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85

조 소

조 소. * * * 제 작 * * * 선도중학교 교사 황성서. 중학교 학생의 조소 학습을 위한 프로그램. 1. 조소의 구분. 윤효중 < 물동이를 인 여인 > 목조. 가 . 조소의 뜻. 입체적인 순수 미술 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조각과 소조 로 나뉜다. - 조각 : 딱딱한 재료를 깎아서 표현. - 소조 : 찰흙 , 지점토 등을 붙여서 표현.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1. 조소의 구분. 나 . 표현 양식에 의한 구분.

Download Presentation

조 소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조 소 * * * 제 작 * * * 선도중학교 교사 황성서 중학교 학생의 조소 학습을 위한 프로그램

  2. 1. 조소의 구분 윤효중<물동이를 인 여인>목조 가. 조소의 뜻 • 입체적인 순수 미술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조각과 소조로 나뉜다 - 조각 : 딱딱한 재료를 깎아서 표현 - 소조 : 찰흙, 지점토 등을 붙여서 표현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3. 1. 조소의 구분 나. 표현 양식에 의한 구분 • 환조 -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는 완전 입체 작품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4.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는 완전 입체 작품 환 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5. 1. 조소의 구분 나. 표현 양식에 의한 구분 • 환조 -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는 완전 입체 작품 • 부조 - 평면 위에 반입체적으로 표현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6. 평면 위에 반입체적으로 표현 • - 고부조, 중부조, 저부조로 나눔 • - 회화와 환조의 중간적 표현 • - 원근 표현 가능 부 조 석굴암 십일면 관음보살상 고부조 중부조 저부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7. 1. 조소의 구분 나. 표현 양식에 의한 구분 • 환조 -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는 완전 입체 작품 • 부조 - 평면 위에 반입체적으로 표현 • 투조 - 여백을 뚫어서 표현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8. 여백을 뚫어서 표현 투 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9. 1. 조소의 구분 나. 표현 양식에 의한 구분 • 환조 -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는 완전 입체 작품 • 부조 - 평면 위에 반입체적으로 표현 • 투조 - 여백을 뚫어서 표현 • 심조- 재료의 표면보다 깊게 표현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10. 재료의 표면보다 깊게 표현 심 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11. 1. 조소의 구분 나. 표현 양식에 의한 구분 • 환조 -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는 완전 입체 작품 • 부조 - 평면 위에 반입체적으로 표현 • 투조 - 여백을 뚫어서 표현 • 심조- 재료의 표면보다 깊게 표현 • 모빌(Mobile) - 미풍에도 움직이는 조소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12. 미풍에도 움직이는 조소 • - 미국의콜더(A.Calder)가 처음 만듬 • - 우리 나라에는 예로부터 '풍경'이 있었다 모 빌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13. 1. 조소의 구분 다. 인체의 표현 부분에 의한 구분 • 안면상- 얼굴 • 두상 - 목 위 • 흉상- 가슴 위 • 반신상- 허리 위 • 전신상 - 몸 전체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14. 1. 조소의 구분 다. 인체의 표현 부분에 의한 구분 • 안면상- 얼굴 • 두상 - 목 위 • 흉상- 가슴 위 • 반신상- 허리 위 • 전신상 - 몸 전체 • 토르소 - 몸통 • 군상 - 무리(2명 이상)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15. 1. 조소의 구분 라. 인체의 자세에 의한 구분 밀로의 비너스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입상- 서 있는 모습 • 좌상 - 앉은 모습 • 와상- 누워 있는 모습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16. 1. 조소의 구분 마. 