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4

비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대구파티마병원 혈액 종양내과 이 정 림. Our understanding of any natural phenomenon will. never be complete , but it will grow and develop as we improve the tools that extend the reach of our four limbs and five senses.

dragon
Download Presentation

비호지킨 림프종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비호지킨 림프종 • 대구파티마병원 혈액 종양내과 • 이 정 림

  2. Our understanding of any natural phenomenon will • never be complete , but it will grow and develop • as we improve the tools that extend • the reach of our four limbs and five senses. • / John Rovert Rathgam ( 1994 )

  3. 순서 • 비호지킨 림프종의 정의 • 2. 비호지킨 림프종의 발생률 • 3. 비호지킨 림프종의 분류 • 4. 비호지킨 림프종의 원인 • 5. 비호지킨 림프종의 진단 • 6. 비호지킨 림프종의 병기 • 7. 비호지킨 림프종의 치료 • 비호지킨 림프종의 예후 • 비호지킨 림프종의 추적

  4. 비호지킨 림프종의 정의 • 인체의 면역 기관을 구성하는 림프계 세포에서 유래한 악성 혈액 • 질환으로 악성 림프 조직이 있는 어느 부위 조직에서도 생길 수 있어 • 다양한 병소에서 관찰된다. • 1. 비호지킨 림프종 : 림프절이나 실질 장기를 침범하고, 질병의 파급이 • 일정한 연결 계통이 없이 일어나며, 흔히 다발성 • 으로 일어난다. 점막 침범과 림프절 이외의 장기 • 조직의 침범이 흔하다. • 2. 호지킨 림프종

  5. 비호지킨 림프종 분류의 역사 Gall and Mallory lymphoma classification. 1950년대 Rappaport et al. 1970년대 면역 체계 (T or B 림프구) 1980 년대 Kiel classifiation The Working Formulation 1994년 The International Lymphomas Study Group Revised European -American Lymphom (REAL) classification 2000년대 A new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classification

  6. 비호지킨 림프종의 발생률

  7. 비호지킨 림프종의 조직형 분류 • GradeB-cell T-cell • Indolent Small lymphocytic/CLL Mycoses fungoides • Lymphoplasmacytic • Follicular, any type • Marginal zone • MALT • Nodal • Splenic • Aggressive Mantle cell Peripheral T cell, unspecified • Diffuse large cell+ any type Peripheral T cell, specified • Burkitt-like(small noncleaved cell) Angiommunoblastic (AITL) • Angiocentric including nasal T/NK cell • Subcutaneous panniculitic • Intestinal enteropathy associated • Anaplastic large cell(CD30 positive) • Special Lymphoblastic Lymphoblastic • Burkitt • Primary effusion (HHV-8# associated) HTLV-1 associated

  8. 비호지킨 림프종의 조직형 분류(I)-B세포 종양- • 1. B-림프모세포 전구세포종양 • 2. B-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전림프구성 백혈병/ • 소림프구성 림프종 • 3. 림프형질세포형 림프종 • 4. 외투세포 림프종 • 5. 여포성 림프종 • 6. 림프절외 연변층 B-세포 림프종 • 7. 림프절 변연 B-세포 림프종 • 8. 비장 변연 B-세포 림프종 • 9. 모발상세포 백혈병 • 10. 형질 세포종

  9. 비호지킨 림프종의 조직형 분류(II)-B세포 종양- • 11. B-미만성 대세포 림프종 • 12. B-미만성 대세포 림프종 아형 • 13. 버킷 림프종 • 14. 버킷 유사 고등급 B-세포 림프종

  10. 비호지킨 림프종의 조직형 분류(III)-T세포 종양- • 1. T-림프모세포 전구세포 림프종 • 2. T-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전림프구성 백혈병 • 3. 과립성 대림프구성 백혈병 • 4. 과립성 대림프구성 백혈병, 자연살해세포형 • 5. 균상식육종/세자리 증후군 • 6. 말초 T-세포림프종, 미분류형 • 7. 피하지방층염 T-세포 림프종 • 8. 간/비 T-세포 림프종 • 9. 혈관면역모세포형 T-세포 림프종 • 10.혈관중심성 림프종

  11. 비호지킨 림프종의 조직형 분류(IV)-T세포 종양- • 11. 장관 T-세포 림프종 • 12. 성인 T-세포 림프종/백혈병 • 13. 역형성대세포 림프종 • 14. 호지킨유사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

