가 모체순환에 유입되면 모체에서 항 Rh항체형성 • 두번째 임신 : 항 Rh항체가태반 넘어 태아 순환으로 들어가 태아의 적혈구 공격 • RhoGAM(Rho-immune globulin)을 분만이나 유산한지 72시간내 투여, 모체순환으로 유입된 태아적혈구가 면역반응 일으키기 전에 파괴

  38. 미숙아의 호흡기계 질환 • 미숙아 무호흡증 • 20초 이상 자발적 호흡 없는 상태, 재태기간 짧을 수록 빈도 증가 • 치료 • Methylzanthines(aminophylline, theophylline, caffeine) 투여 • 영아의 가슴, 등 문지르거나 앙와위로체위변경하는 등 부드러운 촉각 자극으로 호흡 자극 • 비강, 구강, 인두 흡인하고 100% 산소 공급

  39. 특발성 호흡장애증후군(RDS) • 계면활성제 (surfactant)부족으로 호흡곤란 초래 • 증상 • 빈호흡(80-120회/분): 호흡성산증 • 청색증, 늑골함몰, 양쪽 폐의 흡기성 나음, 비익확장, 뇌손상 위험,결국 폐포내에유리질막 형성 • 치료 • 비위관 삽입, sodium bicarbonate 투여, 중성온도환경제공, 보조환기 요법 실시, 계면활성제 투여

  40. 태변흡인 증후군(MAS) • 태아질식이나 자궁내 스트레스로 인해 태아의 항문 괄약근 이완되면서 자궁 내 태변 보게 되고 태변이 함유된 양수가 태아나 신생아의 기도로 흡인된 상태 • 증상 • 출생 시 피부나 제대에 태변착색, 빈호흡, 비익호흡, 저산소증, 청색증, 서맥, 근긴장도 저하 • 간호 • 첫 울음 전 기관 내 튜브 삽입하여 계속적 흡인, head down position, 위장흡인, 산혈증 치료 위해 중탄산나트륨 투여

  41. 미숙아망막증(Retinopathy of premature) • 동맥혈의높은 산소 분압으로 임신 33주 이전의 미숙아의 망막이 섬유조직과 혈관으로 대체되는 것(혈관조직 증식, 망막박리로 실명) • 고농도의 산소요법 후 주로 발생하므로 산소농도에 주의 • 기관지폐 이형성증(Broncho Pulmonary Dysplasia) • 태변흡인, 동맥관 개존증으로 인한 폐부종, 수액과다 투여, 지속적 폐고혈압 • 산소공급, 수분 주의깊게 주입, 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 사용으로 폐순응도 증가

  42. 영아기

  43. 영아의 발달 특성 • 신체적 발달 • 신장 • 생후 1년간 50% 증가 • 체중 • 3-4개월에 출생 시 체중 2배, 1년 체중 3배 • 머리 • 생후 1년까지 약 33% 증가 • 두위(33-35cm)>흉위(30.5-33cm) • 1세두위=흉위, 그 이후 두위<흉위 • 치아 • 유치 생성 : 유치수=연령-6(2년 6개월때total 20개) • 6-8개월 2개(중앙아랫니) • 물 묻힌 거즈로 닦고 어금니 올라오면 그때부터 칫솔 사용

  44. 운동의 발달 • 미세운동(fine motor) • 1개월 : 주먹 쥐고 있음 3개월 : 손을 쫙 폄 • 5개월 : 수의적으로 물체잡기 • 6개월 : 우유병잡기, 발을 잡아 입으로 가져가기, 과자 혼자 쥐고 먹기 • 7개월 :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물체 옮겨 쥐기, 한손 또는 양손으로 물체잡기 • 8-9개월 : 미숙한 집기 운동 • 10개월 : 엄지와 검지 사용하여 물건 잡기 • 11개월 : 물체를 그릇에 넣거나 빼기 • 12개월 : 탑 쌓기 시도하나 실패

  45. 전체 운동 (머리 가누기→뒤집기→앉기→걷기) • 머리가누기 • 1개월 : 앉는 자세로 끌어당길때 머리 완전히 쳐짐 • 2개월 :45˚정도 고개 들 수 있음 • 4개월 : 머리 가눌 수 있음, 엎드려 뉘었을 때 지면으로부터 거의 90˚가까이 앞가슴 들고 팔로 몸통 지지 • 6개월 : 완전히 머리가누기 가능 • 뒤집기 • 5개월 : 엎드린 자세에서 바로 누운자세로뒤집기 • 6개월 : 바로 누운 자세에서 엎드린 자세로뒤집기 • 앉기 • 7개월 : 손을 앞으로 짚어 몸 지지하며 혼자 앉기 • 8개월 : 짚지 않고 앉기 시작 • 10개월 : 엎드린 자세에서 앉은 자세로 변경가능 • 기기 • 9개월 : 배밀이 • 11개월 : 가구 잡거나 양손 붙잡고 걷기 • 12개월 : 한 손만 잡고 걷기

  46. 사회적 발달 • 1-2개월 : 다양한 자극에 반응, 빠는 욕구 • 2-4개월 : 엄마와 다른 사람 구별, 친숙한 얼굴 보고 웃으며 사람들과 사회적 작용 즐김 • 4-6개월 : 엄마 더 좋아하며, 빠는 욕구 감소, 기분 좋으면 소리내어 웃음 • 6-8개월 : 낯선 사람 만나거나 엄마와 떨어지면 불안, 까꿍놀이 • 8-10개월 : 애착과정 완성, 낯가림 절정 • 언어발달 • 2-3개월 : 옹알이 시작 • 4-6개월 :’마’, ‘무’’다’ 등 모음과 자음 합쳐진 음절 • 12개월 : ‘엄마’’아빠, 맘마 등 의미 있게 사용, 3가지 이상 단어를 정확하게 말할 수 있음

  47. 놀이 • 0-2개월 : 흑백모빌, 깨지지 않는 거울, 노래상자, 시청각적 다양한 자극 • 3-6개월 : 소리나는 모빌, 딸랑이, 손에 쥘수 있는 소리나는 장난감 • 7개월 : 반복적으로 단추 눌러 반응 보이는 장난감 • 수면 • 하루 총 수면량15시간(하루 한 두번의 낮잠) • 대부분 REM 수면 • 영아 돌연사 증후군 예방위해 옆으로 누이거나 똑바로 재움 • 적절한 수면위해3-4개월경부터는 야간수유 중단

  48. 예방접종표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