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4

체육교과와 학습자의 이해

체육교과와 학습자의 이해. 2014 년 9 월 16 일 이 안 수. 1. 교사라는 직업시장. 직업시장 통계 고용된 교사의 수와 교원자격증을 추구하는 예비 교사의 수 교사자격증에 따른 수요와 공급 4.5 million(U.S.)-(Bureau of Labor Statistics, 2010) Good to excellent. 2014 OECD 교육지표.

ilori
Download Presentation

체육교과와 학습자의 이해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체육교과와 학습자의 이해 2014년 9월 16일 이 안 수

  2. 1. 교사라는 직업시장 • 직업시장 통계 • 고용된 교사의 수와 교원자격증을 추구하는 예비 교사의 수 • 교사자격증에 따른 수요와 공급 • 4.5 million(U.S.)-(Bureau of Labor Statistics, 2010) • Good to excellent

  3. 2014 OECD 교육지표 •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18.4명, 중학교 18.1명, 고등학교 15.4명으로 OECD 평균(초 15.3명, 중 13.5명, 고 13.8명)보다 많으나,전년대비 모든 교육단계에서 감소(초 1.2명, 중 0.7명, 고 0.4명) • 학급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25.2명, 중학교 33.4명으로 OECD 평균(초 21.3명, 중 23.5명)보다 많으나,전년보다 감소(초 1.1명, 중 0.6명) • 초등학교 교사가 가장 많이 분포한 연령대는 30~39세(38%)로 OECD 평균(30-39세, 40-49세 각각 28%)보다 젊고, 50세 이상 교사의 비율(초 16%, 중 21%, 고 26%)도OECD 평균(초 30%, 중 34%, 고 38%)보다 낮음 • 미국달러 구매력지수(PPP : Purchasing Power Parity) 기준 국·공립학교 초임 교사의 연간 법정 급여(초 $28,591, 중 $28,485, 고 $28,485)는 OECD 평균(초 $29,411, 중 $30,735, 고 $32,255)보다 낮으나, • - 15년차 교사의 연간 법정 급여(초 $50,145, 중 $50,040, 고등 $50,040)는 OECD 평균(초 $39,024, 중 $40,570, 고 $42,861)보다 높음

  4. 교사라는 직업을 구하는 기술과 전략 • 4가지 설명(부적당한 준비) • 1. 충분한 시간 투자를 하지 안음 • 2. 잘못된 전문가(정보 출처)의 이야기를 들음 • 3. 교사라는 직업과 일반 직업과의 혼돈 • 4. 시간의 변화를 인식하지 못함

  5. 자기 자신을 앎(know yourself) • 질문: 자기 자신에 관하여 이야기 해봐라 • 답: 별로 말할 것이 없음

  6. Portfolios • Table of contents • Resume • Statement of philosophy • Lesson plans • Photographs of classes • Materials from lessons you have taught • Lists of accomplishments • Student evaluations • Reflections, inspirational quotations, or poetry • Autobiography • Evaluation forms completed by student teacher supervisors • List of references • Letter of recommendation • Official documents

  7. 2. 체육 교육의 현재와 체육과 정체성 • 체육(physical education) • 학교 체제에서 교육되고 있는 교과(subject)중의 하나 • 체육을 교육하는 교과의 명칭 • 10개 교과가 학교에서 모든 학생에게 공통적으로 가르쳐지도록 의무화 • 이 교과들 중 높은 우위를 차지하는 교과들이 존재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열악한 위치에 놓인 교과(체육은 후자에 속하는 교과) • 체육교과의 위기 • 전세계적인 추세 • 수업 시수의 감소, 열악한 교육환경, 체육 예산의 감소, 주변교과의 위치 • 체육교사들에게 많은 상실감과 위축감을 제공하는 원인

  8. 체육 교과 위기의 원인(Ross, 2001) • 체육교사들이 체육과가 어떤 특성의 교과인지, 무엇을 가르치는 교과인지, 어떤 역할을 하는 교과인지 등에 관한 오해, 오개념, 무인식, 불충분한 지식으로 기인된 것이 더 큰 문제 • 체육관계자들이 체육의 좋은점 들을 홍보에 미흡 • 건강 및 체력 증진을 도모, 지적발달, 사회성 발달, 도덕성 발달을 증진하는 교과---나빠짐(도구교과임을 스스로 인정하는 결과) • 근거를 제시하거나 과학적인 증명을 하지 못하기 때문 • 체육과가 무엇을 가르치는 교과이고, 교과로서의 진정한 가치와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자신감과 확신감을 제공 못함