  12. 비호지킨 림프종의 원인(I) • 감염성 원인 • 1) EB 바이러스 • 2) HIV 바이러스 • 3) C형 간염 바이러스 • 4) 헬리코박터 바이러스 • 선천성 면역 결핍 질환 • 후천성 면역 결핍 질환 • 자가 면역 질환 : 류마치스성 관절염 • 항암 화학 요법 및 방사선 치료, 약물 치료

  13. 비호지킨 림프종의 원인(II)-염색체 이상-

  14. 비호지킨 림프종의 진단 • 진단 : 충분한 조직 생검이 필수적 • 세포 흡입술은 초진시 불충분 • WHO/REAL 분류 : 현미경 하 특수 염색 • 면역학 • 세포 유전학 • 유전자 검사

  15. 비호지킨 림프종의 병기 결정을 위한 검사(I) • 1. 병리조직학적 관찰 • 2. 예방접종 • 3. 완전한 병력과 이학적 검사 • 4. 혈액검사: CBC, creatinine, alkaline phosphatase, LDH, • AST(SGOT), bilirubin, calcium, 단백전기영동 • 5. B형 , C 형 간염 • 6. 골수 천자 및 조직 검사 • 7. 흉부 방사선 검사 • 8 . 복부 CT

  16. 비호지킨 림프종의 병기 결정을 위한 검사(II) • 검사임상 상태 • 뇌척수액 검사 원발성 뇌 림프종(신경학적 이상시) • 이비인후과적 검사 위설골하 경부 림프절 침범이나 • 위장관 침범 • 상부위장관 조영술 Waldeyer’s ring 침범 • 안과적 검사 원발성 뇌 림프종 • HIV 검사

  17. 호지킨 림프종의 안아버 병기 분류 • 병기정의 • I단일 림프절(I)이나 단일 림프절 외 장기질환(IE) • II횡경막 한쪽에 두개 이상의 림프절(II)이나 하나 이상의 림프절 • 과 림프절 외 장기질환(IIE) • III 횡경막 양쪽에 침범한 림프절(III), 비장침범(IIIS), 국소 림프절 • 외 침범(IIIE) 또는 IIISE • III 1 비장, 종격동, 문맥 림프절 침범 +/- • III 2 부대동맥, 장골, 장간 림프절 침범 +/- • IV 림프절 침범 여부에 관계없이 미만성 전신적 침범

  18. 비호지킨 림프종의 병기(I) • 제한기(Limited Stage) • 1기 • 2기이면서 3개 이하의 림프절 • B증상 없음 • 종양 크기< 10cm • 진행기(Advanced Stage) • 2기이면서 림프절이 3개 이상 • 3기 ,4기 • B 증상 있음 • 종양 크기≥10cm

  19. 비호지킨 림프종의 병기(II) • 증상 • A : B증상이 없는 군 • B : 아래 중 적어도 1개 이상 만족 • 1) 6개월 내 10%이상의 체중 감소 • 2) 38도 이상의 불명열 • 3) 야간 발한 • 종양 크기(Bulk) • Bulky : 종양 크기의 직경 > 10cm • Non Bulky : 종양 크기의 직경 < 10cm

  20. 비호지킨 림프종의 치료일반 원칙 ( I ) • 유형병기 연령치료 • Indolent 제한기 모든 연령 Involved field radiation therapy(IFRT) • 진행기 모든 연령 무증상 : 추적 관찰 • 증상 : Fludarabine or CVP • Localized irradiation for local symptoms • Aggressive 제한기 모든 연령 CHOP×3 + involved field irradiation • 진행기 <70 CHOP×6 - 8 • >70 CHOP×6 - 8 • Special 모든 병기 모든 연령 48시간 이내에 치료 개시 • 고용량 항암, 방사선 요법 및 조혈모이식

  21. 비호지킨 림프종의 치료일반 원칙 ( II ) • 1.중추신경계 예방 • 1) Diffuse Large B-cell나 peripheral T-cell lymphoma중 초진시 골수를 • 침범한 경우 • 2) 고환 림프종 • 2. 조직형이 diffuse large B-cell일 경우 Rituximab을 추가

  22. 비호지킨 림프종의 치료-항암화학요법- • CHOP • C : Cyclophosphamide • 심독성, 간독성, 출혈성 방광염, 골수 억제 • H : Doxorubicine • 심독성, 간독성, 혈관 괴사, 골수 억제 • O : Vincristine • 말초 신경염, 혈관 괴사, 골수 억제 • P : Prednisolone • 위장장애, 기회성 감염

