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2

‘수단의 슈바이처’ 고 ( 故 ) 이태석 신부를 아십니까 ?

박시호의 행복편지. sound on. ‘수단의 슈바이처’ 고 ( 故 ) 이태석 신부를 아십니까 ?. 박시호의 행복편지. 지난달 27 일 서울 종로의 한 극장에서 영화 시사회가 열렸다 . 객석에는 가톨릭 신부와 수녀들도 꽤 보였다 . 영화 제목은 ‘울지마 톤즈’ . 내전 중이던 아프리카 수단에서 의료 선교를 하다가 숨진 고 ( 故 ) 이태석 (1962~2010) 신부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다. 박시호의 행복편지. 시사회에 앞서 이금희 아나운서가 마이크를 잡았다 .

garima
Download Presentation

‘수단의 슈바이처’ 고 ( 故 ) 이태석 신부를 아십니까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박시호의 행복편지 soundon ‘수단의 슈바이처’ 고(故) 이태석 신부를 아십니까?

  2. 박시호의 행복편지 지난달 27일 서울 종로의 한 극장에서 영화 시사회가 열렸다. 객석에는 가톨릭 신부와 수녀들도 꽤 보였다. 영화 제목은 ‘울지마 톤즈’. 내전 중이던 아프리카 수단에서 의료 선교를 하다가 숨진 고(故) 이태석(1962~2010) 신부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다.

  3. 박시호의 행복편지 시사회에 앞서 이금희 아나운서가 마이크를 잡았다. “오늘 우리는 한 사람을 위해서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우리는 그를 ‘유난히 미소가 밝았던 사람’ ‘유난히 눈물이 뜨거웠던 사람’으로 기억합니다. 그러나 정작 그는 이 자리에 오지 못했습니다.”

  4. 박시호의 행복편지 영화는 작년 가을 암 투병 중이던 이 신부가 다른 암환자들과 함께 가요 '불꽃'을 부르면서 시작한다. 머리카락이 빠져 가발을 쓴 이 신부는 환한 표정으로 "불꽃처럼 영롱한 사랑을 피우리라"고 열창하며 다른 환자들의 웃음을 유도한다.

  5. 박시호의 행복편지 48년, 불꽃 같았던 그의 삶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다. 이어 생전의 이 신부가 수단의 아픈 이들을 치료하고, 학교를 짓고, 아이들에게 악기를 가르쳐 남수단의 명물 브라스밴드로 키우는 과정이 소개된다. 이 신부는 어린이의 찢어진 머리 피부를 꿰매주면서 "(피부가) 까매서 실이 안 보여"라고 농담하며 스스럼없이 장난치고 어울린다.

  6. 박시호의 행복편지 아무것도 없는 곳에서 자신의 모든 것을 내어준 이 신부의 흔적은 그가 떠난 후에도 강하게 남아있다. 한국어는 하나도 모르는 수단 어린이들 입에서 우리 동요 '산토끼'가 흘러나오고 이 신부의 선종(善終) 소식을 들은 한센병 환자들이 손가락이 떨어져 나간 손으로 성호(聖號)를 긋고 눈물을 훔치며 말을 잇지 못한다.

  7. 박시호의 행복편지 이 신부는 2001년 로마 교황청에서 사제 서품을 받고 자청해서 아프리카 수단으로 갔다. 내전 중인 남수단은 위험하기 짝이 없는 지역이었다. 그곳을 자원하는 성직자는 거의 없었다. 거기서 이 신부는 헐벗고, 굶주리고, 다치고, 병에 걸리고, 희망을 상실한 주민들에게 의술과 예술, 따뜻한 가슴을 베풀었다. 그리고 올해 1월 14일 대장암으로 선종했다. 48세의 젊은 나이였다.

  8. 박시호의 행복편지 사람들은 그를 가리켜 ‘수단의 슈바이처’라고 부른다. 이국 땅 아프리카에서 의료 봉사를 하다 숨을 거두었으니 붙여준 형식적인 수식어가 아니다. 영화에는 이태석 신부가 톤즈의 배고픈 아이들, 밤낮 사흘간 걸어서 찾아온 환자들, 수단인 조차 외면하는 한센인을 바라보는 선한 시선과 해맑은 미소가 장면마다 배어난다.

