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4

소비자와 미디어 (4 강 )

소비자와 미디어 (4 강 ). 소비자유형별 특성과 미디어 : 세대. 세대별 특성과 가치. 돈과 성공 생활과 낭비. 세대별 특성과 가치. 외모에 대한 생각. 세대별 특성과 가치. 소비의 스타일. 세대별 특성과 미디어. 세대를 나누는 기준 – OO generation 60 대 이상 GI(Government Inductees) 세대 50 대 베이비붐세대 40 대 386 세대 30 대 X 세대 , Y 세대 10~20 대를 N 세대 , M 세대

gerik
Download Presentation

소비자와 미디어 (4 강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소비자와 미디어(4강) 소비자유형별 특성과 미디어 : 세대

  2. 세대별 특성과 가치 • 돈과 성공 • 생활과 낭비

  3. 세대별 특성과 가치 • 외모에 대한 생각

  4. 세대별 특성과 가치 • 소비의 스타일

  5. 세대별 특성과 미디어 • 세대를 나누는 기준 – OO generation • 60대 이상 GI(Government Inductees)세대 • 50대 베이비붐세대 • 40대 386세대 • 30대 X세대, Y세대 • 10~20대를 N세대, M세대 • 20대 연령층을 지칭하는 용어: X세대, Y세대, Z세대, N세대, M세대, R세대와 P세대

  6. 세대별 특성과 미디어

  7. 세대별 특성과 미디어 • X세대, Y세대 • 사회와 기성세대에 도덕성과 공정성을 강력하게 요구 • 문화적으로‘서태지와 아이들’과 함께 성장한 세대 • 전통적인 매스미디어뿐 아니라 인터넷 등의 뉴미디어에 대한 소비 • Y세대는 70년대 후반 이후 태어난 세대, 개인, 개방, 감성주의가 특징이며 자기중심적 소비와 유행의 주역으로 X와 N세대를 연결

  8. 세대별 특성과 미디어

  9. 세대별 특성과 미디어 • N, M세대 • 1980년 컬러TV의 등장과 함께 성장한 영상세대, 태어나면서부터 PC를 경험한 세대 • 디지털환경에 대한 친숙도 • 컴퓨터, 비디오 게임, CD롬과 같은 디지털 매체를 통한 학습, 오락 등 모든 활동이 이루어짐 • UCC문화, 주 여가활동은 인터넷 • 인터넷을 통한 콘텐츠를 생산하는 세대를 의미하는 C세대(Contents Generation)

  10. 세대별 특성과 미디어 • N, M세대 • TV보다 인터넷을 더 좋아하고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에서의 커뮤니케이션에 익숙 • 10대의 55.7%가 신문을 전혀 읽지 않는 것 • 광고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어떤 세대들보다 광고수용도가 높음 • 정보를 일방적으로 수용하기 보다는 정보를 만들어내는 세대

  11. 세대별 특성과 미디어

  12. 노령층 세대의 중요성 • 6.25전쟁 후 태어난 베이비붐세대 • 은퇴 시점을 맞이하면서 새로운 소비 주력계층 • 2018년에는 고령인구비율이 14% 이상인 고령사회, 2026년에는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전망 • 자기중심적이면서 감각을 중시하고 소비성향도 갖춘 이른바‘통크족(Two only no kids)’ • 실버세대의 매체이용중요성: 사회주변 환경과 개인과의 연결기능, 일과의 조정, 심리적 보상, 여가의 선용

  13. 노령층 세대의 중요성

  14. 노령층 세대의 중요성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