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0

소형 열병합 발전 기술 및 추진방향

소형 열병합 발전 기술 및 추진방향. 난방 방식의 종류 (1/2). 개별 난방 장점 : 사용이 편리 단점 : 열효율이 매우 낮고, 별도의 관리자가 없어 내구 수명이 짧음 * 단독 주택이나 소규모 연립에 적합 중앙 난방 장점 : 내구수명 15년 단점 : 열효율 낮음 * 기존의 벙커 C 유를 쓰는 보일러는 시설교체시 청정연료로 교체해야 함. 난방 방식의 종류 (2/2). 소형 열병합 발전

edan
Download Presentation

소형 열병합 발전 기술 및 추진방향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소형 열병합 발전 기술 및 추진방향

  2. 난방 방식의 종류(1/2) • 개별 난방 장점 : 사용이 편리 단점 : 열효율이 매우 낮고, 별도의 관리자가 없어 내구 수명이 짧음 * 단독 주택이나 소규모 연립에 적합 • 중앙 난방 장점 : 내구수명 15년 단점 : 열효율 낮음 * 기존의 벙커 C유를 쓰는 보일러는 시설교체시 청정연료로 교체해야 함

  3. 난방 방식의 종류(2/2) • 소형 열병합 발전 장점 :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하여 열효율 높음 단점 : 시스템이 복잡 * 산자부에 공급기본계획 수립중(금년중 공고 예정) • 지역 난방(집단에너지 공급시스템) 장점 : 열효율 매우 높음 단점 : 어느 정도 규모가 요구됨 * 대부분이 대형열병합 발전소이므로 열효율이 높으며, 일부는 소각로 등의 폐열을 이용하는 지역난방도 있음 * 산자부 공고(2002-240)에 의거하여 고시지역으로 지정된 곳에 적합

  4. 정부에서는 왜 열병합보급을 권장하나? 1. 쿄토의정서에 의한 CO2저감을 위한 대비  에너지 절약차원에서 효율적  도시가스 연료자체(CH4)가 CO2발생량이 적음 2. 국가 발전용량의 증대  국가의 발전용량 증대 전력 예비율 증가  대형 화력발전소의 건설비용으로 열병합 발전지원 가능

  5. 에너지 환경 분석

  6. 에너지 환경 분석 • 2005년 2월 16일 교토의정서 발효 • 2013년 한국 감축 의무 발생 • 1990년 CO2배출량(2억4000만톤)의 95% 수준으로 감축 • 이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면 132억달러의 탄소배출권을 거래 (2010년 기준, 톤당 36달러로 계산) • 온실가스의 대부분이 에너지(83.4%)와 공정(10.9%)분야에서 발생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 • 도시가스 연료성분(CH4)자체가 에너지 단위당 CO2배출량이 적음

  7. 에너지 환경 분석 • 전기에너지의 증가율이 총에너지 증가율 보다 큼  열병합 발전 보급의 활성화 전기 총 에너지

  8. 분산발전 시장 전망_세계 • 2001년 20,000MW에서 2011년 300,000MW로 증가 예상 (Ref. : Allied Business Intelligence)

  9. 분산발전 시장 전망_미국 • 누적 발전량 : 3.6 GW (2000년)  27 GW (2015년) • 신규 발전량 (5년 누적치) : 3.8 GW (2000년)  11.2 GW (2015년)

  10. 분산발전 시장 추세_미국 • 가스터빈이 대용량 발전시스템인 관계로 가스엔진수가 많음 (Ref. : GRI-99/0045)

  11. 분산발전 시장 전망_유럽 • 유럽의 용량별 열병합 발전 도입 전망 : 소형 급신장 예상

  12. 신규 분산발전 시장_독일 • 신규 분산 발전 시장은 감소 • 50kWe 미만은 증가하는추세임 • 50-2000 kWe는 현상 유지 (Ref. : 열병합 발전 국제심포지움, 2003, 에너지관리공단 주관)  소형화 추세

  13. 일본의 열병합 발전 전망_시장 • 1999년 9월 말 현재 : 4.780GW (가스터빈, 디젤엔진, 가스엔진) • 2010년 예상 : 10.02GW (가스터빈, 디젤엔진, 가스엔진) : 0.012GW (연료전지) • Micro Cogen.에 치중

  14. 열병합 발전이란? • 기존의 발전시스템은 발전만하고 냉각열과 배기열은 대부분 폐기되고 있음(발전 효율 : 30– 45%) • 열병합 발전은 하나의 에너지원으로 부터 열과 전력을 동시에 회수함(효율 80-90% 가능함) 즉 냉각열과 배기열로부터 열에너지를 추가로 흡수  따라서 고효율임(에너지 절약형 발전시스템임) • 영어로는 CHP 발전이라고 함 (Combined Heat and Power)

