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9

2007 년도 유통산업 정책방향

2007 년도 유통산업 정책방향. 2007. 2. 산 업 자 원 부. 목 차. 1. 2. 3. 국내외 유통 환경의 변화. 유통산업의 현황과 당면과제. 2007 년도 주요 정책과제. 1. 국내외 유통환경의 변화. 1. 중국시장에 대한 관심 증가. 1-1. 해외 유통산업의 동향. 국제적 상품 공급원 : 월마트 ’ 03 년 중국에서 150 억불 구매 거대 소비시장 형성 : 6,000 억불 규모 ( 우리나라의 4 배 ). 대형유통업체의 시장지배력 증가 및 저가지향형 업태의 강세.

hayes-snow
Download Presentation

2007 년도 유통산업 정책방향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2007년도 유통산업 정책방향 2007. 2 산 업 자 원 부

  2. 목 차 1 2 3 국내외 유통 환경의 변화 유통산업의 현황과 당면과제 2007년도 주요 정책과제

  3. 1 국내외 유통환경의 변화 1

  4. 중국시장에 대한 관심 증가 1-1. 해외 유통산업의 동향 국제적 상품 공급원 : 월마트 ’03년 중국에서 150억불 구매 거대 소비시장 형성 : 6,000억불 규모 (우리나라의 4배) 대형유통업체의 시장지배력 증가 및 저가지향형 업태의 강세 해외진출 확대 : 월마트 8,457(국내3,551), 까르푸 6,240(국내1,478) (‘04) 세계 Top 200 유통기업의 전세계 시장 점유율 : 29% (’02) 세계 Top 200 유통기업중 125개사가 저가 지향형 업태 유통정보화를 통한 물류비용 절감 RFID를 활용한 생산성 및 효율성의 비약적인 제고 * (예) 월마트 RFID를 활용 연간 84억불 절감(인건비 절감/프로세스 효율화) 2

  5. 소비공간의 확대 : 국내시장  세계시장 1-2. 국내 소비환경의 변화 교통수단과 정보통신(인터넷)의 발달 소득의 증가 소비주도층의 변화 : 30~40대 신세대와 노년층 경제 풍요기(90년대)에 유▪청소년기를 보낸 세대가 소비주도층으로 성장 00년 고령화 사회(65세이상 7%) 진입, 18년 고령사회(14%) 진입 예상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  감성 및 저가 소비의 공존 인터넷과 해외여행 증가로 명품 및 감성소비 증가 IT, 미디어의 발달로 가격정보의 비교 가능 3

  6. 2 유통산업의 현황과 당면과제 4

  7. 유통산업의 국민경제적 위상 유통산업의 경제성장 기여도 2-1. 유통산업의 현황 유통의 GDP비중(도소매업/GDP)은 6.1%, 고용은 전체의 16.3% (’05) * 주요국 유통의 GDP 비중 : 미국 12.7% (03), 일본 14.2% (‘04) * 국내 유통산업의 평균 성장율 : (89~95) 6.06% → (96~02) 4.20% * 한국 경제의 성장율 : (89~95) 7.86% → (96~02) 3.80% * 유통산업의 국내경제성장 기여율 : (89~95) 4.78% → (96~02) 7.52% 유통산업의 중요성 * 유통산업 0.1%씩 3년 증가  실질GDP 3년평균 0.06% 증가  민간소비 3년평균 0.03% 증가  실업율 3년평균 0.03% 하락(6,200명고용) 5

  8. 새로운 업태의 성장과 기존 업태의 쇠퇴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온라인쇼핑 기타(중소) 2000(%) 15조 (13.4) 10.5조(9.4) 1.4조(1.2) 3.2조 (2.8) 82.0조(73.1) 2005(%) 17.2조(11.8) 23.5조(16.1) 4.6조(3.2) 18.6조(12.8) 81.8조(56.1) 기업형 유통간 경쟁 심화와 인수합병 러시 < 참고 > 국내 유통시장의 구조개편과 중소유통의 위축 소비의 편리성▪합리성 추구로 대형마트, 온라인쇼핑이 급성장 * 이랜드의 까르푸(홈에버) 인수(06.5), 신세계(이마트)의 월마트 인수(06.6) 롯데의 우리홈쇼핑 인수(06.8), 애경의 삼성플라자 인수(06.12) 등 재래시장 등 중소유통의 침체와 경쟁력 상실 * 중소유통 업체수 : (00) 672,415 → (03) 624,224 → (05) 611,741 * 중소유통 판매액지수 : (00) 100 → (03) 96.6 → (05) 94.3 6

