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1

I. 건강과 건강증진의 이해

* 건강을 지나치게 생의학적 모형으로 설명하는 지존의 개념을 지양 * 인간의 건강을 생물학적 환경 , 생활양식 , 건강관리체계 및 사회물리적 환경 등의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여 설명할 필요성이 확산됨 * 1974 년 캐나다 정부의 Lalonde Report 발표 이후 세계적으로 건강정책의 초점이 됨 * 1986 년 오타와에서 열린 WHO 국제회의에서 오타와 헌장이 채택됨 * 한국은 1995 년 건강증진법 , 지역사회보건법을 제정함

dinesh
Download Presentation

I. 건강과 건강증진의 이해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 건강을 지나치게 생의학적 모형으로 설명하는 지존의 개념을 지양 * 인간의 건강을 생물학적 환경, 생활양식, 건강관리체계 및 사회물리적 환경 등의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여 설명할 필요성이 확산됨 * 1974년 캐나다 정부의 Lalonde Report 발표 이후 세계적으로 건강정책의 초점이 됨 * 1986년 오타와에서 열린 WHO국제회의에서 오타와 헌장이 채택됨 * 한국은 1995년 건강증진법, 지역사회보건법을 제정함 * 1997년부터 건강증진기금을 조성하여 지역사회 보건소를 통해 다양한 건강증진사업을 수행함 I. 건강과 건강증진의 이해

  2. 건강(Health) 1) 건강의 정의 * 건강 : “굳세고 병이 없으며 편안하고 즐거운 상태”를 의미함 * Health : 고대어 hal(신체조건이 완전하고 양호함)에서 유래 * 1950년 세계보건기구(WHO)의 정의 “건강은 허약하지 않은 상태나 병에 걸리지 않은 상태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상태(well-being)" * Dunn(1959) : 최적의 건강(optimal health), 건강-불건강의 연속선 개념을 제시함 : 건강 혹은 불건강의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남 최고의 건강상태에서 죽음직전의 상태까지 지속적으로 변화함 매일의 생활에서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기능하는 것을 건강한상태 환경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거나 기능이 통합되지 못하면 불건강한 상태 * Selye(1956) : 건강적응모형 환경이라는 자극에 대해서 인간이 보이는 반응과 적응을건강 혹은 불건강으로 봄 건강은 인간유기체의 생의 주기(life cycle)전반에 걸친 동적인 상태 일상생활의 잠재적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기 위해 개인의 자원을최적의 방법으로 사용 내외적 환경의 변화에 끊임없이 적응하는 것 2)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개인, 연령, 사회, 경제, 문화, 경험, 건강에 대한 개인의 인식, 건강관리

  3. 건강증진(Health Promotion) 1) 기본개념 * 단순히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건강을 증진하는 차원에 중심 축을 둠 * 개인이나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건강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 내도록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함. * 질병예방이나 건강보호를 포함하여 현재의 건강상태에 상관없이 좀 더 긍정적인 상태로 낭아가게 하는 활동을 총칭함. * 건강증진 활동에는 금연, 절주. 식생활 개선, 운동, 주거환경 개선, 총체적인 삶의 질 향상, 스트레스관리, 일상생활관리 등을 포함함. 2) 건강증진 사업의 내용 (건강증진법 제19조) * 보건교육 및 건강상담 * 운동지도 * 영양관리 * 모자보건 * 구강건강관리 * 성인병 예방관리 * 질병의 조기발견을 위한 건강검진 및 처방 * 금연 및 절주 * 지역사회의 보건문제에 관한 조사와 연구 * 건강교실 운영

  4. Individual Experiences Behavior-specific Cognition and Affect Behavioral Outcome 3) Pender의 건강증진 이론 Perceived benefits of action Perceived barriers of action Perceived self-efficacy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 Prior related behavior Activity-related affect Interpersonal influences

  5. II. 의료환경의 변화 * 오늘날 우리사회는 산업화, 도시화 그리고 정보·기술화의 시대 * 사회는 나날이 복잡해지고 다원화하며 빠른 속도로 변화 * 산업화로 인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전으로 인간의 수명을 연장 * 질병의 양상이 전염성 질환에서 비전염성 질환으로 변화 * 보건의료분야도 첨단과학기술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의약품과 진단 및 치료기기가 개발 * 정보산업의 발달로 컴퓨터를 이용한 각종 직업들이 이루어지고 있음 * 인권운동의 확산과 더불어 국민의 권리의식 신장 * 의료보험의 실시로 더욱 건강할 권리에 대한 인식과 소비자 의식의 고양 * 여성운동의 파급 등은 기존의 권위적이고 절대적인 위치에 안주하던 의료인에게 새로운 도덕과 질서 요구

