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3

제 8 장

제 8 장. 관리도. 1. 관리도의 개요 2. 관리도의 종류 및 수리 ( 數理 ) 3. 관리도를 활용한 공정해석 4. 관리도의 작성방법. 개 요. 품질에 대한 변동은 어디에나 존재하는 것이고 품질의 변동이 있는 곳에서 통계적기법은 공정개선 , 공정관리 , 실험 및 제품의 품질관리 등에 응용될 수 있다 . 관리도란 공정이 관리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공정을 안정상태로 유지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 하기 위한 기법이다 .

idra
Download Presentation

제 8 장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8 장 관리도 1. 관리도의 개요 2. 관리도의 종류 및 수리(數理) 3. 관리도를 활용한 공정해석 4. 관리도의 작성방법 개 요 품질에 대한 변동은 어디에나 존재하는 것이고 품질의 변동이 있는 곳에서 통계적기법은 공정개선, 공정관리, 실험 및 제품의 품질관리 등에 응용될 수 있다. 관리도란 공정이 관리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공정을 안정상태로 유지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 하기 위한 기법이다. 관리도를 작성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공정에 대한 데이터를 해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고 이들 정보에 의해 공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이 장에서는 관리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관리도의 개념과 종류 및 수학의 이론과 관리도를 활용한 해석을 정리하고, 엑셀 및 미니탭을 활용한 작성방법을 학습한다.

  2. 학습 목표 1. 관리도에 대한 개념 및 기초적인 수학적 이론을 알 수 있도록 한다. 2. 계량형 및 계수형 데이터에 대한 관리도 작성 및 해석방법을 알 수 있도록 한다. 3. 관리하고자 하는 품질특성 및 조건에 대하여 관리도를 이용하여 공정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한다. 주요 용어 • 관리도 : 공정이 안정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공정을 안정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 하기 위한 공정의 통계적관리 방법이다. • 우연원인 : 생산조건이 엄격하게 관리된 상태 하에서 발생되는 어느 정도의 불가피한 변동을 주는 원인을 의미한다. • 이상원인 : 만성적으로 존재하는 원인이 아니라 산발적, 돌발적 발생으로 • 품질에 변동을 주는 원인을 의미한다. • 관리한계 :공정의 현실을 감안한 기준으로 우연원인에 의한 변동의 범위를 말하며, 이상원인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3. 1. 관리도의 개요 (1) 관리도(Control Chart)의 정의 관리도란 품질의 산포(변동)가 우연 원인에 의한 것인지 또는 이상 원인에 의한 것인지를 판별하고, 다시 말하면 공정이 안정상태(또는 관리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공정을 안정 상태로 유지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 하기 위한 공정/프로세스의 통계적 관리 방법이다. (2) 관리도의 도입 • 1924년 Bell 전화연구소의 슈하트(W.A.Shewhart)에 의해 소개 – Shewhart 관리도 • 영국 BS600으로 제정 –“산업표준화와 품질관리를 위한 통계적방법의 적용” • 일본 1954년 JIS Z 9201 (관리도법) 제정 • 한국 1963년 KS A 3201 (관리도법) 제정 – Shewhart의 3σ법 관리도 이용

  4. 질 수 준 UCL CL LCL 1 2 3 4 5 6 7 8 군 번호 1. 관리도의 개요 (3) 관리도의 구성 • 관리선 • ▶ 중심선 : CL (Center Line) • ▶ 관리한계 (Control Limit) • - 관리 상한 : UCL (Upper Control Limit) • - 관리 하한 : LCL (Lower Control Limit)

  5. 1. 관리도의 개요 (4) 품질의 변동 • 산포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할 때 프로세스가 동일하게 일정한 결과를 만들어 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 균일품질이란 산포가 없음을 의미함. • Output이 일정하게 되지 않는 원인인 산포는 고객 불만족의 원인이 된다. • 산포는 모든 프로세스에 존재한다. • 업무 프로세스에서 산포를 측정하고 이해하는 것은 현재의 Output 수준이 어느 정도인가를 알게 하고, 산포를 줄이는 한편 부적합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도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 • Process Output의 변동은 프로세스 과정에서의 Input 및 Process 인자들의 변동에 의해 발생한다. • 작업의 성과, 결과 또는 품질은 시간마다 제품마다 여러 요인에 의하여 변동하기 마련인데 생산 공정에서 어느 정도의 품질변동은 아주 자연스러운, 피할 수 없는 것이다. 공정이 잘 관리된 상태라고 할지라도 다소의 차이가 있을지언정 품질의 변동은 항상 발생하게 된다.