  9. 대-중소 유통업간 갈등해소 및 균형발전 중소유통업의 경쟁력 향상 지원 영세 소매업체(5인미만)의 연간매출액은 88.8%가 5억원 미만 POS보급률 14.1%, 조직화율 29.4% 국내 유통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기회 확대 2-2. 유통산업의 당면과제 대형마트의 출점 증가  지역 상인들과의 상권 갈등 * 대규모점포 개설 및 활동 규제 의원발의 법안 3건, 국회산자위 상정 예정(07.2) 140여개 점포 해외 진출 * 프랜차이즈 126개, 대형마트 11개, 홈쇼핑/백화점 5 * 아시아 87(중 56), 미주 36, 유럽 7, 기타 13 7

  10. 3 2007년도 주요 정책과제 8

  11. 유통산업의 발전 비전 당 면 현 안 주요 정책과제 원 인 중소유통업의 경쟁력 향상 소매업 공급과잉 및 중소유통업의 침체 • 중소유통업 활성화 • 재래시장/상점가 활성화 • 프랜차이즈 활성화 • 제조-유통간 상생협력 • 대형-중소유통간 상생 소비문화의 급변과 대형-중소 유통업간 기본 역량 격차 확대 대형-중소유통의 갈등해소 및 균형발전 • 유통/물류 효율화 시책 해외유통 시장 활용기회의 확대 기업형유통의 역사 일천 및 내수중심 시장접근 • 업태별▪지역별 해외진출 지원 9

  12. 중소유통업의 구조개선 지원 선진유통 교육 및 중소점포 진단 지원 중소유통업 활성화 대책 수립▪추진 1 중소유통 공동도매물류센터를 확충(06:14→07:17), 구매∙배송∙판매 지원 유통물류 합리화▪효율화 사업에 대한 시설▪운전자금 융자(연리4.75%) 중소상인에 대한 맞춤형 교육 연수 지원(08년까지 1만명) Web 기반 「상권정보시스템」 구축 및 자영업 컨설팅 사업 추진 *「상권정보시스템」(‘05.10)의 확대 개편 및 정식서비스 개시(’06.7.1~) 중소유통 활성화를 위한 법령 정비 프랜차이즈 활성화를 위한 ‘가맹사업 진흥에 관한 법률’ 입법 추진(07) 침체된 지역경제와 중심상권 활성화를 위한 법적기반 정비 추진(’07-08) 10

  13. 재래시장과 인접 상점가의 동시개발 추진 중심상권 활성화 사업 추진체계 구축 법적 토대 마련 : (가칭)『상권활성화 지원법』제정 (07-08) 재래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 사업 추진 2 재래시장의 시설 현대화 및 경영혁신 지원(06:1,477억원07:1,908억원) 재래시장과 인접 상점가의 동시개발 지원(06.4, 재래시장법 개정) 지자체∙민간 : 상권활성화 구역설정+TCI 구성+경제활동 촉진 사업 * TCI(Town Center Improvement) : 상권활성화 관리기구 정부 : 기본지침 마련 및 ‘상권활성화 지원센터’ 설치▪운영 *상권활성화 지원법 제정 추진일정: 법 제정안 마련(07.6), 국회제출 (07.12) (재래시장 및 상점가 육성 특별법은 06.4일 개정) 11

  14. 프랜차이즈 산업의 건전한 발전기반 조성 국내 프랜차이즈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법적 토대 마련 : (가칭)『가맹사업 진흥에 관한 법률』제정 (07) 프랜차이즈 활성화 추진 3 우수 프랜차이즈 포상 및 프랜차이즈 산업박람회(연2회) 개최 지원 교육▪IT▪물류공동화 등 프랜차이즈 활성화 인프라 구축 지원 해외진출 시장 조사단 파견 (’07년 중국, 미국 지역 조사) 해외 프랜차이즈 박람회 참가 등 글로벌 마켓 진출 지원 주요내용: (1) 자금∙입지 등 정보지원, (2) 우수 브랜드 인증제 도입, (3) 교육∙ IT∙물류공동화 등 프랜차이즈 활성화 인프라 구축, (4)해외진출 지원 12

