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9

진단검사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정보안내. 2014. 머리말 가톨릭 대학교 의정부 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서 9 년 만에 [ 검사정보안내 ] 소책자를 새로 발간하게 된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합니다 . 우리 검사실은 2008 년부터 CMC 최초로 전자동화 시스템 ( TLA: Total Laboratory Automation) 을 도입하여 날로 증가하는 검사들을 신속하게 처리하고 있습니다 . 또한 검사실 신임 인증제도에 참여하여 최우수검사실로 인증받고 있습니다 .

elam
Download Presentation

진단검사의학과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정보안내 2014

  2. 머리말 가톨릭 대학교 의정부 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서 9년 만에 [검사정보안내]소책자를 새로 발간하게 된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합니다. 우리 검사실은 2008년부터 CMC 최초로 전자동화 시스템( TLA: Total Laboratory Automation)을 도입하여 날로 증가하는 검사들을 신속하게 처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검사실 신임 인증제도에 참여하여 최우수검사실로 인증받고 있습니다. 의료인들은 거의 매일 임상병리 검사와 접촉하게 되며, 적합한 검사종목을 선택하여 검사를 의뢰하고 그 결과를 환자진료에 활용해야 하므로 검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요구됩니다. 이에 검사에 대한 최신정보 및 지식을 제공하여 검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자 [검사정보안내] 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안내서를 여러 부서에서 유용하게 사용하시기를 바랍니다. [검사정보안내] 를 발간하기까지 수고한 진단검사의학과 교직원들께 감사드리며 앞으로 소식지를 시작으로 진단검사의학과가 더욱 발전하기를 바랍니다. 2012. 6. 진단검사의학과장 이 혜 경 진단검사의학과에서는 인체에서 유래하는 각종 검체를 이용하여 정확한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질병의 조기진단 및 확진, 치료 효과 판정 등에 매우 결정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진단검사의학과는 혈액은행, 진단혈액, 자동화, 미생물, 면역분자, 외래검사(채혈 및 뇨분석), 기능검사 Unit로 나누어지며 대부분의 검사는 자동화된 최신 첨단장비로 이루어지며 결과보고는 nU자동 전산 시스템에 의해 24시간 신속하고 정확하게 임상에 보고됩니다. 또한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철저한 내, 외부 정도관리를 바탕으로 검사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진단검사의학과를 이용하시는데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2. 6. 진단검사의학팀장 차 영 종

  3. 목차 • 진단검사의학과의 구성 …………..………..……….……………………. 1 • 각 Unit별 운영시간 ………………..………….…………….………..……… 1 • 검사의뢰 Flow ……………………..............………………….……….………. 2 • 검체채취 방법 ………..………………………………………….………………. 3 • 검체용기 상세설명 ………………………..……..……….………………….. 4 • 연속채혈시Tube 사용순서 …….…..…….……………………. 7 • 검체라벨링 방법 …………..…………………...…………………………….. 8 • 자주하는 질문 Q&A ………………………………………………………… 9 • 검사정보 일람표 • 자동화검사Unit ………………………………………………….….…..… 11 • 혈액Unit …………………………………….……………....……….…....…. 16 • 면역(/분자생물)Unit …………………………...…………….……....… 18 • 외래검사Unit ……………………………………………………..….…..… 21 • 미생물Unit ………………………………………………….…………..…… 22 • 혈액은행Unit ……………………………………………….………..…..… 25 • 기능검사Unit …………………………………………….…………....…… 26 • 검사(시약)별 Interference 정보 및 주의점……………… 29 • 찾아보기 (Index) ………………………………………………..…………… 32 자동화 혈액 면역 외래검사 미생물 혈액은행 • 외부위탁검사(삼광) • 시행부서가 [위탁검사]로 분류된 검사에 대한 정보는 삼광의료재단에서 발행한 종합검사안내 책자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담당자 : 내선 3780, HP 010-6341-5789) 기능검사

  4. 진단검사의학과의 구성 • 각 Unit별 운영시간 1

  5. 검사의뢰 Flow 검사 의뢰 검체 채취 부적합검체 재채취 요청 바코드 부착 및 채취일시 등록 검체 전처리 검체 운반 및 검체 접수 분석 결과 확인 nU결과 전송 2