  15. 열병합발전시스템 기존시스템(수전+보일러) CO2배출량 131.9 (g-C) CO2배출량 111.7 (g-C) 에너지절감율 종합 : 32% CO2배출량 182.6 (g-C) CO2배출 감소율 : 25% LNG 0.237N㎥ 1 kWh 발전효율 38% 발전효율 33% 국내발전 LNG 0.273N㎥ 가스열병합 LNG 0.167N㎥ 1.43 Mcal 효율 90% 폐열이용 효율55% 보일러 열병합발전 에너지이용효율 증대 계산예 • 열과 전기를 동시생산·이용하므로 에너지이용효율 증대

  16. 분산형 전원으로서의 열병합 발전 • 전세계적으로 환경규제의 강화, 에너지 산업의 민영화(전력 거래제도 실시) • 대형 발전소 건설보다 분산형 열병합 발전을 선호 - 대형 발전소 건설의 어려움 대규모 자금 소요, 공사기간 장기화, 송전손실, 환경오염의 집중 및 환경훼손(송전탑 건설 등) • 분산형 열병합 발전  에너지효율 높음, 전력수요 변화에 빠른 대응

  17. 동력원별 비교

  18. Table 1) Distributed generation technology options 동력원별 적용 범위

  19. 국내가스엔진 개발 현황 1) 열병합 발전용 가스엔진 개발 (대우종합기계+KIMM) 8ℓ, 12ℓ, 15ℓ, 22ℓ 급 가스 엔진 개발 완료 단계 (출력 범위 : 100Kw - 400Kw 가능) 2) 바이오가스 엔진 개발 (KIMM+대우종합기계) 전소형, 혼소형 바이오가스 엔진 개발 중 (350Kw 전소형, 150Kw혼소형 등) 3) 열병합 마이크로 가스엔진 개발 (에기연+효성) 10Kw급 가스 엔진 개발 4) GHP용 가스엔진 개발 (KIMM+삼성전자) 15Kw급 가스엔진 개발

  20. 국산 가스엔진의 사용 필요성 • 현황 : 사용 실적이 없어 보급이 미미함 • 장점 : 1) 유지 보수비용 저렴 2) 문제 발생시 국내 기술로 긴급 대처 가능 • 국내 엔진 기술은 1) 대형선박엔진기술은 전세계적으로 우수하고 2) 자동차용 천연가스엔진 또한 전세계적인 수준이며 • 산업용 가스엔진은 자동차쪽 기술에 비해 기술적 난이도가 낮음 • 내구 실적은 없으나 기반기술이 충분하므로 문제점이 없음

  21. 앞으로의 열병합 발전 기술 동향

  22. 용도별 마이크로 분산 발전의 용량 • Single family houses <1 kWe to 4 kWe • Small apartment blocks 3 kWe to 10 kWe • Larger apartment blocksSmall industrial, SMEs >10 kWe

  23. 분산발전 시장 전망_유럽 • 15 kWe 미만의 마이크로 열병합 발전의 보급 전망(GW)

  24. 가정용 초소형 열병합 발전 전망 • 가정용 보일러를 대체할 초소형 열병합 발전시장은 1~2년 후부터 유럽을 중심으로 보급이 시작되어 2010까지 급격하게 성장할 전망 - 영국에서는 2010년까지 약 100만 가구, 2025년까지 전세대의 절반인 약 1천3백만 가구에 가정용 열병합이 보급될 것으로 전망 (2000.09.01 가디언지) - 2001년 영국의 BG그룹과 일본의 Rinnai가 가정용 열병합 시스템의 공동개발 및 제조에 합의하여 양산체제를 구축 중. 2004년부터 유럽을 중심으로 보급을 시작할 예정임 (2002.01.30 한국가스신문) - 유럽(EU)은 가정용 열병합 발전시스템의 안전 및 성능과 계통연계를 위한 표준화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공동으로 진행 - 미국에서도 최근 가정용 열병합발전 시스템 개발과 보급을 위해 엔진 벤처회사, 보일러회사, 에너지회사가 연계하여 Consortium을 결성

  25. CHAPNET Micro-CHP Workshop Milan, Italy 13th September, 2004

  26. 가스 엔진 • 독일의 SenerTec 사에서 독일 및 유럽에 약 8,000대의 5.5kW급 가스 엔진 열병합 발전시스템을 설치 운행 • 일본의 경우 10kW급은 상용화되어 훼밀리 레스토랑 등에 보급 최근 1kW급이 개발되어 100개소 단위 건물에 설치되어 실증운전 중 • 다가구 주택이나 소형 사업용 건물 등에 적합하며 기존의 발달된 가스엔진 기술을 활용 가능 • 그러나 소음, 배기, 유지보수 측면에서는 불리함