  9. 체육의 의미 • 의미-체육 혹은 신체 활동(physical activity)에 관한 관점 • 비 활동적인 사람들은 규칙적인 활동에 의해 건강과 행복을 향상 시킬 수 있음 • 건강에 대한 신체활동의 이점은 크게 노력을 요구 하지 않음(1시간 정도의 창문 청소; 정원, 걷기 등) • 건강에 대한 큰 신체활동의 이점은 신체활동의 양(강동, 빈도,지속시간)을 증가 시킴으로써 달성 • 규칙적인 신체활동-건강을 향상 • 조기 사망 위험 감소 • 심장병으로 인한 조기 사망 위험 감소 • 당뇨병에 걸릴 위험 감소 • 고혈압 위험 감소

  10. 규칙적 신체활동-청소년 • 근력과 지구력 향상 • 건강한 근육과 뼈 형성 • 체중 조절 • 불안과 스트레스 감소와 자긍심(self-esteem) 증가 •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 향상

  11. 평생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주요 원칙 • 평생 동안 신체활동에 즐겁게 참가해야 한다고 강조 • 다양한 나이와 능력 적합한 다양한 비경쟁적 활동을 제공 • 신체적으로 활동적일 수 있도록 필요한 기술과 자신감을 제공

  12. 5가지 영역(체육의 기본 목적으로서의 결과-신체적으로 교육된 사람) • 다양한 신체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된 기술 • 공간 인지의 개념을 사용하여 움직임 • 다양한 움직임 기술에서 자신감을 표시 • 개인적으로 그리고 다른 사람과 같이 다양한 움직임 기술의 결합에서 자신감 표시 • 많은 다양한 신체활동 형태에서의 자신감 표시 • 새로운 기술을 어떻게 배우는지 배움 • 신체적으로 건강 • 체력을 평가, 달성, 그리고 지속 • 체력 원리와 일치하게 안전한 건강 프로그램 디자인 • 규칙적인 신체활동에 참가 • 적어도 주 3회 신체활동에 참가 • 평생 신체활동의 선택 그리고 규칙적인 참가 • 신체활동의 장점을 이해 • 선택된 신체활동에 대한 규칙, 전략, 그리고 적당한 행동을 이해 • 신체 활동이 즐거움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이해 • 운동 기술 발달에 원리 그리고 개념의 적용 • 신체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평생 건강 추구에 중요한 역할을 인정 • 신체활동 참가로 인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감사

  13. 학생들에게 영향을 주는 사회적인 요인 • 사회의 급격한 변화-청소년들에게 부정적인 영향(가치 그리고 도덕의 변화) • 가정의 파괴-이혼, 죽음, 그리고 십대의 출산 • 약물 남용-담배, 술, 그리고 부정한 약 • 학교 폭력과 자살-원인(왕따, 학업, 그리고 잠 그리고 식사와 같은 신체적인 문제) • 아동 학대-상처 혹은 다른 신체적 부상 포함 • 문제 청소년

  14. 모든 학생들의 필요를 충족 • 남자 vs. 여자 • 낮고 vs. 높은 기술의 학습자 • 재능 있는 학습자 vs. 느린 학습자 • 불편한 학습자 vs. 정상적인 학습자 • 전략 • 개인차가 존중되는 환경 준비 • 실패에 공헌하는 연습 지양 • 학생들의 자신감 증진을 도움 • 개인 보조와 학생들의 활동이 지속 •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그룹 • 대부분 신체활동 혹은 스포츠-수정