  6. 검체채취 방법 • 혈액 검체 • Tourniquet을 1분 이상 묶으면 울혈이 발생하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정맥천자 후 너무 빨리 Syringe를 잡아당기거나 Tube에 담을때 너무 빨리 • Syringe를 눌러 담아도 hemolysis 됩니다. • 뚜껑을 열고 혈액을 담는 경우, 용기 기벽의 항응고제가Syringe에 묻어서 다른 • 용기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주의. • Heparin오염 우려가 있는 Indwelling Catheter에서 채혈시 5mL를 뽑아낸 후 채 • 취. • 검체량이 적다고 해서, 서로 첨가제가 다른 Tube로부터 혈액을 옮겨 담아서는 • 안됩니다. • Blood Gas 검체 채취 시 주의사항 • Arterial blood를 원칙으로 하고 채취할 때는 출혈의 위험이 있으므로 채혈 후5분이상 압박지혈이 필요하다. • 대퇴동맥 채혈시주의를 요하는 환자 (심한비만, 고혈압, 노인, 여자, 대동맥판 폐쇄부전증, 같은 부위의 대퇴동 • 맥의 천자의 기왕력, 말초동맥질환환자, 혈액응고 장애가 있거나 항응고제를 사용하는 환자) • radial artery(요측동맥), femoral artery(대퇴동맥) 채혈시 신경손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 채혈하기 전에 Allen's test( 손을 피고 지고하여 하얗게 된 후 혈액순환이 5초 이내에오면양성, 이후에 돌아오 • 면 음성으로 측부 순환 부전)를 하는 것을 권장한다. • 검체는최소 (1).5cc 이상 채혈되어야 하며 채혈 즉시 고무마개로 밀봉하여 대기중의 산소 접촉을 피한다. • Needle을 꺾는 것은 찔릴 위험이 있으므로 지양한다. • 검체를운반할 때는 얼음에 보존하여 산소 소모를 막아야 한다. (최대 30분 이내 검사 시행) • 뇨검체 • Spot urine • 가능한 아침 첫 뇨의중간뇨를 받아야 합니다. • 변성을 막기 위해 채뇨 후 가급적 빨리 검사실로 보내주십시오. • 절대로 24hrs urine에서 덜어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 24hrs urine • 지정된 보존제를 미리 용기에 담습니다. • 지정된 시간에 소변을 보게 하여 버리고 그 이후부터 대변시의 뇨를 포함하여 • 다음날 지정된 시간의 마지막 뇨까지 모아야 합니다. • 이때 중간에 소실된 뇨의 양을 파악하여 전체 양과 함께 표기합니다. • 미생물 검체 • 혈액배양 • 30분~1시간 간격으로 각기 다른 부위에서 2회 연속 실시합니다. • 성인은 호기(Green)와 혐기(Orange)) bottle에 10ml 채혈한 것을 각각 5ml 씩 • 나눠 담고, 소아는 소아전용(Yellow) bottle에 3ml 채혈합니다. 채혈량을 지키지 • 않으면 위양성이나위음성 결과를 초래하므로 주의합니다. • 검체주입시에 오염이 되지 않도록 bottle 입구 주변을 소독합니다. • 객담배양 • 아침에 양치한 후 타액이 섞이지 않도록 주의하여 용기에 검체를 채취합니다. • 소변배양 • 중간뇨를 무균적으로 받아 즉시 검사실로 내리거나, 냉장 보관합니다. • CSF • CSF 배양을 의뢰하는 경우,검체의 온도를 실온으로 유지. (냉장보관 금지) • 기타 검체 • 수송배지에 검체를 담아 오는 경우에는 면봉에 충분한 양의 검체가 묻혀올 수 • 있도록 해야 하며 모든 검체 용기의 뚜껑은 검체가 마르지 않도록 제대로 • 닫혔는지 꼭 확인해 주십시오. 3

