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0

Dental Bur

Dental Bur. 치과용 바. - 정의 : 바란 날이 있는 절삭용 두부 (cutting head) 를 가진 모든 회전 절삭기구를 일컷는 말 바는 주로 치아의 와동 형성 뿐 만 아니라 금속 수복물의 마무리나 골의 외과적 제거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기구이다 . 치과용 바의 발달사. 수작업  1891 년 최초로 기계로 만들어진 바  초기에는 강철 바  1974 년 카바이드 바

darva
Download Presentation

Dental Bur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Dental Bur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2. 치과용 바 -정의:바란 날이 있는 절삭용 두부(cutting head)를 가진 모든 회전 절삭기구를 일컷는 말 • 바는 주로 치아의 와동 형성 뿐 만 아니라 금속 수복물의 마무리나 골의 외과적 제거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기구이다.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3. 치과용 바의 발달사 • 수작업1891년 최초로 기계로 만들어진 바초기에는 강철 바1974년 카바이드 바 • 강철 바(steel bur):저속에서도 인간의 상아질을 잘 삭제하나 법랑질 삭제시나 고속에서는 쉽게 무디어짐. 일단 무디어지면 절삭효율이 감소되어 열 발생과 진동증가. • 최근에는 주로 마무리 과정에 사용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4. 치과용 바의 발달사 • 카바이드 바(carbide bur) • 장점:강철 바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며 특히 고속에서는 탁월 강철 바보다 매우 단단하여 삭제 동안 덜 무디어짐 • 단점:부서지기 쉬움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5. 일반적인 디자인 연결부(shank). 경부(neck), 두부(head)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6. 연결부 디자인 • 기능:핸드피스로부터 회전작용을 받아들여 기구의 배열(alignment)와 중심(concentricity)을 조절하기 위한 bearing surface을 제공 • ADA규격 No.23은 여덟 가지의 연결부를 규정. 이중 3가지 유형을 흔히 사용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7. 1.직선형 핸드피스 연결부(straight handpiece shank) • 단순한 원통형 • 연결부 직경과 거의 같은 금속의 물림쇠(chuck)에 의해 핸드피스 내에서 연골부가 걸리게 됨 • 외부 크기의 정확한 조절이 다른 기구에서처럼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는 않음 • 전치부 수복, 완성된 수복물의 마무리 및 연마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8. 2.빗장형 굴절 핸드피스 연결부(latch type angle handpiece shank • -한층 복잡한 기전 • -전체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직선형에 비해 구치부로 접근이 용이 • -저속, 중속에서 우식제거와 마무리 과정을 위해 사용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9. 3.마찰-파지 연결부 (Friction-grip shank) • 고속 핸드피스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 • 빗장형 기구보다 전체길이가 짧기 때문에 구치부에 사용 용이 • 연결부의 크기는 매우 정확해야 하는데, 직경의 미세한 차이조차도 삽입과 제거시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10. 경부 디자인 • 기능: 두부에 회전력 및 전도력을 전달하는 것 • 크기: 충분한 강도를 위해서는 단면이 커야 하고 술자의 시야와 조작을 위해서는 작아야 하므로 둘의 요구에 부응하는 선에서 결정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11. 두부 디자인 • 다른 주요 부분보다 디자인 구성이 다양하므로 회전기구을 분류하는데 두부모양의 특징을 기본으로 삼음 • 날이 있는기구(bladed instrument)와 연마기구(abrasive instrument)로 분류 • 부가적인 특징: 재료, 두부의 크기 및 형태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12. 바 분류체계 -FDA(Federation Dentaire Internationale)와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에 의해 개발된 새로운 분류 체계에서는 형태 즉 형태 이름을 위해 명칭을 분리해서 사용하며 두부의 직경을 mm의 십분율로 크기를 정해 놓았다.(즉 구형 010; 평두열구상 plain 010;역원추 008)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13. ISO No. :head의 최대 직경 • <예 ISO:012=최대 직경이 1.2mm> • 이것은 ISO No.의 끝의 3자리가 됨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14. 형태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15.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16. 1.구형 바(round bur) • 통상적으로 치아를 처음 뚫고 들어갈 때나 와동 형성의 확장, 유지형태 형성 및 우식제거 목적으로 사용 2.역원추형 바(inverted cone bur) • 연결부로 갈수록 좁아지면서 경사진 모양으로 원추형을 이룸 • 두부의 길이는 직경과 같음 • 특별히 와동 형성에 첨와(undercut)를 줄 때 적당 *형태 1.구형 바(round bur)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17. 3.배형 바(pear-shaped bur) • 모서리가 둥글며 끝이 평평하게 되어 있음 • 금박충전(gold foil)을 위한 1급 와동 형성시에 사용 • 긴 길이의 배형 바(길이가 폭의 3배 이상)는 아말감 충전을 위한 와동 형성에 사용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18. 