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9

8 월 1 주차 채권시황회의

8 월 1 주차 채권시황회의. 투자사업부. 전주 Review. 국고 3 년 기준 3.85% 에서 3.80% 로 5bp 하락 외국인의 국채선물 매수 영향으로 발표된 지표와 상이한 방향으로 금리 변화 전구간 비슷한 하락폭 시현하여 커브상의 변화미미 금요일 국고 10-2 기준으로 80/81 거래 마감. Fundamental (Korea). 월요일 2 분기 GDP 성장률 7.2% ( 컨센서스 6.7%) 로 발표 , 한국은행은 회복국면에서 확장국면 진입 시사

Download Presentation

8 월 1 주차 채권시황회의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8월 1주차 채권시황회의 투자사업부

  2. 전주 Review • 국고3년 기준 3.85%에서 3.80%로 5bp 하락 • 외국인의 국채선물 매수 영향으로 발표된 지표와 상이한 방향으로 금리 변화 • 전구간 비슷한 하락폭 시현하여 커브상의 변화미미 • 금요일 국고 10-2 기준으로 80/81 거래 마감

  3. Fundamental (Korea) • 월요일 2분기 GDP 성장률 7.2% (컨센서스6.7%)로 발표, 한국은행은 회복국면에서 확장국면 진입 시사 • 6월 산업생산에서 설비가동률 83.9%로 발표, 설비투자 확대 가능성 高 •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2월 100 상회한 이후 6개월째 지속, 과거 평균 고려시 향후 경기흐름 좋을 것으로 예상 • 선행지수 하락 지속, 기저효과 사라지는 4분기 이후 회복 전망, 선행지수의 예측력에 대한 의문 제기

  4. Fundamental (Global) • 유럽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신뢰성 의문 제기되나 시장의 예상을 상회하는 결과 도출, 시장 불확실성 제거로 수용되는 분위기 • 버냉키 의장의 “Unusually uncertain”발언 이후 경기둔화 우려 재증폭되었으나경기부양을 위한 추가조치 가능성 열어두고 더블딥 가능성 일축하면서 투자가 불안감은 완화되는 것으로 보임 • 미국 2분기 GDP 성장률 2.4%, 예상치 하회 • 좋지 않은 지표에 대한 시장의 내성이 강해지고 금리 레벨에 대한 부담이 부각되는 분위기

  5. Policy & S-D • 기획재정부국고채 발행물량 월평균 5000억 축소 • 한은 총재의 인플레이션 발언 수위 및 횟수의 증가 • 부동산 DTI, LTV규제 완화에 따른 선제적 금리 인상 가능성 대두 • 親서민 정책 추진에 따른 고환율 정책 완화를 위해 전격적 금리 인상 가능성有

  6. 최석원 – Under • 중장기적 한국 경제에 대한 낙관, 물가 우려 • 경기선행지수 증가율 하락, 외국인 국채선물 지속적 매수에 따른 국내기관 숏포지션 부담, 주식시장의 박스권 움직임으로 단기 상승은 어려움 • 8월 금통위 금리 인상가능성有 - 정상화 과정 - 디커플링 한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 평가 (kp마켓) - 고환율유지 경상수지 흑자와 물가 부담 상존 - 부동산 시장  역시 정상화 과정

  7. 박종연 - Over • 경기선행지수 증가율 둔화를 근거, 국내경기 둔화 예상 • 글로벌 경기 둔화도 시차를 두고 수출에 영향 미칠 것 • 재고증가율 > 출하증가율 재고투자 마무리 단계 • 국채발행 감소에 따른 대기매수세 유입 가능성 高 • 8월 금통위 금리 인상 難 - 부동산 경기 위축, - 글로벌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 - 물가는 안정적일 것으로 판단

  8. 김일구- Over • 외국인 현선물 매수 지속될 듯 - 정책금리 올린다 해도 시장 별 충격 없을 듯, 그렇다면 하락할 룸은 여전히 있다. - 글로벌 자금 유입이 지속, 원달러 하락 가능성 높다 • 중장기적으로 G20 국가의 정부부채 축소에 따른 경기부양 효과 감소  성장률 저하  수출 의존도 높은 한국경제 타격 • 친서민정책 전환에 따른 고환율 정책 포기시 물가 오르기 어려울 것. • DTI, LTV규제 완화 포기시 기준금리 인상 명분 약함

  9. 8월 1주 체크리스트 • 수출, 수입, 물가 등의 지표확인  큰 영향 없을듯 • 목요일 BOE, ECB 정책금리 결정 • 지표보다는 주식시장 • 외국인 국채선물 환매도 이외 신규 매도 물량 감지 • 주말 美고용지표 다음 주 시장에 영향 미칠 것이나 경계감은 시장에 반영될 것 • 다음 주 예정된 금통위에 대한 경계감으로주후반으로 갈수록 거래량 감소될 전망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