자기 표현 • 자화상- 자기를 그림으로 표현 권진규 < 자소상 > 김종영 < 자각상 > 고흐 < 자화상 > • 자각상 - 자기를 조각으로 표현 • 자소상- 자기를 소조로 표현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17. 1. 조소의 구분 바. 표현 재료에 의한 구분 • 조각 - 목조 : 나무를 깎아 만든 조각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18. 나무를 깎아 만든 조각 조 각 l 목 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19. 1. 조소의 구분 바. 표현 재료에 의한 구분 • 조각 - 목조 : 나무를 깎아 만든 조각 - 석조 : 돌을 깎아 만든 조각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20. 돌을 깎아 만든 조각 조 각 l 석 조 전뇌진<엄마와 남매>(대리석)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21. 1. 조소의 구분 바. 표현 재료에 의한 구분 • 조각 - 목조 :나무를 깎아 만든 조각 - 석조 : 돌을 깎아 만든 조각 - 아조 :뼈를 깎아 만든 조각 - 얼음조각 등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22. 1. 조소의 구분 바. 표현 재료에 의한 구분 • 소조 - 찰흙작품: 찰흙으로 만들어 오래 보존하기 어려움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23. 찰흙으로 만들어 오래 보존하기 어려움 소 조 l 찰 흙 작 품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24. 1. 조소의 구분 바. 표현 재료에 의한 구분 • 소조 - 찰흙작품: 찰흙으로 만들어 오래 보존하기 어려움 - 석고상: 물과 석고를 개어서 만든 소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25. 물과 석고를 개어서 만든 소조 소 조 l 석 고 상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26. 1. 조소의 구분 바. 표현 재료에 의한 구분 • 소조 - 찰흙작품: 찰흙으로 만들어 오래 보존하기 어려움 - 석고상: 물과 석고를 개어서 만든 소조 - 테라코타: 찰흙작품을 말려서 초벌구이한 소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27. 찰흙작품을 말려서 초벌구이한 소조 소 조 l 테 라 코 타 송영수 < 새 >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28. 1. 조소의 구분 바. 표현 재료에 의한 구분 • 소조 - 찰흙작품: 찰흙으로 만들어 오래 보존하기 어려움 - 석고상: 물과 석고를 개어서 만든 소조 - 테라코타: 찰흙작품을 말려서 초벌구이한 소조 - 브론즈: 청동으로 만든 소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29. 청동으로 만든 소조 소 조 l 브 론 즈 세자르<엄지손가락>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30. 1. 조소의 구분 바. 표현 재료에 의한 구분 • 소조 - 찰흙작품: 찰흙으로 만들어 오래 보존하기 어려움 - 석고상: 물과 석고를 개어서 만든 소조 - 테라코타: 찰흙작품을 말려서 초벌구이한 소조 - 브론즈: 청동으로 만든 소조 - 포리코타 : 합성수지로 만든 소조 - 시멘트상 등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31.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가. 소조 주걱의 종류 • 소조 주걱이란? - 찰흙 다룰 때의 용구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32. 소 조 주 걱 • 많이 쓰이는 소조주걱에 대해 알아봅시다 • 긁음(도련)주걱 - 긁어낼 때 • 자름(삼각)주걱 - 자를 때 • 다듬(송곳)주걱 - 다듬을 때 • 빗주걱 - 질감표현시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33.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나. 부조 석고형 만드는 과정 • 석고란? - 황산 칼슘으로 만든 백색 가루 - 물과 섞여 10분 정도면 굳기 시작함 - 따라서 조금씩 자주 개어서 쓰는 것이 좋다 - 굳을 때 약 30도 정도의 미열이 남 - 충격에 약함 - 석고형으로 만드는 이유 : 찰흙 작품은 오래 보존하기 어려우므로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34.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단면으로 보기 나. 부조 석고형 만드는 과정 1. 부조판 준비 2. 찰흙으로 만들기 3. 외형석고 바르기 4. 찰흙 긁어내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35.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단면으로 보기 나. 부조 석고형 만드는 과정 1. 부조판 준비 2. 찰흙으로 만들기 3. 외형석고 바르기 4. 찰흙 긁어내기 5. 이탈제 바르기 6. 내형석고 바르기 7. 외형 깨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36.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단면으로 보기 나. 