  7. 검체용기 상세설명 EDTA Tube 첨가제 EDTA K3 해당검사 CBC, ESR, HbA1c, Ammonia, Coomb’s(Direct) 등 채혈량 혈액 3mL 주의사항 채혈 후 7~8회 mix Sod. Citrate Tube 첨가제 3.2% Sod. Citrate 해당검사 PT, APTT, Fibrinogen, FDP, D-dimer, EPI, ADP 등 채혈량 혈액 2mL 주의사항 채혈 후 7~8회 mix SST (Serum Separating Tube) 첨가제 응고촉진제, Gel 해당검사 자동화/면역 Serum 등 채혈량 혈액 5mL 주의사항 채혈 후 7~8회 mix Plain Tube 첨가제 응고촉진제 해당검사 ABO, Rhsubtyping, Ab screening, 보관검체등 채혈량 혈액 6mL 주의사항 채혈 후 7~8회 mix Glass Tube 첨가제 없음 해당검사 CSF,Body Fluid 화학검사 및 Culture 등 채혈량 체액 3mL 주의사항 솜마개로 오염차단 삼광SST (Serum Separating Tube) 첨가제 응고촉진제, Gel 해당검사 삼광검사 중 Serum 채혈량 혈액 5mL 주의사항 채혈 후 7~8회 mix 4

  8. 검체용기 상세설명 PST(Heparin) Tube 첨가제 Heparin, Gel 해당검사 Chromosom등 채혈량 혈액 5mL 주의사항 채혈 후 7~8회 mix Anti Glucolytic Tube 첨가제 Sod. Fluoride 해당검사 Lactic acid (위탁기관) 채혈량혈액 3mL 주의사항 채혈 후 7~8회 mix No Additive Tube 첨가제 없음 해당검사 - 채혈량 혈액 6mL VTM (Virus Transport Medium) 첨가제 3 glass beads 해당검사 신종플루 (면역 Unit) 주의사항 Influenza Virus A PCR (LPD219)용으로 사용 VTM (Virus Transport Medium) 첨가제 없음 해당검사 신종플루 (미생물 Unit) 주의사항 Rapid influenza Virus A&B (LIR168)용으로 사용 Transport Medium 첨가제 없음 해당검사 미생물용 수송배지 5

  9. 검체용기 상세설명 Blood Culture Bottle 첨가제 TSB, BHI, Activated charcoal 해당검사 혈액배양 주의사항 성인용(Green), 혐기성(Orange), 소아(Yellow). 성인용과 혐기성은 2개 set로 같이 10ml씩, 소아는 3ml. 혈액량 철저히 준수 Falcon Tube 첨가제 없음 해당검사 AFB 검사용 (미생물/면역) Specimen box 첨가제 없음 해당검사 Stool (검정색), Sputum (흰색) 주의사항 AFB 검체용으로 사용금지 Urine Culture Cup 첨가제 없음 해당검사 Urine culture 용 (미생물) 주의사항 중간뇨 채취 Urine Paper Cup 첨가제 없음 해당검사 UA (외래검사실), Urine chemistry (자동화) 주의사항 중간뇨 채취 24 hrs Urine Bag 첨가제 무첨가(검사에 따라 보존제 첨가하여 사용) 해당검사 24hrs Urine 자동화/핵의학/위탁검사 주의사항 검체채취 방법 참조 6

  10. 연속채혈시Tube 사용순서 • 다음의 순서를 지키지 않으면 예기치 못한 검사결과로 인해 진단착오/재채혈/환자인지오류 추측 등을 •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진공채혈 Holder를 사용하는 경우 채혈과정에 적용됩니다. • 일반적인 Syringe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채혈한 혈액을 Tube에 담을 때 다음의 순서를 적용해야 합니다. 7

  11. 연속채혈시Tube 사용순서 • 다음의 순서를 지키지 않으면 예기치 못한 검사결과로 인해 진단착오/재채혈/환자인지오류 추측 등을 •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진공채혈 Holder를 사용하는 경우 채혈과정에 적용됩니다. • 일반적인 Syringe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채혈한 혈액을 Tube에 담을 때 다음의 순서를 적용해야 합니다. 7