  6. 1. 관리도의 개요 (4) 품질의 변동 • 품질 변동의 요인

  7. 1. 관리도의 개요 (4) 품질의 변동 • 우연원인 (chance cause) 생산조건이 엄격하게 관리된 상태 하에서 발생되는 어느 정도의 불가피한 변동을 주는 원인으로는 • 작업자의 숙련도의 차이 • 작업환경의 차이 • 재료간의 미세한 품질의 차이 • 동일한 생산 설비간의 차이 • 기후,온도,습도,작업시간대 등의 차이 • 작업환경의 진동에 의한 차이 • 전 공정의 허용오차에 의한 차이 • 등을 말한다. • 이 변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제품이나 공정에 • 대하여 근본적인 분석·조사가 필요하며, • 일반원인 혹은 불가피(不可避) 원인이라고도 말한다. 우연원인에 의한 공정은 안정상태에 놓여 있고, 그로 인하여 예측이 가능하다. 예측 가능 시간 크기

  8. 1. 관리도의 개요 (4) 품질의 변동 • 이상원인 (assignable cause) • 가피원인(可避原因)이라고도 하며, 만성적으로 존재하는 원인이 아니라 산발적, 돌발적 발생으로 • 품질에 변동을 주는 원인을 의미한다. • 이상원인은 • 작업자의 부주의 • 불량자재의 사용 • 생산 설비의 이상 • 작업조건의 불이행 • 등에 의해 발생하며, • 비교적 우연원인보다 발견이 쉽고, • 문제해결이 쉽다. • 규명할 수 있는 원인이라고도 한다. 이상원인에 의한 공정은 점들의 움직임이 랜덤하지 않고 어떤 특정한 이상상황을 발생시키며, 그로 인하여 예측이 불가능하다. 예측불가능 시간 크기

  9. 1. 관리도의 개요 (4) 품질의 변동 • 군내변동과 군간변동 • 장기간에 걸쳐 얻어진 데이터에는 업무 부문이든, 제조 부문이든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이 모두 포함하게 됨. • 군내변동 (White Noise) : 각 군 내에서 발생하는 변동 • - 우연원인에 의한 변동으로서 일상업무로서는 통제가 불가능한 변동임. • - 일반적으로 공정의 산포에 영향을 미침. • - 주로 기술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함. • - 공정의 사소한 다수인자 (Trivial Many)에 의하여 영향을 받음. • - 관리도에서 R(범위) 관리도로 확인.

  10. 1. 관리도의 개요 (4) 품질의 변동 • 군간변동 (Black Noise) : 군 사이에서 특성값의 중심값 변동 • - 이상원인에 의한 변동으로서 외부의 요인에 의한 영향으로 통제가 가능한 변동임. • - 일반적으로 목표값에서 평균값이 Shift 되도록 영향을 미침. • - 실제적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공정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냄. • - 공정의 치명적인 소수인자 (Vital Few)에 의하여 영향을 받음. • - 관리도에서 (평균) 관리도로 확인. • 합리적인 군 (Rational Subgroup) - 데이터의 종류와 관계 없이 가능한 짧은 기간 동안에 동질성(同質性)의 조건에서 이루어진(만들어진) Sample 군(群) -> 5M1E가 동일한 조건 * 5M1E : Man, Machine, Material, Method, Measurement, Environment