  27. 가스 엔진

  28. 9.8 kW Generated output Single-phase: 100/200 V Three-phase: 200 V Generation voltage Waste heat recovery 24.2kW 21.9kW Power generation 23.5% 25.5% Efficiency Heat recovery 58% 57% Outside dimensions 1,460(W)×730(D)×1,610(H) Noise level 60dB(A) 9.8 kW 가스엔진 발전시스템_일본

  29. 스털링 엔진 • 밀폐된 작동가스를 가열-냉각함으로서 발생되는 압력변화를 이용한 외부연속 연소방식의 외연기관 • 저소음, 저진동, 저배기, 연료의 다양성, 유지보수의 편리함 등 초소형 열병합 발전 구동기기로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 • 현재 영국의 에너지회사인 PowerGen 사에서 400대의 Whisper Tech 사의 1kW급 스털링 엔진 가정용 열병합 발전시스템을 시범운행, 최근 Whisper Tech 사와 향후 5년간 3억$(9만대분)의 공급계약을 체결 • 이외에 MicroGen(영국), Sigma(노르웨이), ENATEC(독일) 등 여러회사에서 상용화 진행 또는 준비 중에 있음

  30. 스털링 엔진

  31. 특허출원중인 Ericsson(Stirling)Engine

  32. 스털링 엔진 초소형 열병합 발전 시스템 WhisperGen PPS16 SOLO 161 SIGMA PCP Kockums 4-275

  33. 스털링 엔진 Field Test MicroGen (영국 BG Group + 일본 Rinnai) WhisperGen (뉴질랜드 WhisperTech) 독일 ENATEC

  34. 랭킨 사이클 엔진 • 작동유체를 액상에서 압축, 열원으로 기화하여 팽창시키는 증기사이클 팽창기 방식은 스크롤 방식, 왕복동 방식, 로터리 방식등이 적용되고 있음. • 랭킨 사이클 엔진은 낮은 열효율로 주목을 받지 못하였으나, 전기변환 효율측면보다 열수요 중심으로 운전될 경우 충분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음. • 기술적 난이도가 낮고 시스템 구성이 간단하여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예상 • 미국의 Climate Energy, 영국의 Baxi Group, 오스트레일리아의 Cogen Microsystems, 독일의 Enginion 등에서 상용화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35. Climate Energy사 (미국) 스크롤 팽창기 이용 랭킨사이클 엔진 Micro-CHP 시스템 (2003)

  36. 랭킨 사이클 초소형 열병합 발전시스템 Cogen Microsystems (오스트레일리아) Enginion (독일) Baxi Group (영국)

  37. 마이크로 가스터빈 Capstone Honeywell Elliott IR Turbec Bowman DTech Toyota

  38. 연료전지 •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가정용과 상업용 및 원격지용 무정전 전원백업전원을 포함한 0.5kW~10kW 범위에서 약 1,900기의 소형 정치형 연료전지 시스템이 설치되었다고 추산, 현재 약 80여개의 회사들이 주택용 연료전지 개발을 진행 중임 • PEMFC와 SOFC가 주목받고 있음. 천연가스 연료 개질기가 요구됨. • 지금까지 개발된 시스템은 상용화 단계가 아니며 아직까지는 실증단계에 머물러 있음. • 주택용이 가장 큰 잠재시장이긴 하지만, 아직은 현재 기술로 만들 수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가격이 높을 뿐 아니라 수명이 너무 짧음.

  39. 연료전지

  40. 맺는 말 • 총에너지 수요의 증가에 비해 전기에너지 수요의 증가가 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 지역이기주의와 환경 오염, 송전손실 등으로 인하여 대용량 발전소의 건설은 어려워 지고, 분산형 전원의 공급은 증가하고 있음 • 분산형 전원으로는 고효율인 열병합 발전이 대세를 이루고 있으며, 분산형 전원도 점차 소형화하고 있음 • 국내에서도 최근에 와서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스엔진을 동력원으로 하는 소형 열병합발전시스템이 급속히 보급되고 있음 • 유럽에서는 가정용 보일러를 대체할 초소형 가정용 열병합 발전시스템이 급격히 보급될 것으로 예상됨 • 정부에서도 교토의정서에 의한 CO2저감을 위해 열병합발전을 권장하고 있음 에너지 효율상 유리한 것을 선택하여 보급하여야 함 (집단에너지>소형열병합>중앙난방>개별난방)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