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2

다윈과 진화론

다윈과 진화론. 르네상스 시기 이후 자연사의 과제. 신대륙 발견 이후 쏟아져 들어오는 새로운 동식물들 기존의 분류체계에 집어넣는 작업 → 새로운 분류학의 탄생. 꼼꼼한 식물분류학자 14,000 종의 식물 , 3,198 종의 곤충 , 1,564 종의 패류 ( 조개류 ), 158 종의 어류 표본 . 꽃을 토대로 분류 → 인공적 기준 but 적용 간편 분류법의 핵심 : 종 - 속 구분 종의 불변성에 대한 믿음 " 생물의 종은 신이 창조한 것으로 일정 불변 " 형질 대물림 과정은 단지 종 내 개체수 증가 과정

emma-dorsey
Download Presentation

다윈과 진화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다윈과 진화론

  2. 르네상스 시기 이후 자연사의 과제 • 신대륙 발견 이후 쏟아져 들어오는 새로운 동식물들 • 기존의 분류체계에 집어넣는 작업 → 새로운 분류학의 탄생

  3. 꼼꼼한 식물분류학자 14,000종의 식물, 3,198종의 곤충, 1,564종의 패류(조개류), 158종의 어류 표본. 꽃을 토대로 분류 → 인공적 기준 but 적용 간편 분류법의 핵심: 종-속 구분 종의 불변성에 대한 믿음 "생물의 종은 신이 창조한 것으로 일정 불변" 형질 대물림 과정은 단지 종 내 개체수 증가 과정 그러나 분류의 어려움은 계속됨 (eg. 동물인지 식물인지 헷갈린 생물체) 새로운 분류학: 린네(1707-1778)

  4. “존재의 대사슬 (great chain of being)” • “모든 생명체는 가장 하등의 것으로부터 가장 고등인 인간(또는 그 너머의 신)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사슬을 이루고 있다” • 당시 널리 받아들여지던 오래된 생각 • “존재의 대사슬”에 ‘시간’을 도입하면?

  5. 종은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간단한 것에서 점차 복잡한 것으로 변화의 메커니즘 제시 변화 = 외부 환경에 대한 적응 use and Disuse & 획득형질의 대물림 기린의 목, 펭귄 날개의 퇴화 <동물철학>(1809) 출판 ‘진화’ 개념 널리 알림 (≠ 수용) 라마르크(1744-1829)

  6. 동일과정설 (vs. 격변설) 베르너(1750-1817), 라이엘(1797-1875) 지표면상의 모든 변화과정은 지금과 동일한 점진적 과정 매우 긴 ‘지질학적 시간’: 성경 연대기와 노아의 홍수 거부 지질학의 발전

  7. 화석의 발견 • 매머드 등,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종들의 화석 • 산 위의 해양생물체 화석 (굉장히 오래 전에 살던 생명체) • 현재 종들의 선조 vs. 멸종한 다른 종(라이엘)

  8. 찰스 다윈(Charles Darwin, 1809-1882) • 집안의 분위기 • 에라스무스 다윈: 루나 협회 회원, 라마르크의 진화론에 동조 • 아버지: 크리스트교에 회의적인 내과의사 • 찰스 다윈: 아마추어 자연학자 • 비글호의 선상 자연학자로 남아메리카 여행 (1831-36) • 여행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진화론자로 개종 (1837경으로 추정) • <종의 기원> (1859) • 20년간이나 자신의 생각 발표 X • 1858년 자신의 생각과 흡사한 월러스의 논문을 보고서야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요약해 출판

  9. “진화의 나무”: 분지형 진화 (not 단선적)

  10. <종의 기원>(1859) • 진화의 새로운 메커니즘: 변이 + 자연선택 • 변이들(variations) 간의 생존투쟁(struggle for existence) • 주어진 환경에서 생존에 유리한 변이의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 • 인간이 사육동물을 인위적으로 선택(artificial selection)하듯이!! • 선택된 변이가 가진 형질(trait) 대물림(heritage) ※ 위의 과정 반복 → 점진적으로 형질 분화 및 고정 → 종 분화

  11. <종의 기원>이 야기한 문제들 • 종 불변 vs. 진화 • 1870년경이면, 종교와 상관없이 대다수 지식인들에게 진화 수용 • “시간에 따라 신의 섭리에 맞게 완전해져 간다”는 식으로 해석 가능 • But, ‘자연선택’이라는 메커니즘 • 종교인: 진화가 순전히 자연적 과정이라면 신의 섭리는 어디에? • 지식인: 무자비한 경쟁을 정당화하는 불쾌한 논리 아닌가? • 생물학자: 선택될 변이는 애초에 어떻게 발생한단 말인가? • But, 인간의 지위 • 인간도 같은 방식으로 진화했는가? • 인간과 동물은 같은가? 그래도 무언가 특별한 게 있지 않은가?

  12. <종의 기원>이후 • 신라마르크주의의 유행 • 다윈조차도 인간의 경우엔 획득형질의 유전 고려 • 모건의 집단유전학 • 멘델의 법칙 재발견: 형질 대물림의 원리 밝혀냄 • 독립형질: 형질은 섞인다고 평균화되지 않음 • 쥴리언 헉슬리의 Modern Synthesis • 드 브리스의 돌연변이 이론 + 다윈의 자연선택 이론 • 우연한 돌연변이가 적응과 대진화 모두의 원동력 • 점진적 진화에 대한 믿음 • 현재는? 도킨스 vs. 굴드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