  11. CL = X 이상 원인 변동 영역 UCL 안정된 Process 변동 영역 (오직 우연 원인만 존재) LCL 이상 원인 변동 영역 1. 관리도의 개요 (4) 품질의 변동 • Process 안정성의 개념 • Process의 Output이 우연 원인으로만 구성 될 때 공정이 안정 상태에 놓여 있다고 정의한다. • 또한 안정이라는 것은 모든 군의 평균치와 범위가 각각의 관리 상,하한 내에 모두 존재하는 • 것을 의미하며, 발생된 변동이 이상 원인이라는 어떠한 증거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 만약 관리도 상에 관리 한계를 벗어나는 점이 있다거나, Data 값의 분포가 무작위로 분포하지 않는 • 경우 즉, 어떤 경향성이 있다거나 하면 이것은 이상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 ※ Process가 안정된 상태이면 어떤 Output이 ±3σ의 안정된 변동 영역을 벗어나는 곳에 측정 값이 놓일 경우는 극히 드물 것임.

  12. 1. 관리도의 개요 (5) 관리 한계 • 관리한계는 공정의 현실을 감안한 기준으로 우연 변동의 범위를 말하며, 이상원인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이 됨. • 관리한계는 통상 3σ한계를 설정하며, 관리한계를 벗어날 확률이 0.27%임을 의미함. • 관리한계의 폭이 좁으면 α위험(생산자 위험)이 커지며, 넓으면 β위험(소비자 위험)이 커진다. ※ 관리한계의 폭에 대해 Shewhart는 3σ한계 즉, (평균)±3×(표준편차)를 선택하였다. • 따라서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여 표준편차에 3배 이상이거나 또는 이하에 데이터가 타점이 되면 • 이상 원인이 작용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13. 1. 관리도의 개요 (5) 관리 한계 • 규격한계와 관리한계 • 규격한계: 품질에 관하여 합격시킬 범위를 가리켜 주는 것으로서, 품질이 그 범위를 벗어나면 그 물품은 불합격으로 한다. • 관리한계: 공정이 안정된 상태에서 가동되고 있는가를 판정하기 위한 범위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관리도에 Plot된 점이 이 범위를 벗어나면, 그 원인을 찾아서 공정에 대한 조치를 강구한다. • 우리 몸에서 비유한다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어떤 상태로 되면 의사의 진료를 받는가를 결정하여 두는 • 것이 ‘관리한계’라고 한다면, 입사시험에서 체력을 측정하고 어느 기준에 달하지 못한 사람은 불합격으로 • 제외하여 버리는 것은 ‘규격한계’와 같다고 할 수 있다. • ‘관리한계’와 구분되는 ‘규격한계’는 고객이나 규제 등의 요구에 의해 설정되는 것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양/불량을 판단하는 기준이며, ‘관리한계’는 공정 수준의 유지 및 향상을 위한 한계라고 할 수 있다.

  14. 1. 관리도의 개요 (6) 관리도의 작성 목적 및 활용 절차 일상 Data 수집 및 분석 YES NO 관리상태 <이상원인에 의한 변동> 예측불가능 시간 <우연원인에 의한 변동> 현장조치 (15%) 예측가능 품질변동 초래하는 이상원인 제거 시간 크기 시스템적 조치(85%) 품질변동을 초래하는 우연원인 제거 공정능력의 향상 및 품질수준의 향상

  15. 1. 관리도의 개요 (7) 관리도의 적용 및 관리상태의 이점 • 관리도 적용초기에 많이 발생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이상원인을 제거하고 바람직한 요인을 유지함으로써 공정능력이 확보되어 괄목할 만한 품질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 관리상태에 있는 공정의 품질에 대해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 • 현재의 공정이 상당히 좋은 수준으로 관리상태에 있으면 검사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 공급자의 제품이 만족할 만한 품질수준으로 관리상태를 보여주면 수입 검사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공급자의 공정에 대하여 품질의 예측이 가능하다. • 최종검사 결과가 만족할 만한 품질수준으로 관리상태를 보이면 소비자에게 보다 확신을 갖고 품질을 보증할 수 있다. • 동일한 제품을 계속 측정하여 측정기구들에 대해 작성한 관리도가 관리상태를 보여 준다면 측정기구 및 측정자를 믿을 수 있게 되며 또한 측정 오차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 실험실 또는 연구 결과의 관리 상태는 제반 실험 조건들을 잘 관리하고 있다는 확신을 주게 된다.