부조 석고형 만드는 과정 1. 부조판 준비 2. 찰흙으로 만들기 3. 외형석고 바르기 4. 찰흙 긁어내기 5. 이탈제 바르기 6. 내형석고 바르기 7. 외형 깨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37.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사진으로 보기 나. 부조 석고형 만드는 과정 • 부조판 준비 • 찰흙으로 만들기 • 외형석고 바르기 • 찰흙 긁어내기 • 이탈제 바르기 • 내형석고 바르기 • 외형 깨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38.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나. 환조 석고형 만드는 과정 1. 심봉(뼈대)제작 2. 찰흙으로 만들기 단 면 으 로 보 기 3. 쪼갬볼 꽂기 4. 외형석고 바르기 5. 찰흙 긁어내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39.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나. 환조 석고형 만드는 과정 1. 심봉(뼈대)제작 2. 찰흙으로 만들기 단 면 으 로 보 기 3. 쪼갬볼 꽂기 4. 외형석고 바르기 5. 찰흙 긁어내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40.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나. 환조 석고형 만드는 과정 1. 심봉(뼈대)제작 2. 찰흙으로 만들기 단 면 으 로 보 기 3. 쪼갬볼 꽂기 4. 외형석고 바르기 5. 찰흙 긁어내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41.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나. 환조 석고형 만드는 과정 1. 심봉(뼈대)제작 2. 찰흙으로 만들기 단 면 으 로 보 기 3. 쪼갬볼 꽂기 4. 외형석고 바르기 5. 찰흙 긁어내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42.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나. 환조 석고형 만드는 과정 1. 심봉(뼈대)제작 2. 찰흙으로 만들기 단 면 으 로 보 기 3. 쪼갬볼 꽂기 4. 외형석고 바르기 5. 찰흙 긁어내기 6. 이탈제 바르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43.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나. 환조 석고형 만드는 과정 1. 심봉(뼈대)제작 2. 찰흙으로 만들기 단 면 으 로 보 기 3. 쪼갬볼 꽂기 4. 외형석고 바르기 5. 찰흙 긁어내기 6. 이탈제 바르기 7. 내형석고 바르기 8. 외형 깨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44.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나. 환조 석고형 만드는 과정 1. 심봉(뼈대)제작 2. 찰흙으로 만들기 단 면 으 로 보 기 3. 쪼갬볼 꽂기 4. 외형석고 바르기 5. 찰흙 긁어내기 6. 이탈제 바르기 7. 내형석고 바르기 8. 외형 깨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45.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나. 환조 석고형 만드는 과정 1. 심봉(뼈대)제작 2. 찰흙으로 만들기 사 진 으 로 보 기 3. 쪼갬볼 꽂기 4. 외형석고 바르기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46.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나. 환조 석고형 만드는 과정 1. 심봉(뼈대)제작 2. 찰흙으로 만들기 사 진 으 로 보 기 3. 쪼갬볼 꽂기 4. 외형석고 바르기 5. 찰흙 긁어내기 6. 이탈제 바르기 7. 내형석고 바르기 8. 외형 깨기 9. 완성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47.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다. 환조 소조 각 과정의 이해 • 심봉(뼈대) 만들 때 노끈 감는 이유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48. 심봉 만들 때 노끈을 감는 이유는 찰흙이 잘 붙게하기 위해서 이다 • --- 노끈을 감으면 찰흙과 닿는 면적이 넓어져 찰흙이 쉬 떨어지지 않는다 노 끈 감 는 이 유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49. 2. 소조의 과정과 용구 다. 환조 소조 각 과정의 이해 • 심봉(뼈대) 만들 때 노끈 감는 이유 • 심봉을 비스듬하게 매는 이유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50. 두상 심봉(뼈대)를 만들 때 비스듬하게 매는 이유는 찰흙 밖으로 뼈대가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이다 비 스 듬 히 매 는 이 유 조 소 처음 이전 꽁지 종료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