  15. 학생의 개인차(individual student differences) • 김은 부모의 수입이 낮은 것으로 알려진 지역에서 학교를 다녔으나, 상류층 지역의 학교로 전학을 하게 되었다. 전학 첫날, 체육 수업시간에 필수적인 하얀 운동복 그리고 하얀 운동화를 착용 하는 것을 검사하였다. 그러나 김은 지난 학교에서 운동복과 운동화 착용을 의무화 하지 않았기 때문에 준비를 할 수 없었으며, 또한 매주 신발과 옷의 청결을 유지 하기 위하여 씻어야 한다는 것에 스트레스를 받았다. 김은 이런 조건을 충족하는 어려움을 가질 것이라 생각 했다. • 김은 중학교 공학 3학년 학생들의 농구 시합을 가르치기 위하여 수업을 조직하였다. 그는 학생들의 능력에 걱정이 되어, 농구 능력에 따라 상, 중, 하위 그룹으로 나누기로 하였다. 그러나 어떤 여학생들은 다른 2 능력 그룹에서 시합을 하기를 원했다. 그래서 잠시 생각을 한 후 그들에게 다른 그룹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16. 사회 경제적 지위(SES: socioeconomic status) • 부모의 수입이 학생의 학습에 영향 • 높은 SES 부모: 학교 문제에 더 많은 관심 • 낮은 SES 부모: 교사와의 관계에 자신감 결여(부모의 중도 탈락) •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 상류>하류 • 효과적인 교사 • 사범 교육에 대한 암시 • 낮은 SES 지역에 위치한 학교에서의 경험 • 대학과 학교 사이의 협력

  17. 성(gender) • 전통(남-직업 역할 제공; 여-가사활동의 지속) • 미국-1972년 “Title IX”(체육에서 남성과 여성이 평등) • 성 역할 차이 존재 • 남성-수학과 과학에 관련한 직업을 부모나 교사에 의해 더 추구 • 여성-깔끔함이나 숙제의 완성에 대한 칭찬 • 체육(동성 혹은 혼합 학급) • 초등학교-남녀가 분리 • 중학교-여자(활동적이고 공격적인 활동에 적극적이지 못함) • 사범교육에 대한 암시 • 성 차이에 대한 현실과 오류에 대한 연구를 예비교사 혹은 교사에게 정보를 제공 • 남성 중심의 스포츠 프로그램의 구조를 검토

  18. 교사의 기대(teacher expectations) 인상 단서: 지능, 기술, 성 개인의 지각 학생 행동 수행 기대 학생의 지각과 행동의 해석 교사/코치 행동

  19. 학습된 무력함(Learned helplessness) • 교사의 부정적 기대-과제에 대한 성공 기대 감소 • 피험자-개 • 학교: 장기간 부정적 기대가 지속-스스로 과제에 대한 것을 포기 • “I can’t do it” • 교사-학생의 노력(성공의 기회)

  20. 수업철학과 체육교육과정사조

  21. 가치 지향 설문지(Value Orientation Inventory, Ennis & Chen, 1993) • 지시사항 • 세트 1 –세트 18 (90문항) • 세트에 있는 각각의 문항을 읽고 수업을 계획하고 가르치는데 가장 중요한 진술문일때 “5”를, 가장 중요하지 않을 때에는 “1”를 적음 • 각각의 세트에 5개의 문항이 들어 있음: 각각의 세트에 1에서 5사이의 숫자를 하나씩 다른 숫자를 문항에 기재