  16. 관리상태의 공정이며, 공정능력도 충분함. (우연원인의 감소에 따른 변동) 공정의 관리 관리상태 (이상원인의 제거) 공정능력 시간 시간 규격하한 규격상한 관리되지 않은 상태 (이상원인 존재) 크기 시간 크기 공정은 관리된 상태이나 공정능력은 부족함 (과도한 우연원인에 의한 변동) 1. 관리도의 개요 (7) 관리도의 적용 및 관리상태의 이점

  17. 2. 관리도의 종류 및 수리(數理) (1) 관리도의 종류 및 선정 –통계에 의한 분류 계량값 계수값 품질 특성값 군의크기 판단 여러 개 한 개 부적합품 부적합 중심선 군 구분 군의 크기 군의 단위 불 일정 불 일정 Me 불가능 가능 일정 일정 관리도 Me-R 관리도 X-R (이동범위) 관리도 관리도 np 관리도 p 관리도 c 관리도 u 관리도 정규분포 이항분포 포아송분포

  18. 2. 관리도의 종류 및 수리(數理) (1) 관리도의 종류 및 선정 –사용 목적에 의한 분류 • 공정의 상태가 어떻게 되어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활용 (공정의 안정상태 여부를 조사) • 공정에 큰 산포를 주는 원인이 어디에 있는가를 분석 • 관리한계(UCL, LCL)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해석용 관리도 * 표준값이 주어져 있지 않은 경우 • 공정을 관리할 목적으로 작성 • 작업을 하면서 관리도에 의거 그 결과를 체크하고, 이상이 나타나면 그 원인을 추구하여 이를 제거하고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활용 • 관리한계(UCL, LCL)를 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 관리용 관리도 * 표준값이 주어져 있는 경우

  19. 2. 관리도의 종류 및 수리(數理) (2) 관리도 용어의 정의 및 기호

  20. 2. 관리도의 종류 및 수리(數理) (3) 관리 한계 계산식 • 관리도의 관리한계 • 관리도

  21. 2. 관리도의 종류 및 수리(數理) (3) 관리 한계 계산식 • 관리도의 관리한계 • 관리도

  22. 2. 관리도의 종류 및 수리(數理) (3) 관리 한계 계산식 • 관리도의 관리한계

  23. 2. 관리도의 종류 및 수리(數理) (3) 관리 한계 계산식 • np, p 관리도의 관리한계 • np 관리도 • p 관리도

  24. 2. 관리도의 종류 및 수리(數理) (3) 관리 한계 계산식 • c, u 관리도의 관리한계 • c 관리도 • u 관리도

  25. 2. 관리도의 종류 및 수리(數理) (3) 관리 한계 계산식 • 관리도 종류별 관리한계 계산식 일람표 (1)

  26. 2. 관리도의 종류 및 수리(數理) (3) 관리 한계 계산식 • 관리도 종류별 관리한계 계산식 일람표 (2)

  27. 2. 관리도의 종류 및 수리(數理) (3) 관리 한계 계산식 • 관리 한계를 계산하기 위한 계수

  28. 3. 관리도를 활용한 공정해석 (1) 관리상태(안정상태)의 판정 • 관리도에서 다음의 두 조건이 동시에 만족될 때 공정은 관리상태 또는 안정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① 모든 점이 관리한계 안에 있을 것. ② 점들의 배열에 습성(버릇)이 없을 것. ※ ①의 경우 구) KS(KS A 3201)의 조건 -연속 25점 모두가 관리 한계 안에 있을 때 -연속 35점 중 34점 이상이 관리한계 안에 있을 때 -연속 100점 중 98점 이상이 관리한계 안에 있을 때 ※ 슈하트(W.A.shewhart)의 조건 -적어도 25점 이상이 관리한계 안에 있을 것.

  29. 3. 관리도를 활용한 공정해석 (2) 관리도의 해석 • 관리상태의 관리도 - 공정의 평균이나 산포가 변하지 않고 계속 유지가 되는 경우. - 이상원인에 의한 이상치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 공정평균이 약간 커졌을 때의 관리도 (표준편차 불변) - 산포의 크기는 일정(거의)하면서 공정의 평균만 커졌을 때. - X 관리도의 CL값 위에 그래프가 그려짐을 볼 수 있다.

