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6

I-2. 최적대안 선정

DMAIC 기본 Tools. I-2. 최적대안 선정. 대안창출 및 선정 개요. 대안창출 및 선정 정의 대안창출 및 선정이란 Vital Few X ’ s 에 대한 개선에 있어, 현실적인 제약에 의해 실험보다는 아이디어 도출을 통한 대응방안을 도출하고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제어변수. 실험을 통한 최적조건 도출 예1) 실험을 통한 방법의 결정 → OFAT 방법 예2) 실험을 통한 방법, 조건의 결정 → DOE 방법. X ’ s 특성. 대안변수.

deron
Download Presentation

I-2. 최적대안 선정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DMAIC 기본 Tools I-2. 최적대안 선정

  2. 대안창출 및 선정 개요 • 대안창출 및 선정 정의 대안창출 및 선정이란 Vital Few X’s에 대한 개선에 있어, 현실적인 제약에 의해 실험보다는 아이디어 도출을 통한 대응방안을 도출하고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제어변수 실험을 통한 최적조건 도출 예1) 실험을 통한 방법의 결정 → OFAT 방법 예2) 실험을 통한 방법, 조건의 결정 → DOE 방법 X’s 특성 대안변수 시간 또는 경비상의 제약으로 대안을 통한 최적조건 도출 예1) 실험하지 않고 방법을 결정 예2) 실험하지 않고 작업 흐름의 최적화 예3) 프로세스 표준화, 의사소통 개선, 실용적인 해결책

  3. 대안창출 및 선정 절차 • 대안창출 및 선정 프로세스 맵 현상파악 원인분석 대안창출 대안평가 최적안 선정 대안 1 기준 대안 1 대안 2 대안 3 중요도 기준 1 1 Y1 X1 대안 2 대안 2 기준 2 3 기준 3 3 대안 3 기준 4 9 계 단계 1 대안창출 단계 4 대안평가 단계 5 전략적 의사결정 • 창의적 사고 • 벤치마킹 • 친화도법 • M/M Matrix • Pugh Matrix • Pay-Off • Force-Field 단계 2 위험평가 • 위험관리 • FMEA • Proposed Solution • 실행방안 • Champion Roles 단계 3 대응대안 • UpgradeIdea

  4. 대안평가 • Matrix 평가 절차 기준 기반의 의사결정 Matrix 평가기준 개발 가중치 부여 대안별 점수부여 가중점수 산출 결과 토의 • CTQs • Cost • Risk Factor • 최고/최저 중요도 (10~1점) • 전체기준 충족(10점) • 기준 불충족 (1점) • 상대적 점수 • Σ(가중치 × 대안별 점수) • 일관성 여부 • Hybrid Model (새로운 대안) • Matrix 평가 종류 • Pugh Matrix • Must-Want Matrix • Pay-Off Matrix

  5. 대안평가 이 칼럼에는 기준의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기입한다. • Pugh-Matrix 여기에 평가기준을 입력한다. CTQs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 사업 기준/위험요소도 포함될 수 있음. 예) 시장 도달 시간, 복잡도, 특허 등 각각의 대안을 기준에 대한 성취도에 따라 평가한다. 좋음 (+), 나쁨 ( - ), 또는 동일 ( S ) 대안 간에 양과 음 그리고, 같은 것의 개수를 비교하라. 초기 대안들의 장점만을 가지는 새로운 대안(Hybrid Model)을 마련할 수 있는가?

  6. 대안평가 • Pugh-Matrix X3. Call List 분배율 개선 1안 –지역별 Call List 분배율 자체 조정토록 P/G 수정 2안 –사후확인 Type별 Call list 생성기준 수정

  7. 대안평가 • Must-Want Matrix • 적용 절차 • 적용 가능한 대안들에 대해 Must 기준을 적용하여 걸러낸 이후에 Want 기준을 적용하는 것을 추천함. • Must 기준 •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최소 필수 조건 • 의무적, 측정 가능, 그리고 현실적 • 예) • 법규, 회사 정책, 고객 “must be”요구 조건, • 비즈니스 “must be”요구 조건, • 예산 제약 (즉, 우리는 돈이나 자본이 없다) • Must 기준 설정방법 • 필요한 평가 기준들을 개발한 후 고객 및 챔피언과 함께 기준을 구체화한 후 명확화 한다. • 통과된 대안들만 앞으로의 고려대상이 된다.