  6. 1. 첨단과학 기술사회 ▶ 농경사회 →산업사회→정보화 사회 ▶ 엘빈 토풀러의 예언 : 제3의 물결 -첨단 정보화 사회, 초산업사회(super-industrialsociety). 전자정보사회는 미래사회의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 ▶ 초기산업사회 : 전기기계 원리에 토대를 두고 대량의 에너지 투입, 엄청난 쓰레기와 오염, 오랜 생산시간, 미숙한 노동, 반복작업, 표준화 제품, 고도의 중앙집권적 통제 ▶ 후기산업사회 : 양자 전자공학, 정보이론, 분자생물학, 해양학, 핵물리학, 생태학, 우주과학의 가속적인 비약적 발전. 전자공학 및 컴퓨터 산업, 우주산업, 해저산업, 유전자 산업의 4개의 산업 군이 형성되어 첨단기술사회를 이끌어 갈 것으로 예견 ▶ 원격진료, e-Health, 원격 상담과 교육, 의사소통, 자료전송 ▶ 대가족제도의 붕괴와 여성의 사회진출, 저 출산, 평균수명연장과 노인인구의 증가 : 노인과 환자를 돌보는 일이 핵가족 제도의 문제로 대두되어 노약자 및 환자 가정을 위한 의 료 서비스의 다양화와 공급방식의 개발이 요구됨 ▶ 기술발달의 긍정적 효과 : 위생, 주거환경, 의복, 식량생산, 질병의 예방과 치료, 이동,의사소통, 레저 등의 측면에서 생활조건을 향상 ▶ 기술발달의 부정적 효과 : 공기오염, 오존층의 감소, 증가하는 온실 효과, 산성비, 자연자원의 고갈, 속도의 증가로 인한 건강과 안전의 위협, 유해노폐물, 화학물질 공해, 첨단무기의 파괴

  7. 2. 건강수준 및 질병형태의 변화 ▶ 항생제의 개발 : 전염성 질환의 감소, 새로운 신생질환(내성강화로 인한) ▶ 성생활의 변화와 새로운 전염성 질환의 등장 : 후천성 면역 결핍증 등 ▶ 지구 오염으로 인한 암, 악성 신생물, 아토피성 질환, 알레르기 질환, 천식 ▶ 의료기술의 발달로 노인인구 및 노인성 질환 증가 : 퇴행성 질환, 알츠하이머, 골다공증 ▶ 의식주 변화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 당뇨, 알레르기 질환 증가 ▶ 사회적 혼란 : 알코올 중독, 약물중독, 자살증가, 타살증가 ▶ 사망원인의 변화 : 1950-1970 - 감염증, 소화기계 질환, 호흡기계 질환, 각기병 1980 이후- 뇌혈관계 질환, 악성질환, 순환기계 질환, 만성 퇴행성질환 및 사고

  8. 3. 질병관련 요인의 변화 ▶ 과거 전염병과 달리 인간의 생물학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비해 생활습관이 사망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 ▶ 질병의 위험요인이 대부분 인간의 행위와 습관에 관련된 것으로 우리나라 질병관리의 방향을 제시함 주요사망원인 및 그와 관련된 위험요인

  9. 4. 노인인구의 증가 ▶ 과학문명과 의과학의 발달 : 국만 소득 향상, 생활수준개선, 보건위생 및 의료기술의 발달 →사망률의 저하 → 인간의 평균수명 연장 → 노인인구 증가 ▶ 인간의 평균수명 : 63.3세(1970년) → 71.3세(1990년) →74.3세(2000년) ▶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노인인구 : 전체인구의 5.0%(1990년) → 6.8%(2000년) ▶ 우리나라 노령화 지수 : 19.4(1990년) →32.1%(2000년) ▶ 선진국 노령화 지수 : 56.5 ▶ 노인인구의 증가와 고령화 현상 : 만성 퇴행성 질환의 특성이 강함 ▶ 간호 대상자의 요구변화에 대한 공급자로서 의료인의 대처능력이 요구됨

  10. 5. 의료기술의 발전과 윤리문제 ▶ 분자생물학과 유전공학의 발달 : 인간복제 가능성 대두 ▶ 생의학의 발달로 인한 인공수정, 장기이식, 태아감별과 인공유산 ▶ 의료과학이 모든 질병을 치유할 수 있다는 과신 ▶ 기술중심, 기계중심의 관행으로 기계화, 탈인간화 초래 ▶ 죽어가는 사람에 대한 관심과 배려 결여 ▶ 의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윤리적 딜레마 심화 ▶ 생의학의 발달은 임상적 결정에 있어서 2가지 문제를 야기시킴 1) 의료시술과 관련하여 가장 좋은 도덕적 선택이 무엇인가 2) 비용-편익을 고려한 치료선택이 무엇인가 ▶ 과학기술의 바탕 위에서 의료인과 의료기관들은 효율성과 비용효과를 우선 ▶ 간호전문직은 전통적으로 전인적 지향성을 가지고 가장 좋은 도덕적 선택을 우선시 함.

  11. 6. 인권운동 및 소비자 보호 운동의 영향 ▶ 국민의 생활수준 및 교육수준의 향상, 사회의 민주화 현상으로 국민의 권리의식 고양 ▶ 대중소비사회의 출현과 의료분야에서의 소비자 보호운동 전개 ▶ 의료인의 권위주의 → 환자주권주의 ▶ 의료를 “시혜”에서 “소비자의 권리”로 인식 ▶ 환자와 의료인의 관계 : 상업적 거래관계로 전환(의료인이 의료서비스라는 상품을 생산하고 제공하는 대가로 의료대상자로부터 진료비를 지불 받는 거래관계) ▶ 소비자 주체주의(Consumerism) : 재화나 서비스를 소비하는 주체인 소비자들이 상거래과정에서 그들의 효용이나 만족을 정당하게 충족시킬 권리가 있다는 것으로 오늘날 서구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의료의 상품화와 함께 의료부문에서도 소비자주의가 대두됨 ▶ 환자의 권리장전 선포 : 소비자 보호운동의 일환으로 환자의 권리옹호체계가 마련됨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