  30. 공정평균이 아주 커졌을 때의 관리도 (표준편차 불변) - 산포의 크기는 일정(거의)하면서 공정의 평균이 아주 커졌을 때. - X 관리도의 UCL값 위에 그래프가 그려짐을 볼 수 있다. - 이 때 범위 관리도는 변동이 거의 없음을 볼 수 있다. - 이는 표준편차가 불변이므로 거의 이와 같은 형태의 관리도 가 그려지게 된다. 3. 관리도를 활용한 공정해석 (2) 관리도의 해석 • 공정평균이 경향을 갖고 변하는 경우의 관리도 (표준편차 불변) - 표준편차는 불변이나 공정평균이 경향을 갖고 증가한다. - 이때도 역시 R관리도는 별다른 동요를 보이지 않는다. - 대략적으로 표준편차가 불변하기 때문에, R값의 변화가 없게 나타난다.

  31. 3. 관리도를 활용한 공정해석 (2) 관리도의 해석 • 공정 평균이 랜덤하게 크게 변하는 경우의 관리도 (표준편차 불변) - 표준편차는 변함이 없고 공정 평균이 크게 변하는 경우 - 랜덤하게 발생한다는 것은 공정이 안정이 안되고 있으며, 층별을 통해 원인을 찾아 규명해야 한다. • 공정평균은 일정하고 산포가 커진 경우의 관리도 - 설비의 작업조건의 셋팅에는 비교적 문제가 없이 보이나, 작업자의 정밀도는 나빠진 경우 역시 R관리도의 R값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 작업장의 진동이나 시스템 전반적인 문제의 발생으로 층별 등의 방법으로 문제 해결 아이디어를 찾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32. 3. 관리도를 활용한 공정해석 (2) 관리도의 해석 • 공정평균은 일정하고 산포가 작아진 경우의 관리도 - 그림에서 보는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경우에 산포가 작아지게 되면 군내 변동을 나타내는 R관리도의 값이 작아짐을 볼 수 있다. - 바람직한 결과로 개선 등의 활동으로 우연 원인의 제거에 따른 공정능력의 강화를 보여 준다. - 관리한계의 재계산을 고려해야 하며, 공정 개선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표준화를 실시하고 이러한 방법의 확산 전개를 위해 노력한다.

  33. 3. 관리도를 활용한 공정해석 (3) 규명할 수 있는 원인에 의한 변동의 판정 규칙 –슈하트의 이상 판정 기준 1) 관리한계 초과 - 1점이 영역 A를 넘고 있다. - 1점이 중심선에서 3σ를 벗어난 경우. • 재료의 변화 • 기기의 손상 또는 작업자의 측정 실수 등

  34. 3. 관리도를 활용한 공정해석 (3) 규명할 수 있는 원인에 의한 변동의 판정 규칙 –슈하트의 이상 판정 기준 2) Run 현상 - 9 점이 중심선에 대하여 같은 쪽에 있다. - 중심선의 어느 한쪽 편에 연속되는 9 점이 있는 경우. • 설비보전의 미비 • 작업자 부주의 및 교대 • 원자재의 변화 및 생산 설비의 작업조건 변화 • 작업방법의 변화 등

  35. 3. 관리도를 활용한 공정해석 (3) 규명할 수 있는 원인에 의한 변동의 판정 규칙 –슈하트의 이상 판정 기준 3) Trends 현상 - 6점이 증가 또는 감소하고 있다. - 연속되는 6점이 모두 증가하거나 모두 감소하는 경우. • 점진적 원재료 품질 향상 • 효율적인 보전관리에 의한 생산설비 향상 • 기계, 공구, 시험 장비의 헐거워짐 또는 마모 • 작업자 피로 누적 • 냉각수 온도 변화 등