4.평두열구상 바(straight fissure bur) • 긴 실린더 모양 • 아말감 충전을 위한 와동형성에 사용 5.첨형열구상 바(tapered fissure bur) • 첨와(undercut)가 없어야 하는 금 인레이와 금관의 와동형성에 사용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19. 6.다양한 변화 • 열구상 바와 역원추형 바는 반원형 내지 돔형의 끝을 가질 수 있음 • 경사각(taper angle)과 원추각(cone angle)의 다양성 • 두부 길이에 대한 직경의 비가 다양 • 날의 수, 날이 날 장축에 나선형이냐 평행이냐, 날연(blade edge)이 연속성(continuous)이냐 횡단홈(cross-cut)이냐 등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20. 크기(Numbering system) • 1891년 S.S.White Dental Manufacturing Company에 의해 최초로 시작 • No.57에 횡단홈(cross-cut)을 가지면 No557로 명명. 유사하게 단지 끝부분 절삭(end cutting)을 위해 고안된 두부 디자인에 900을 붙인다. No.57, No.557, No.957바는 날(blade)만 다를 뿐 모두 같은 두부 체적(head dimension)을 갖음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21. 두면 -경사면(rake face) -틈새면(clearance face) 세개의 각 -경사각(rake angle) -절단각(edge angle) -틈새각(clearance angle) 바 날(Bur Blade)의 디자인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22.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23. 1.경사각(rake angle) -바날의 가장 중요한 디자인의 특징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운 재료를 절삭하기 위해서는 음성 경사각이 되게 하면 절삭연의 파절이 최소화되고 기구의 수명이 증가. -경사면이 회전반경의 전방에 있을 때 경사각은 음의 값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24. 2.절단각(edge angle) -절단각의 증가는 절삭연을 강화시키고 파절 가능성을 감소 -카바이드 바의 날은 더 큰 경도를 가지고 더 큰 마모 저항성을 가지나 강철 날보다 더 깨지기 쉬우므로 파절을 최소화 하기위해 더 큰 절단각 필요.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25. 3.틈새각(clearance angle) • 바 끝이 과도하게 치질로 파들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stop을 제공하고, 절삭연 후방의 날의 반경을 줄임으로써 다음 날이 올 때 이미 삭제된 치질 조각들을 위한 틈새 공간을 제공 • 3개의 각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변화될 수 없다. 예를 들면 틈새각의 증가는 절단각을 감소 시킨다.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26. 다이아몬드 연마기구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27.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28. 구성 -세부분으로 구성:금속부, 분말 다이아몬드 연마제, 다이아몬드 분말을 금속부에 부착시켜주는 금속결합물질 -원리:다이아몬드를 금속부에 위치시킨 후 금속층을 전기 도금하여 다이아몬드를 부착 -기구를 위한 명명법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한 크기와 모양의 기구를 얻기 위해서는 직접 보고 선택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제조업자들로 하여금 카달로그 번호를 이용해 기구를 설명하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29. 다이아몬드 입자 인자 • 임상적 성과:입자의 크기, 공간, 균질성, 노출 및 다이아몬드 입자의 결합에 의존 • 압력을 증가시키면 더 깊게 표면을 뚫게 되고 더 깊은 홈을 남기고 더 많은 치질을 삭제 • 입자분류:1)거침(coarse:125~150um) 2)중등도(medium:88~125um) 3)미세(fine:60~74um) 4)극 미세(very fine:38~44um)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30. 다이아몬드 기구의 실패 • 적절히 사용되면 다이아몬드 기구는 거의 영구적이다. 다이아몬드 기구가 실패하는 유일한 원인은 특정 부분의 다이아몬드 입자가 떨어져 나가는 것이다. 이것은 부적절한 삭제효율을 증가시키고자 과도한 압력을 가할 때 일어난다.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31. 카바이드버 • Coarse-cut 아크릴과 Non-precious크롬, 코발트 및 모든 금속을 가장 빠르게 연마할 수 있다.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32. Fine-cut 아크릴 메탈의 Chair side용 조정에서 사용하여 부드러운 연마에 좋다.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33. Regular –cut 아크릴 메탈 조정용으로 표준형이다.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34. TF-11 TF-12 TF-21 *앞의 숫자는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숫자가 작을수록 길다. *뒤의 숫자는 두께를 나타내는 것으로 숫자가 작을수록 가늘다.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35.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36.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37.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38.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39.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40. 인천길병원 보철과 손미향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