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2

베드로 특강 기독교와 한국경제 : 전망과 현안과제

베드로 특강 기독교와 한국경제 : 전망과 현안과제. 새사람교회 백 웅 기. http://www.sasaram.org. 목 차. I. 기독교와 경제. 경제체제와 성서적 경제원칙 종교와 경제발전 , 국민소득. II. 한국경제의 동향. 세계 속의 한국 최근 경제동향. III. 경제전망과 현안과제. 2006 년 한국경제 전망 현안과제 정부의 2006 년 경제정책 기본방향 기타 미시적 이슈 금융시장 리스크 요인. I. 기독교와 경제. 경제체제의 분류

Download Presentation

베드로 특강 기독교와 한국경제 : 전망과 현안과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베드로 특강기독교와 한국경제:전망과 현안과제 새사람교회 백 웅 기 http://www.sasaram.org

  2. 목 차 I. 기독교와 경제 경제체제와 성서적 경제원칙 종교와 경제발전, 국민소득 II. 한국경제의 동향 세계 속의 한국 최근 경제동향 III. 경제전망과 현안과제 2006년 한국경제 전망 현안과제 정부의 2006년 경제정책 기본방향 기타 미시적 이슈 금융시장 리스크 요인

  3. I. 기독교와 경제 • 경제체제의 분류 •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 보수적 근본주의자들의 주장 • 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 혁명적 사회주의 관점에서 성서 해석, 생산자본을 공유하자는 LA 해방신학자들의 주장 • 사회적 시장경제체제: 시장중심 경제의 결점비판, 복지시책의 확대를 주장하는 캐톨릭 교회와 주류 개신교 교회단체 주장 • [ 참고문헌 ] • 박영일, 『현대 주요 경제체제들의 성서적 근거와 결정 요소들에 대한 윤리적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12.

  4. 성서는 특정 경제체제를 배타적으로 지지하지는 않음 • 주요 경제체제들과 관련하여 제시된 성서적 근거들을 항상 보편 타당하게 적용하기에는 무리 • 텍스트 이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신학적 자세 • 윤리적 접근방법(규범, 패러다임, 원칙 등) • 사회적 위치 • 이데올로기적 성향

  5. 성서적 경제원칙 •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에 대한 존중과 존엄성 회복을 통한 인간의 경제활동의 수단화 및 도구화 방지 •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생태계 보존 • 빈부격차 해소를 위한 사회적·경제적 약자에 대한 우선적 관심과 배려 • 세계적 경제정의 실현: 부채탕감을 위한 제3세계에 대한 배려

  6. 박영일(2005)의 결론 • 시장경제체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 분석 • 시장경제체제는 도덕적인 것도 비도덕적인 것도 아님 • 공공복리보다 사익추구가 우선 • 약육강식의 적자생존 논리가 지배 • 정의로운 시장경제의 추구를 위한 국가 역할 중요 • 사회정책, 환경정책, 노동정책, 통화재정정책 • 성숙한 시민사회의 참여, 감시 중요 • 시장경제의 전제인 도덕성의 실현이 중요 • 성서는 하나님의 말씀의 권위 • 삶에 바람직한 방향과 원칙을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자료

  7. 1.1 종교와 경제발전 • Barro and McCleary(2003) – NYT 04/01/31보도 • 종교적 신앙심이 경제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천국과 지옥을 믿는 것이 경제발전에 기여한다. • 높은 교회 출석률은 경제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전반적으로 경제발전에 따라 종교성은 대체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종교성도 높다 • 도시화가 진행될수록 종교성은 낮아진다. • 기대 수명이 길어질수록 신앙심이 돈독해지지만 이들의 교회 출석률은 낮아진다.  • 과거 공산주의 국가들은 1990년대에 대부분 종교성을 회복하고 있으며, 주요 종교의 다원성(religious pluralism)이 큰 국가일수록 교회 참여율과 신앙심이 돈독하다.  • 비판: 종교의 차이를 무시

  8. 1.2 주요 종교와 1인당 GDP, HDI

  9. 1.3 기독교 박해국가와 국민소득 * 70이상은 심각한 박해국가, 51이상 70미만은 억압이 심한 국가

  10. 라오스 교회 주일예배

  11. 라오스 몽족 교회

  12. 라오스 가정교회

  13. 치유1

  14. 치유2

  15. 치유3

  16. 치유4

  17. 1.4 종교와 생활수준 (이관두(2005)) • 캐톨릭 국가 • 이탈리아(98%, $27,984), 몰타(98%, $19,302) • 국민의 50% 이상이 캐톨릭: 54개국, 평균소득 $12,543 • 믿는 사람 비중이 클수록 소득수준 높음 • 개신교 국가 • 덴마크(루터교 98%, $33,089), 핀란드(89%, $29,305), 아이슬란드(87%, $33,269), 미국(56%, $39,496) • 개신교 국가들은 모두 세계 최상위 소득 • 평균소득 $26,148으로 캐톨릭 국가의 두 배 이상 • 개신교 인구 비중이 높을수록 소득수준 높음 이관두, 『부자나라 가난한 나라 그 숨겨진 비밀』, 2005.