  36. 3. 관리도를 활용한 공정해석 (3) 규명할 수 있는 원인에 의한 변동의 판정 규칙 –슈하트의 이상 판정 기준 4) 주기 (반복현상) - 14점이 교대로 증감하고 있다. - 연속되는 14점이 교재로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경우. • 측정 시간과 연관된 작업 환경의 변화(오전/오후 등) • 일정한 주기로 특정 부품의 열화 및 교체 등

  37. 3. 관리도를 활용한 공정해석 (3) 규명할 수 있는 원인에 의한 변동의 판정 규칙 –슈하트의 이상 판정 기준 5) Zone Rule (1) - 연속하는 3점 중 2점이 영역 A 또는 그것을 넘은 영역에 있다. - 3점 중에서 2점이 중심선에서 2σ를 벗어나는 경우 (한쪽 편) • 원재료 및 부재료 교체 • 설비의 조건변화와 기능 이상 발생 • 작업자 교체 • 2개 이상의 제품을 하나의 관리도에 작성 등

  38. 3. 관리도를 활용한 공정해석 (3) 규명할 수 있는 원인에 의한 변동의 판정 규칙 –슈하트의 이상 판정 기준 6) Zone Rule (2) - 연속하는 5점 중 4점이 영역 B 또는 그것을 넘은 영역에 있다. - 5점 중에서 4점이 중심선에서 1σ를 벗어나는 경우 (한쪽 편) • 원재료 및 부재료 교체 • 설비의 조건 변화와 기능 이상 발생 • 작업자 교체 • 2개 이상의 제품을 하나의 관리도에 작성 등

  39. 3. 관리도를 활용한 공정해석 (3) 규명할 수 있는 원인에 의한 변동의 판정 규칙 –슈하트의 이상 판정 기준 7) 중심선으로의 접근 - 연속하는 15점이 영역 C에 존재한다. - 15점이 중심선으로부터 1σ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양쪽 편) • 원재료 및 부재료 교체 • 2개 이상의 제품을 하나의 관리도에 작성 • 측정자가 Data를 인위적으로 조정 • 측정 계측기의 교체 등 ⇒ 품질향상 결과에 의한 것이면 관리한계를 수정해야 함.

  40. 3. 관리도를 활용한 공정해석 (3) 규명할 수 있는 원인에 의한 변동의 판정 규칙 –슈하트의 이상 판정 기준 8) Zone Rule(3) - 연속하는 8점이 영역 C를 넘은 영역에 있다. - 8점이 중심선으로부터 1σ 밖에 있는 경우 (양쪽 편) • 원재료 및 부재료 교체 • 2개 이상의 제품을 하나의 관리도에 작성 • 설비의 기능이상 및 열화 발생 • 작업자 변경 등

  41. 이상상태 이상 있음 이상 없음 변화 있음 4. 관리도의 작성방법 (1) 관리도 작성 및 처리 Flow 1. 관리대상 공정 : 기계, 부품 … 항목 : 길이, 시간, 생산량 … 2. 관리도 종류 - 계량값 : , , , - 계수값 : np, p, c, u 3. K=20~25, n=4~5 ( , ) 계수치의 경우는 k=20~25, 부적합품 수 또는 부적합 수가 1~5개가 포함될 수 있도록 n을 결정 5. 관리한계는 점선 사용 6. 관리한계 이탈, 점의 배열의 습관성을 파악 6-1. 이상이 있을 경우 원인에 대한 조치를 한 후 관리한계 재 계산

  42. 4. 관리도의 작성방법 (1) 관리도 작성 및 처리 Flow 7. 이상이 없을 때 (관리상태) 관리한계를 연장하여 공정 관리용으로 사용 (관리한계는 일점쇄선 사용) 9. 이탈 점 및 습관성 점에 대한 해석 9-1. 이탈 점 등 이상이 있는 경우는 당연히 조치를 해야 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품질개선 자료로 삼는다. 11. 공정의 변화에 따라 악화될 경우 이전의 Data로 다시 분석하고, 공정평균 및 산포의 변화에 따라 관리한계를 재 계산 (축소)하여 관리함. 12. 공정에 이상이 없어도 일정한 주기로 관리한계를 재 계산할 필요가 있다. 이상상태 이상 있음 이상 없음 변화 있음