  9. 박시호의 행복편지 이 신부는 이렇게 말했다. “처음에는 워낙 가난하니까 여러 가지 계획을 많이 세웠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갈수록 같이 있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어떤 어려움이 닥친다 해도 그들을 저버리지 않고 함께 있어주고 싶었다.” ‘진정한 선교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해 묵상케 하는 대목이다.

  10. 박시호의 행복편지 이 신부의 고향은 부산이다. 어머니는 자갈치 시장에서 삯바느질을 하며 10남매를 키웠다. 어릴 적, 집 근처의 성당은 그에게 놀이터였다. 거기서 벨기에 출신인 다미안(1840~1889) 신부에 대한 영화를 봤다. 다미안 신부는 하와이 근처 몰로카섬에서 한센인을 돌보다가 자신도 한센병에 걸려 49세에 숨을 거둔 인물이다. 지난해 교황 베네딕토16세는 그를 성인 반열에 올렸다. 이 신부는 그 영화를 본 뒤 사제에 대한 꿈을 꾸기 시작했다.

  11. 박시호의 행복편지 인제 의대를 졸업한 그는 집안의 기둥이었다. 그는 어머니께 “사제가 되겠다”는 뜻을 밝혔다. 신부가 된 형도, 수녀가 된 누이도 있었다. 어머니는 눈물로 반대했다. “남의 아들은 (신부로) 가면 다 훌륭하고 거룩해 보이던데…, 왜 내 자식은 몇 명이나 데려가시냐?”고 반문했다. 그는 “어머니께 효도 못 하고, 벌어주지도 못 해서 미안하다. 그런데 하느님께 자꾸 끌리는 걸 어떡하느냐?”고 울면서 대답했다. 그리고 뒤늦게 신학대에 진학했다.

  12. 박시호의 행복편지 수단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나라다. 그러나 내전으로 인해 모든 게 황폐해졌다. 특히 남수단의 상황은 최악이었다. 말라리아와 콜레라 등으로 약도, 치료도 없이 사람들이 죽어갔다. 이 신부는 남수단의 톤즈란 곳으로 갔다. 그는 톤즈에서 유일한 의사였다. 하루에 300명의 환자가 찾아왔다. 100㎞를 걸어서 밤에 문을 두드리는 환자도 있었다. “그곳에 가면 살 수 있다”는 소문이 톤즈에 퍼졌다.

  13. 박시호의 행복편지 공간이 모자랐다. 이 신부는 손수 벽돌을 구워서 병원을 지었다. 전기도 없었다. 지붕에 태양열 집열기를 설치해 냉장고를 돌렸다. 더운 날씨에 상하기 쉬운 백신을 보관하기 위해서였다. 이 신부는 학교도 지었다. 초·중·고 11년 과정을 꾸렸다. 손수 수학과 음악을 가르쳤다. 케냐에서 교사도 데려왔다. 톤즈의 아이들은 거기서 미래를 찾았다. 다큐멘터리 속의 이 신부는 자신에게 묻고, 답했다. “예수님이라면 이곳에 학교를 먼저 지으셨을까, 성당을 먼저 지으셨을까? 아무리 생각해도 학교를 먼저 지었을 것 같다.”

  14. 박시호의 행복편지 톤즈 사람들은 그를 “쫄리 신부”라고 불렀다. ‘존 리(John Lee)’라는 세례명을 그렇게 발음했다. 많은 사람이 이 신부에게 물었다. 왜 굳이 신부가 됐느냐고, 의사로서도 소외된 이웃을 도울 수 있다고, 왜 굳이 아프리카까지 갔느냐고, 한국에도 가난한 사람이 많다고.

  15. 박시호의 행복편지 그 모든 물음에 이 신부는 이렇게 답했다. “예수님께선 ‘가장 보잘것없는 이에게 해 준 것이 곧 나에게 해 준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신부를 돕던 사람들은 “이 신부는 사랑과 헌신을 통해 수단과 한국에 아름다운 공동체를 만들고 서로를 이어주고 가셨다”고 말한다.