  18. 정교회 국가 • 그리스(98%, $20,362), 몰도바(98%, $2,119), 우크라이나(90%, $6,554), 루마니아(87%, $7,641), 불가리아(83%, $8,500), 러시아(72%, $10,179) • 평균 국민소득 $8,773으로 매우 낮은 수준 • 정교회에 속한 사람들의 비중이 높을수록 소득수준 높음 • 이슬람 국가: 산유국과 비산유국 구분 • 바레인(100%, $18,817), 사우디아라비아(100%, $13,955), 모리타니아(100%, $2,187), 터키(99%, $7,503), 아프카니스탄(99%, $800) • 산유국 포함 40개국(평균 소득 $6,635), 산유국 제외(29개국, $3,704) • 모슬렘 비중이 큰 국가일수록 낮은 소득수준

  19. 힌두교 국가 • 네팔(86%, $1,402), 인도(81%, $3,080), 모리셔스(52%, $12,215) • 힌두교인 비중이 클수록 소득수준이 낮음 • 불교 국가 • 태국(95%, $7,901), 캄보디아(95%, $2,074), 미얀마(89%, $1,364), 부탄(75%, $3,095), 일본(54%, $29,906) • 평균 소득은 $6,070 • 불교도 비중이 클수록 소득은 낮은 수준 • 기독교만이 종교인구의 비중이 높을수록 국민소득이 높음 • 각 종교의 경제발전에 대한 태도와 깊은 연관이 있음

  20. II. 한국경제의 동향과 현안2.1 세계 속의 한국 • 2004년 GDP 세계 11위 •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중국, 캐나다, 스페인, 인도, 한국, 멕시코 • 2004년 1인당 GDP 세계 30위 수준 • 룩셈부르크, 노르웨이, 스위스, 덴마크, 아이슬랜드, 미국, 일본, …., 한국, 대만 • 수출 세계 12위, 수입 세계 13위 • 수출: 독일, 미국, 중국, 일본 • 수입: 미국, 독일, 중국, 일본

  21. 2004년 무역의존도 세계 22위 • 홍콩(325%), 말레이시아(196%), 벨기에(168%), 태국(118%), 헝가리(115%),…, 한국(70%),…, 일본(22%), 미국(20%) • 2004년 경상수지 흑자 세계 11위 • 일본($1,721억), 독일($1,043억), 사우디아라비아($515억), 스위스($506억), …한국($276억), …, 미국($-6,660억) • 2006년 1월말 외환보유액 세계 4위 • 일본($8,469억), 중국($8,189억), 대만 ($2,533억), 한국($2,104), 러시아($1,7409억), 인도, 홍콩, 싱가포르, 독일($1,017억), 프랑스($744억)

  22. 2004년 경제성장률은 4.6%로 비교적 양호 • OECD 국가에 비해서는 양호하지만, 대만(5.7%), 싱가포르(8.4%)에 비해서는 저조 • 멕시코(4.2%), 체코(4.0%), 캐나다(3.1%), 뉴질랜드(1.3%) • 2004년 저축률은 32.8%로 세계 7위 • 중국(47%), 가봉(45%), 이란(43%), 말레이시아(42%),…, 한국(33%), 태국(32%) • 2004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OECD 국가중 높은 편 • 2004년 비교물가 수준은 미국을 100으로 볼 때 84로 OECD 국가중 낮은 편 • 호주(109), 영국(122), 일본(147), 아이슬랜드(167)

  23. 2004년 실업률은 OECD 국가중 낮은 편 • 한국(3.7%), 일본(4.7%), 미국(5.5%), 프랑스(10%), 스페인(11%), 폴란드(19.5%) • 2004년 조강 생산량 세계 5위 • 중국, 일본, 미국, 러시아, 한국, 독일 • 2004년 선박건조량 1위 • 한국, 일본, 중국, 독일, 이탈리아 • 2004년 자동차 생산량 세계 6위 • 미국, 일본, 독일, 중국, 프랑스, 한국

  24. 2004년 전자제품 생산액 세계 4위 • 미국, 일본, 중국, 한국, 독일, 말레이시아 • 2004년 쌀생산량 세계 13위, 단위면적당 생산량 세계 9위 •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쌀생산량) • 이집트, 온두라스, 호주, 미국,…한국(단위면적) • 2003 인터넷 이용자 세계 3위 • 아이슬란드, 스웨덴, 한국 • 2003년 이동전화 가입자수 세계 30위 • 룩셈부르크(119/100), 대만, 홍콩, 이탈리아, 스웨덴 • 2002년 인간개발지수 HDI 세계 28위

  25. 2002년 1인당 보건관련 지출액 세계 26위 • GDP 대비 지출비 세계 94위 • 2004년 에너지 총소비량 세계 10위, 1인당 소비량 세계 17위 • 2005년 총인구 세계 25위 • 중국(13.2억), 인도(11.0억), 미국(2.9억), 인도네시아(2.2억), 브라질(1.9억), …한국(4,830만)

  26. 2.2 최근의 경제동향(1) 경제성장률

  27. (2) 경제성장률 국가 비교(%, IMF, WEO, 2005.09)

  28. (3) 경기변동

  29. (4) 금리변동 한국 콜금리 2006년 2월 9일 4.0%로 인상 미국 금리 2004년 6월 이후25bp씩 14차례 인상

  30. (5) 환율변동

  31. (6) 주요변수 동향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