  43. 4. 관리도의 작성방법 (2) 계량값 관리도 - 관리도 • 계량치 관리도의 대표 • 관리도 중에서 가장 많은 정보를 알려주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 - 관리도:군의 평균치 변화, 군간의 변화를 보기위해 사용 - R 관리도:군내의 산포의 변화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 • 관리도의 용도 - 공정 분석 → 현재의 공정이 규격에 맞는 제품을 생산할 능력이 있는가에 대한 판단 → 새로운 규격의 설정이나 변경에 대한 사항 → 검사의 기준이나 절차를 새로 정하거나 변경하는데 필요한 정보의 수집 등 - 공정관리 - 제품에 대한 품질의 보증 수단 • * Use Xbar and R Chart to draw a control chart for subgroup means (an Xbar chart) • and a control chart for subgroup ranges (an R chart) in the same graph window.

  44. UCL = D R 3 . . . . . . . . . 4. 관리도의 작성방법 (2) 계량값 관리도 - 관리도 절차 주요 내용 절차 주요 내용 -관리하려는 항목에 대해 n=4~5로 k=20~25의 Data를 수집한다. R 관리도 Data를 모은다 CL = R 관리한계 계산 UCL = D R 4 -데이터 표 작성 그룹 번호 측정치 계 평균 범위 * A2, D3, D4는 샘플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계수 값임. X1 X2 X3 X4 X5 그룹마다 시료의 평균,범위를 계산 1 2 UCL 3 . 관리선 작성, 데이터를 타점하고 관리도를 완성 . . . . 23 . . . X . . 24 25 LCL X, R 를 계산 X UCL R X 관리도 R CL ( Center Line ) = X UCL ( Upper Control Limit ) 관리한계 계산 = X + A R 2 -기간,작성자,공정명,측정기 등을 기입한다 LCL ( Lower Control Limit ) 필요사항 기재 = X - A R 2

  45. 4. 관리도의 작성방법 (2) 계량값 관리도 - 관리도 : Excel 활용

  46. 4. 관리도의 작성방법 (2) 계량값 관리도 - 관리도 : 미니탭 활용 [예제]어떤 전기조립품을 만들어내는 전자회사에서 완성품의 잡음을 측정하여 평균과 산포를 관리하고자 한다. 각 로트에서 5개의 시료를 뽑아 잡음레벨을 측정한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관리도를 그리고 관리상태인가를 판정하라. Worksheet 1 … Stat > Control Charts > Xbar-R

  47. 4. 관리도의 작성방법 (2) 계량값 관리도 - 관리도 측정 Data가 있는 Column 군의 크기 Data가 Unstack형일 때 사용 기존에 알고 있는 평균,표준편차 입력 입력 값에 의해 관리한계가 그려짐 지정하는 그룹에 의해 독립적으로 관리한계가 그려짐 (작업자별,설비별,월별,시간대별 등으로 관리도 표시)

  48. 4. 관리도의 작성방법 (2) 계량값 관리도 - 관리도 • Test를 선택한 경우 관리도의 타점에 대해 이상값을 감지할 수 있도록 Test 를 지정 8원칙 모두를 선택할 경우 실행하고자 하는 Test만 선택할 경우

  49. 4. 관리도의 작성방법 (2) 계량값 관리도 - 관리도 • Estimate를 선택한 경우 • 모수 추정 시 빼고 싶은 Data를 지정 • - 관리한계를 이탈한 군을 제외하여 • 관리한계를 구할 경우 해당 군 번호를 • 입력. (군 번호 사이는 한 칸 띄움.) σ를 추정하는 방법

  50. 4. 관리도의 작성방법 (2) 계량값 관리도 - 관리도 • Stamp를 선택한 경우 관리도의 X축에 tick label의 열을 추가할 수 있다. • Options을 선택한 경우 • BOX-COX변환을 선택할 수 있다. • Data가 비정규분포인 경우 BOX-COX 변환을 통해 정규성으로 유도한다. • 관리하는 σ 한계를 지정할 수 있다. • 3σ 한계로 관리를 할 경우 입력이 불필요. • 2σ 한계로 관리를 할 경우 2를 입력.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