  23. 위장관 림프종치료(I) • 일반 원칙 • 위, 소장, 대장, 식도 순서로 발생 빈도순 • 출혈이나 천공의 합병증이 없다면 수술하지 않는 것이 원칙 • 예외 원칙 • 1. 위장관 림프종의 20%에서 이비인후과 영역을 침범하기 때문에 이 부위 • 의 이학적 검사가 필요 • 2. 위림프종에서는 헬리코박터의 치료는 헬리코박터의 감염 유무와 무 • 관하게 항생제 3자요법은 단독이든 항암제나 방사선을 마친 후 필요

  24. 위장관 림프종표준치료(II) • Indolent grade lymphoma • MALT 병기치료 • 제한기방사선 • 진행기 항암제 • Aggressive grade lymphoma • 병기치료 • 제한기CHOP + IRRT • 진행기 항암제

  25. 비호지킨 림프종의 예후 국제 인덱스 (I)

  26. 비호지킨 림프종의 예후 국제 인덱스(II)

  27. 비호지킨 림프종의 치료고용량 항암 방사선 요법, 조혈모 이식(I) • 불량 예후 인자 3개 이상의 고위험군 • Aggressive grade 상병인 경우 a)Lymphobalstic Lymphoma b)Mantle cell Lymphoma c)Burkitt Lymphoma d)Bulky mass (종양의 크기가 10cm 이상) e)Peripheral T-cell Lymhoma f)Primary mediastinal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 재발 후 구제항암화학요법에 부분반응이 있는 표준 위험군의 경우 • 불응성 중 구제항암화학요법에 부분반응 이상을 보이는 경우

  28. 비호지킨 림프종의 치료고용량 항암 방사선 요법, 조혈모 이식(II) • 치료순서 • 유도요법 • :CHOP 6회 • 조혈모세포 가동화 • :Cytoxan + 백혈구 촉진제 • 고용량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요법과 자가조혈모 이식 • :BEAC

  29. 비호지킨 림프종의 치료고용량 항암 방사선 요법, 조혈모 이식(III)

  30. Rituximab(맙테라): 단클론항체(I) Murine-variable regions bind specifically to CD20 on B cells Human k constant regions Human IgG1 Fc domain works in synergy with human effector mechanisms Adapted from: Ryback et al. 1992

  31. Rituximab(맙테라)의 작용기전(II) Malignant B cell Malignant B cell CD20 CD20 Complement 보체Complement Killer leukocyte Killer leukocyte CD20 CD20 MabThera MabThera MabThera Adapted from: Male et al. Adv Immunol 1996

  32. Rituximab(맙테라): 항림프종의 기전(III) • 1.면역효과 • 항체의존성 세포독성 • 보체 유도성 • 2.직접효과 • 세포증식 억압 • 압토시스 유도 • 3.보조효과 • 면역효과에 의한 항암제 저항세포의 감수성

  33. 조혈모 세포이식와 단클론항체사용(IV) • 1. 자가조혈모이식전 생체정화 • (In-vivo purging of the graft) • 2. 자가조혈모이식 시 고용량 항암, 방사선요법 • (With high-dose chemoradiotherapy) • 3. 자가조혈모이식후 공고 및 유지요법 • (Consolidation/maintenance)

  34. 조혈모 세포이식와 단클론항체사용(V) Mobilisation(G-CSF x 5 days) Maintenance Maintenance Consolidative immunotherapy HDT In-vivo purge 2 months 6 months Collection Reinfusion In-vivo purge: rituximab 375mg/m2 single infusion Maintenance: rituximab 375mg/m2weekly for 4 weeks

  35. 비호지킨 림프종의추적 검사(I) • 위험도/문제점빈도/반응 • 재발20% to 80% • 충치 • 갑상선 기능 저하증 • 불임 치료와 연관된 속발성 암 • # 2년 동안은 매 3개월 • 그 다음 3년 동안은 매 6개월 • 그 다음은 매년 외래 방문

  36. 비호지킨 림프종의추적 검사(II) • 간격검사 • 매회CBC, alkaline phosphatase, LDH, • 흉부 방사선 검사 • 년간흉부 방사선 검사 • 갑상성 호르몬 검사 (갑상선 방사선 조사시) • 흉부 방사선 조사이후 10년 경과한 여성이나 40세 이후 • 의 여성은 유방 촬영 • 하복부 방사선 조사한 여성은 자궁경부암 도말 검사 • 독감 예방 접종 • 6년간 폐렴 예방 접종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