  12. 검체라벨링 방법 상태 | 바코드 라인이 번짐 바코드 프린터의 헤드온도를 조절하여 먹지인쇄를 흐리거나 진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상태 | 바코드에 여백 발생 바코드 프린터 먹지의 위치가 뒤틀려 먹지가 겹쳐지는 현상으로 먹지 위치를 교정해야 합니다. 상태 | 바코드 좌우 부착위치 불량 장비 내에서 바코드 리딩이 불가합니다. 바코드가 수직을 이루게 재부착해야 합니다. 상태 | 바코드 상/하 역전 부착 장비 내에서 바코드 리딩이 불가합니다. 시행부서명이 Cap위치로 향하도록 재부착해야 합니다. 상태 | 다른 바코드에 의한 바코드 훼손 다른 바코드를 덧붙여서 바코드가 훼손되었습니다. 장비 내에서 바코드 리딩이 불가합니다. 상태 | 바코드 부착위치 아래로 쏠림 장비 내에서 바코드 리딩이 불가합니다. 바코드를 위쪽으로 올려서 재부착해야 합니다. • 상기의 바코드 상태 이외에도 바코드 오염, • 손상 등의 원인이 있으면 자동분석 장비 내의 • 예민한 바코드 리더기에서 인식이 되지 않습 • 니다. • 검사실 직원이 직접 재발행및 재부착 해야 하 • 는 불편함 외에도 예기치 않은 환자안전사고의 • 발생위험이 있습니다. • 바코드 최초 발행자의 협조가 절실합니다. 상태 | 바코드용지 노란부분에 인쇄 장비 내에서 바코드 리딩이 불가합니다. 출력자ID별로 nU [프린터설정]에서 재설정해야 합니다. 8

  13. 자주하는 질문 Q&A • [전체] 비정규시간에 꼭 필요한 검사가 있는데 정규시간까지 기다리지 않고 빨리 볼 수 있는 방법이 • 없을까요? • 검사종목별로 시간이 정해진 이유는 운영효율성(시약관리, 장비관리, 결과의 안정성, 검사단가)에 근거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해진 검사시간 외에는 아무리 필요하다고 하여도 검사를 할 수가 없습니다. 임상에서 계속 필요성을 갖는 종목은 정식으로 요청하시면 추후 검사시간 조정을 검토하겠습니다. • [자동화] HIV확진검사 결과가 10일째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빨리 볼 수 없을까요? • HIV확진검사는 원내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가까운 제2청사 부지 내 경기도보건환경 연구원에서 시행하고 있습니다. 결과가 우편으로 도착하기까지 보통 5일~15일 정도 소요되며 매우 급하게 결과가 필요하신 경우 정규근무시간에 문의주시면 유선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 [자동화] 24hrs urine 을 받다가 실수로 엎질렀는데 검사가 가능한가요? • 엎지르기 전 24hrs total volume의 20% 이상 소실되면 검사결과에 영향이 많으므로 다시 채뇨하는것이 좋습니다. • [전체] 채취일시 등록할 때는 바코드가 정상적으로 리딩되는데 왜 검사실에서는 바코드가 불량이라고 • 하는지요? • 병동에서 사용하는 바코드리더기와 달리 진단검사의학과에서 사용하는 바코드리더기는 종류가 다양하고 장비에서 자동으로 리딩하므로 좀 더 예민하게 작동합니다. 7페이지에 설명된 [검체라벨링 방법]을 참조하시어 정확하게 부착하지 않으시면 저희가 수작업으로 재부착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 [전체] 동시에 검사실에 내린 검사 중 어떤 검사는 5분만에 결과가 나왔는데 어떤 검사는 접수상태입 • 니다. 검사가 진행되지 않은 건가요? • 검사 종목에 따라서 전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검사가 있고,전처리에만 한참이 소요되는 검사가 있습니다. 또한 검사시간 자체만으로도 차이가 다양합니다. 마감시간 내에 접수된 검체라면 최종적으론 정해진 TAT시간 내에 보고됩니다. • [전체] 24hrs urine 처방 중 원내검사와 외부검사가 함께 있을 경우 한번에 모을 수 있을까요? • 다음의 표를 참조하시어 방부제의 호환사용이 가능한 경우 외에는 불가피하게 이틀에 걸쳐 모아야만 합니다. • (☆보존제필수,◎ 권장, ○ 가능 ) 9

