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9

위대한 위인 세종대왕

위대한 위인 세종대왕. 지음 : 한민 지. 세종대왕의 생애 (4/1). 세종대왕은 1397 년 4 월 10 일 ( 양력 5 월 15 일 ) 경복궁 서쪽 인왕산 기슭 준수방에서 태종의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 1418 년 8 월 22 세의 나이로 , 태종의 양위를 받아 조선왕조 제 4 대 임금이 되셨다 1420 년 3 월에는 집현전 ( 지혜의 집 ) 을 설치하고 , 학문을 연구하도록 하였으며 , 군사제도를 개편하였다. 세종대왕의 생애 (4/2).

elmo-wyatt
Download Presentation

위대한 위인 세종대왕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위대한 위인 세종대왕 지음: 한민지

  2. 세종대왕의 생애(4/1) • 세종대왕은 1397년 4월 10일(양력 5월 15일)경복궁 서쪽 인왕산 기슭 준수방에서 태종의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 1418년 8월 22세의 나이로, 태종의 양위를 받아 조선왕조 제 4대 임금이 되셨다 • 1420년 3월에는 집현전(지혜의 집)을 설치하고, 학문을 연구하도록 하였으며, 군사제도를 개편하였다

  3. 세종대왕의 생애(4/2) • 1423년에는 조선 통보를 주조하게 하였으며, 1429년 정초로 하여금 가장 오래된 우리나라 농업에 관한책<농사직설>를 편찬하게 하였다. • 1432년 왕명으로 윤희, 신색, 맹사성 등이 우리나라 최초의 지리책<팔도지지리>를 편찬 • 1433년 '혼천의'를 만들었으며, '향약집성방'을 펴냈다

  4. 세종대왕의 생애(4/3) • 1434년에는 박연에게 아악을 정리하게 하였으며, 악기를 개조하였고, 이천, 김돈, 장영실로 하여금 구리로 된 '『갑인자』란 활자를 주조하게 하여, 많은 책이 쏟아져 나왔다. • 1435년 경복궁 안에 주자소를 옮겼다. • 1437년 김종서에 명하여 두만강 방면에 있던 여진족을 토벌하여 6진을 설치하고, 압록강과 두만강 이남의 땅을 확보하였다. • 1441년 '치평요람'을 편찬하게 하였다.

  5. 세종대왕의 생애(4/4) • 1442년, 이천과 장영실이 측우기를 발명하였다. 비의 양을 재는 기구이며, 세계 최초의 우량계 였다. • 1443년 훈민정음(28자)를 창제하였으며, 전제상정소를 두었다. • 1445년 <치평요람>완성하였으며, 권제, 안지, 정인지 등이 훈민정음으로 된<용비어천가>를 지었다. • 1446년 9월 3일(양력 10월 9일)훈민정음(한글)을 반포하였다. • 공문서에 한글을 쓰게 하였다. • 1447년 숭례문(남대문)을 개축하였으며,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을 만들었다. • 1449년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을 간행하였다. • 1450년 2월 17일 영응대군(세종의 여덟째 아들)의 집 별채에서 승하하셨다.

  6. 세종대왕의 업적 1 • 한글, 훌륭한 책의 편찬, 과학기가의 연구, 음악의 진흥, 육진개척, 일본과의 외교, 불교의 진흥 등등 수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 우리글을 갖게 해준 것은 우리에게 주체 의식을 강하게 심어 주었다는 데서 큰 가치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 우리말은 있되 우리 글이 없어 청음청을 두어 한글을 만들게 한 업적과, 측우기, 해시계, 물시계 등등 훌륭한 과학기기를 만들어 편하게 살 수 있도록 하였으며, 김종서 장군에게 명하여 육진을 개척케 하지 않았더라면 지금이 함경도는 오랑캐의 되었을지도 모릅니다. • 갑인자 라는 활자를 주조하게 하여 훌륭한 책을 많이 만들어 역사와 학문 연구에 이바지 하였으며, 용비어천가, 고려사, 농사직설, 삼강행실도, 치평요람, 석보상절, 의방유희 등입니다. • 이러한 업적 외에도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가르쳐 준 정신의 유산이 무엇보다도 귀중하다고 생각합니다.

  7. 세종대왕의 업적 2 • 1. 훈민정음(한글) 1446년 9월 3일(양력 10월 9일)반포되었음 • 2. 최초의 공중 해시계 앙부일구(보물 845호) • 3. 측우기 (세계 최초의 우량계) • 4. 물시계 (자격루, 옥루 등) • 5. 일성정시의(별이 자리를 옮기는데 따라서 밤 시각도 알게 만든 시계) • 6. 4군6진 개척, • 7. 군사제도 개편, • 8. 조선통보 주조 • 9. 박연에게 아악을 정리하게 하였으며, 악기를 개조하였고, 음악을 발달시켰음 • 10. 구리로 된 『 갑인자 』라는 활자를 주조하게 하여, 많은 책을 남겼음 • 11. 가장 오래된 우리나라 농업에 관한책'농사직설' 편찬 • 12. 우리 나라 최초의 지리책'팔도지리지' 편찬

  8. 훈민정음 •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었다. 목판본으로 2권 2책이다. 서울특별시성북구성북동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에 소장되어 있다 • 후자는 예의(例義)·해례(解例)·정인지 서문 등 3부분 33장으로 되었는데, 예의는 세종이 직접 지었고, 해례는 정인지(鄭麟趾)·박팽년(朴彭年)·신숙주(申叔舟)·성삼문(成三問)·최항(崔恒)·강희안(姜希顔)·이개(李塏)·이선로(李善老) 등 집현전(集賢殿) 학사가 집필하였다. 정인지가 대표로 쓴 서문에는 1446년 9월 상순으로 발간일을 명시하고 있어, 후일 한글날 제정의 바탕이 되었다. • 1940년까지 경상북도안동군와룡면(臥龍面) 주하동(周下洞) 이한걸가(李漢杰家)에 소장되었던 해례본은 그의 선조 이천(李蕆)이 여진을 정벌한 공으로 세종으로부터 직접 받은 것이었다. • 낙장된 이유는 연산군의 언문책을 가진 자를 처벌하는 언문정책 때문에 부득이 앞의 두 장을 찢어내고 보관하였다고 하며, 이를 입수한 전형필은 6·25전쟁 때 이 한 권만을 오동상자에 넣고 피란을 떠났으며, 잘 때에도 베개 삼아 베고 잤다는 일화가 전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