  8. 대안평가 • Must-Want Matrix 가능한 대안 • Want Matrix “Want Matrix”적용절차 0. Must 기준을 통해 대안을 2~3개로 압축한다. 1. 평가기준을 나열한다. 2. 가중치를 결정한다. 3. 대안별 점수를 산출한다. 4. 마이너스 요인을 평가한다. 5. 최종 안을 선정한다. 가중치 대안 A 대안 B 가중치 점수 점수 총 점수

  9. 평가 기준 주택 1 주택 2 주택 3 주택 4 주택 5 X X X ○ X 담보 설정 유/무 전체경비 : 1억 ↓ ○ ○ ○ ○ X ○ X X X X 그린벨트 설정 대안평가 • Must-Want Matrix 사례 (주택구매) • Must Matrix • Want Matrix 판정기준 가중치 주택 2 주택 3 • 조용한 분위기 8 5 40 4 32 • 근처에 좋은 학교 10 7 70 8 80 • 직장과의 거리 4 2 8 7 28 • 주차 편리성 5 10 50 8 40 • 수퍼/마트이용 편리성 6 4 24 7 42 총 점수 192 222

  10. 대안평가 • Must-Want Matrix 사례 X2. 단순 사후확인율 확대 1안 –(부족인력) 신규채용 투입 2안 –(유휴인력) 단순H_C 확대 실시3안 – (유휴인력) 필요인원 T/O만 운영

  11. 대안평가 • Pay-Off Matrix • 적용 방법 • Pay-Off Matrix는 고려해야 할 해결책이 요구하는 노력의 양과 예상되는 효과를 비교해서 제안된 대안을 평가한 후 선정한다. • 또한 이러한 조건에서 각각의 해결책을 비교하는데 도움을 준다. 선정 (강력 추천) 재범위/재고려 (추진) 높다 효과 제거 (제거 검토) 제거 (당연 제거) 낮다 낮다 높다 요구되는 노력

  12. 추 구 [ 적극 추진 ] ■ A/S접수 업무 Process 재정립 ■ 네트웍 교육 SYSTEM 구축 ■ 주요 교환/환불자재 Worst 관리 ■ 제품 교환/환불 원격 승인 System 구축 ■ 소비자 보호 관련법규 교육 재범위 / 재고려[ 추 진 ] ■ CS/E 평균 교육 시간 강화 [ 집합교육 ] ■ 제품별 신제품 출장 교육 실시 ■ 지사별, 센터별 실적관리 ( SSQA 평가 ) ■ 클레임 유형별 분석 ■ 클레임 재발방지 활동 효 과 높 다 . 제 거 [제거 검토] ■ 수급불가자재 재수급 Process 재 정립 ■ 제품가격별 A/S차별화 ■ 고객 응대 우수 사례 연구 제 거[ 당연 제거 ] ■ PDA 활용한 수시 교육 ■ 제품별 비고장성 개선 ■ 수리 기술력 강화 ■ 우수 센터 벤치마킹 ■ 인터넷상의 사이버 교육 실시 낮 다 낮 다 높 다 노 력 도 대안평가 • Pay-Off Matrix 사례 • 개선 추진항목 선정

  13. 대안평가 • Pay-Off Matrix 사례 강력추진 추진 제거 당연제거

  14. 대안평가 • Force Field 평가 • 프로젝트 리더는 각각의 대안에 대해 챔피언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최선의 대안 또는 차선의 대안에 대해 현실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이것이 Force Field 평가이다. 저항력 (Restraining Force) 추진력 (Driving Force)

  15. 대안창출 및 선정 요약 • 대안 창출 및 선정 • 흔히, 개선 리더는 프로젝트의 개선 항목 Y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원인인 Vital X’s를 도출한 후 대책을 세운다. • 다양한 대책의 수립을 위해 팀원과 함께, 각종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기법을 활용한다. • 다양한 개선대책은 현실성이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위험을 평가하고, 한단계 더 향상된 대책으로 변경된다. • Vital Few X에 대한 향상된 대책들은 적절한 평가방법에 의하여 최선의 대안과 차선의 대안으로 형성된다. • 또한 프로젝트 리더는 챔피언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최선의 대안 또는 차선의 대안에 대해 현실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 위에서 제시된 최선의 대안 또는 차선의 대안에 대해 챔피언은 전략적 의사결정을 실시한다.

  16. 대안창출 및 선정 실습 • 다음의 문제에 대해 대안창출을 실습해 보자.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