  15. 상생협력 실태조사 및 프로그램 발굴 상생협력 채널의 활성화로 상생 분위기 확산 ‘제조-유통상생협의회(06.12)의 개최를 정례화(격월), 협력 노력 강화 지역별 ‘유통업 상생발전 협의회’의 확산으로 지역내 갈등 완화 추진 유통기업 CEO 참여를 통한 상생협력 공감대 조성 유통CEO가 참여 ‘제조-유통 상생협력 선언’ 행사 개최(3월)검토 상생협력 현황▪계획 점검을 위한 ‘유통상생 보고 대회’(6월)개최 검토 유통 분야 상생협력 방안 강구 4 상생협력실태조사(2월)로 정책추진 범위 확정 및 협력과제 발굴 우수 중소기업 제품발굴▪판로지원을 위한 ‘유통 상생박람회’ 개최(5월말) 13

  16. 납품업체 • 불공정 거래에 대한 사이버신고제 도입 등 • 공급망관리 효율화(VMI, RFID 확대) • PB 개발 협력 및 우수 중소기업 제품 발굴 확대 제조업체 농림수산업 Vendor • 지역별 상생협의회 구성 및 운영 • 대형점의 중소업체에 대한 교육지원 • 종합적 상권개발을 위한 정책연계 유통업체 중소유통업체 (재래시장 포함) 대형유통업체 < 참고 > 유통산업 상생협력 접근 방안 14

  17. 제2차 산업물류 혁신대책(07-11)수립▪추진 표준화를 통한 물류혁신 추진 글로벌 물류기업의 투자유치 지원 물류 효율화 시책 추진 5 환경친화적 물류시스템 구축 필요성 증대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1/4분기) 수송∙배송 시설 등 물류설비에대한 인증 및 지원(06년까지190품목 인증) 물류설비(물류센터 대상)인증을 위한 표준규격(안)마련 한-일간 ISO 국제표준 규격인 T-11 파렛트의 중국 국가표준화에 협력 • 해외 IR(상하반기 각 1회)개최로 투자 유치 및 공항만 포트 세일즈 * 중국지역은 별도로 현지 IR 2회(2월,10월) 개최 및 포트 세일즈 • 소규모 제안형 투자유치 사업(대상 : 일본, 유럽 및 동남아)실시 15

  18. 유통물류 분야의 RFID 응용 기술개발 지원 국제세미나 개최 등 산업화 분위기 확산 GS1 서울 총회, EPC global 컨퍼런스 개최(07.5) RFID 산업화 대상 시상(07.5)으로 산업화 촉진 RFID 산업화 기반 조성 6 『RFID 산업활성화 지원센터』의 구축 및 운영 국제인증 성능 시험평가시스템 구축 추진(04-08) RFID 산업 전문인력 양성과정 운영 ‘유비쿼터스 전자물류시스템’ 개발 (04-08) ‘상품라이스사이클 정보 통합관리 솔류션’ 개발(05-08) ‘국제 물류통합 플랫폼 개발’(06-08) 16

  19. 시장 정보 수집 체계 개선 및 컨설팅 기능 강화 전문인력 양성 등 잠재력 확충 해외진출 정보 Portal Site 구축▪운영 해외진출 현지 연수 프로그램 개발 추진 지역 산업전문가 D/B 구축 및 공유  네트워크 확대 유통기업 해외진출 지원 대책 수립 7 GIS 기반 국가별 산업정보시스템 및 투자진출 로드맵 작성, 제공 이용자 중심(일반인, 기업, 프리미엄 정보수요자)으로 정보제공 수준 차별화 *07.3월 1차 시연회, 7월 D/B완료, 12월 최종 오픈 해외진출 정보를 3단계로 체계화 및 단계별 수집정보의 전문성 강화 * 3단계 : (1)국가정보, (2)산업정보, (3)프로젝트정보 등 ‘글로벌 시장연구 쿠폰제’ 도입 및 『투자컨설팅 센터』(무역협회) 설치 17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