  14. 자주하는 질문 Q&A [전체] 정규시간 이외의 시간에 환자퇴원으로 인해 액팅이 필요한데 어디에 부탁해야 하나요? 자동화검사Unit(내선 3165)으로 전화하시면 비정규시간에도 대신 액팅을 해드립니다. 다만 병리과 및 핵의학과 의뢰검체는 자체 액팅을 하셔야 합니다. [위탁검사] 위탁검사 검체를 채취하려는데 바코드에 인쇄된 검체명이 생소합니다. 위탁검사기관인 삼광에서 배포한 종합검사안내 책자를 참고하시되 그래도 궁금하신 사항은 정규시간엔 내선 3780으로 문의하시고 비정규시간엔 자동화검사Unit(내선 3165)으로 전화주시면 삼광담당 직원의 핸드폰번호(2012 현재.010-6341-5789 남경민)를 알려드립니다. [혈액] 채혈과정은 무난했는데 CBC검체가 반복해서 Clot되었다고 하네요. 보통 검체 채취 후 즉시 위아래 방향 180°로 7~8회 자연스럽게 mix하면 충분한데, 채혈과정이 지연된 경우가 아닌데도 clot이 2회 이상 반복되었다면 혈액Unit에서 40% Sod. Citrate bottle을 수령하여 사용하시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채혈량이 충분하지 않아 보이는데 검사가 가능할까요? Tube에 표기된 검체량을 채우지 못하면 검사가 불가능하거나 Hemolysis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다만, 일단 검체접수를 하시면 가능한 방법내에서 검사를 시도해 보고 여의치 않으면 연락드리겠습니다. [전체] 검체에 응급이라고 표기했는데 결과가 늦게 나오는 건 왜일까요? 검체 처방 단계에서 응급/비응급 지정을 구분하셔야 합니다. 전산화된 검사과정에서 수기로 표시한 응급은 비응급검체로 처리되기 때문입니다. [자동화] BC검체가Hemolysis되었다고 연락 받았는데 다시 바코드를 출력하려 하니 일부검사는 이미 결과가 나왔습니다. 왜 모두 취소되지 않은 건가요? BC종목 중엔 Hemolysis로 인해 결과에 영향을 주는 종목과 그렇지 않은 종목이 있습니다. 임상에서 조금이라도 결과를 빨리 보시도록 검사 가능한 종목의 결과는 그냥 진행하게 됩니다. [전체] 채혈한 혈액을 실수로 지정된 Tube에 담지 못하고 다른 Tube에 담았습니다. 다시 채혈하기 곤란한데 방법이 없을까요? 지정된 Tube와 호환이 가능한 Tube일 수 있으며, 검사에 따라서 지정된 검체가 아니더라도 검사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혹시나 다시 옮겨 담지 마시고 해당 Unit로 문의해 주세요. [전체] 채혈한 검체를 검사실로 즉시 운반하지 못하고 방치되었네요. 검사가 가능한가요? 임상에서는 반드시 그 시간대에 채혈한 결과를 봐야하는 경우가 있겠지요. 하지만 검사실 입장에선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 반드시 신선한 검체를 사용해야 하는 검사들이 있습니다. 예를들어,Glucose는 7%/hrs씩의 감소를 보입니다. 주치의의 요구를 반영하여 검사를 진행할 수도 있으므로 해당 Unit로 문의해 주세요. [자동화] 혈당기 결과 또는 Blood Gas 결과가 nU로 전송이 안됩니다. 자동화검사Unit (내선 3165)에서 현장검사 Server 및 Interface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즉시 연락 바랍니다. [전체] HIV, MRSA, VRE 등 감염성검체는 어떻게 검사실로 보내야 하나요? 접촉주의 스티커를 바코드에 부착하고 의뢰부서별로 일회용 지퍼백에 넣어 보내십시요. 10

  15. 자동화검사 11

  16. 자동화검사 12

  17. 자동화검사 13

  18. 자동화검사 14

  19. 자동화검사 15

  20. 혈액 16

  21. 혈액 17

  22. 면역/분자 18

  23. 면역/분자 19

  24. 면역/분자 20

  25. 외래검사 21

  26. 미생물 22

  27. 미생물 23

  28. 미생물 24

  29. 혈액은행 25

  30. 기능검사 26

  31. 기능검사 27

  32. 기능검사 28

  33. 검사(시약)별Interference 정보 및 주의점 29

  34. 검사(시약)별Interference 정보 및 주의점 30

  35. 검사(시약)별Interference 정보 및 주의점 31

  36. 찾아보기 (Index) 32

  37. 찾아보기 (Index) 33

  38. 찾아보기 (Index) 34

  39.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정보안내 2014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