  16. 박시호의 행복편지 영화를 보던 관객은 눈물을 흘렸다. 그건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예수의 메시지 앞에서 솟는 눈물이기도 했다. 아름다운 사람이 남긴 사랑의 힘은 이렇게 퍼져가는 것일까.

  17. 박시호의 행복편지 의사로서의 안정된 생활 대신 전쟁과 가난, 질병으로 고통 받는 아프리카 남(南)수단의 오지 마을 톤즈에서 10년간 의료·교육 봉사활동을 하다 정작 자신의 건강을 챙기지 못해 지난 1월 대장암으로 세상을 떠난 고(故) 이태석신부. 그의 뜻을 기리는 다큐멘터리 영화가 개봉되고 유지(遺志)를 이어 수단의 어린이·청소년을 돕는 사랑의 파도가 더욱 확산하고 있다.

  18. 박시호의 행복편지 이태석 신부의 활동을 돕기 위해 2004년 결성된 인터넷 카페로 시작해 2007년 사단법인으로 발전한 '수단어린이장학회'(이사장 이재현)는 이 신부의 선종 이후 회원이 급증했다. 올해 초까지 2300여명이던 회원은 현재 7380명에 이른다. 또 연초 700명 선이던 후원자도 2000여명으로 늘었다. 장학회는 올 봄부터 소식지 '슈쿠란바바'(수단 톤즈 현지어로 '하느님 감사합니다'란 뜻)를 계간지로 발간하고 있다.

  19. 박시호의 행복편지 혼자서 의사, 교사, 신부, 브라스밴드 단장까지 다 맡았던 이 신부의 빈자리도 채워지고 있다. 이 신부가 소속한 살레시오회는 우경민 신부를 후임으로 톤즈에 파견했으며, 의료 봉사자 2명이 현지에 상주하며 환자를 돌보고 있다. 지난달 19~30일엔 장학회 이사 오이화·장민석·안정효씨가 의약품 등 약 1만달러어치의 물품을 가지고 톤즈를 방문했다. 장민석 이사는 "막상 현장을 보니 '어떻게 이런 환경에서 지내셨을까' 싶을 정도였다"며 "현지 사람들은 쫄리를 거의 성자처럼 여기고 있었다"고 말했다.

  20. 박시호의 행복편지 장학회는 앞으로 이 신부가 현지에서 짓다가 중단한 고교 건물을 신축하고 이 신부 선종 이후 활동이 끊어진 브라스밴드도 부활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건축가, 음악 지도 봉사자, 교사 봉사자 등을 현지에 파견할 예정이다. 내년 1월엔 이 신부의 선종 1주기 추모음악회인 '희망음악회'를 열고 이 신부의 자작곡과 애창곡으로 꾸민 음반도 낸다. 또 현지 청소년들을 지도자로 키우고 싶어했던 이 신부의 유지를 이어 그들을 한국에 데려와 기술을 가르치고 성직자로 양성할 계획이다.

  21. 박시호의 행복편지 묵상 십자가 앞에 꿇어 주께 물었네 추위와 굶주림에 시달리는 이들 총부리 앞에서 피를 흘리며 죽어가는 이들을 왜 당신은 보고만 있냐고 눈물을 흘리면서 주께 물었네 세상엔 죄인들과 닫힌 감옥이 있어야만 하고 인간은 고통 속에서 번민해야 하느냐고 조용한 침묵 속에서 주 말씀하셨지. 사랑 사랑 사랑 오직 서로 사랑하라고 (고 이태석 신부가 고3 때 작사·작곡한 성가 ‘묵상’ 중에서)

  22. 박시호의 행복편지 이태석 신부 관련 내용은 이미 행복편지를 통해 소개한 바 있습니다만 언론에 보도된 내용을 다시 정리해서 보내드립니다. 이태석신부 관련 KBS 스페셜 동영상을 보시고 싶으시면 여기를 눌러 보세요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