  22. 세트 1: 1. 나는 게임과 스포츠에서 효율적인 수행에 대한 규칙과 전략을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2. 나는 팀의 개인 능력과 목적 사이에 균형을 찾기 위하여 학생들을 안내한다. 3. 나는 학생들에게 파괴적인 행동이 배우고자 하는 다른 능력을 제약한다고 가르친다. 4. 나는 독특한 능력과 일치하는 목적을 선택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5. 나는 주어진 상황의 요구에 근거하여 움직임과 기술을 수정함으로써 문제 해결을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세트 2: 6. 나는 수업 내용을 생산적으로 하기 위하여 혼자 그리고 그룹 상황으로가르친다. 7. 나는 수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협력하도록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8. 나는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과 관련하여 과정을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9. 나는 학생들이 가치를 두고 즐길도록 과제를 선택하도록 가르친다. 10. 나는 기술과 운동 과제를 수행할 때 효과적으로 움직이도록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23. 세트 3: 11. 나는 신체 크기, 키, 그리고 무게에서 차이가 수행에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12. 나는 학생들이 최고로 잘하도록 격려한다. 13. 나는 수업 급우의 필요에 균형을 맞추도록 학생들을 가르친다. 14. 나는 수업에서 소개한 기술, 스포츠, 운동 활동을 연습하도록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15. 나는 수업에서 학생들의 노력에 근거한 평가를 한다. 세트 4: 16. 나는 게임, 스포츠, 혹은 운동 활동에서 효과적인 수행에 대하여 필요한 기본적인 개념을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17. 나는 새로운 기술 혹은 전략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인내심을 가지도록 학생들에게 촉구한다. 18. 나는 기술, 스포츠, 그리고 운동 활동에서 효율적인 수행을 인정하도록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19. 나는 평생 참가를 낳기 위하여 도전적인 활동을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20. 나는 책임감을 키우기 위하여 과제를 완성하도록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24. 세트 5: 21. 나는 수업 활동에 대한 개인 선호를 표현하기 위하여 각각의 학생들에게 허용한다. 22. 나는 모든 학생들이 운동할 수 있도록 똑 같은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규칙에 관하여 주의 깊게 생각하는 것을 학생들에게 가르친다. 23. 나는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것을 찾게 하기 위하여 다른 활동을 선택하도록 수업을 계획한다. 24. 나는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움직임, 기술, 그리고 운동 개념을 스포츠나 운동 프로그램을 발달 하도록 적용하도록 가르친다. 25. 나는 해부학, 운동학, 그리고 운동생리학과 같은 영역에서 움직임과 운동에 관한 평가가 적절한 정보를 포함한다. 세트 6: 26. 나는 학생들에게 그들 팀의 모든 구성원들의 능력을 사용하도록 가르친다. 27. 나는 학생들에게 그들 자신의 가장 큰 이해를 얻기 위하여 다양한 활동에 참가 하도록 격려한다. 28. 나는 학생들에게 스포츠나 게임을 즐길도록 하는 기술을 가르친다. 29. 나는 학생들에게 파트너의 움직임을 관찰하게 하고 수행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가르친다. 30. 나는 학생들이 때때로 그들 급우들과 문제에 관하여 이야기를 하며 해결을 위하여 도움을 준다.

  25. 세트 7: 31. 나는 학생들에게 어떻게 각각의 신체 활동이 그들의 운동 혹은 기술 수행에 공헌 하는지 과제를 순서를 정한다. 32. 나는 학생들에게 다른 학생들과 이야기를 할 때 긍정적으로 지지적으로 되도록 가르친다. 33. 나는 학생들에게 다른 사람과 참가 하기 위하여 게임, 스포츠, 운동 활동에 가르친다. 34. 나는 학생들에게 그들에게 중요한 활동을 선택하도록 가르친다. 35. 나는 학생들에게 그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들 지식을 공유하도록 가르친다. 세트 8: 36. 나는 학생들에게 그룹 목적이 개인의 필요보다도 더 중요하다는 것을 가르친다. 37. 나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기술, 게임, 그리고 운동 활동을 즐기기 위하여 가르친다. 38. 나는 학생들에게 학교를 마친 후 참가 할 수 있는 활동을 배우도록 가르친다. 39. 나는 학생들이 성공할 수 없을 때 조차도 수행을 하도록 가르친다. 40. 나는 학생들에게 어떻게 그들의 실수를 수정하는지 가르친다.

  26. 세트 9: 41. 나는 학생들이 움직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몇몇의 움직임 혹은 기술을 결합 하도록 가르친다. 42. 나는 학생들에게 수업이 나아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협력하도록 가르친다. 43. 나는 학생 누구나 건강한 삶을 유도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운동 그리고 움직임 원리와 개념에 관하여 가르친다. 44. 나는 학생들에게 미래에 배우고자 하는 활동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도록 가르친다. 45. 나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가르친다. 세트 10: 46. 나는 수업이 사회적 상호작용, 개인의 성공과 효과적인 수행이 반영되도록 강조되는 계획을 한다. 47. 나는 학생들에게 활동적인 건강한 삶의 스타일에서 움직임, 기술, 그리고 운동의 혜택을 인정하도록 가르친다. 48. 나는 학생들이 초기 수업 단위에서 배워져야 하는 새로운 수행 기술과 지식을 더하도록 수업을 계획한다. 49. 나는 학생들이 전에 해보지 않았던 새로운 활동을 경험하도록 격려한다. 50. 나는 학생들이 수업에서 능력이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게 하고 도움을 필요로 하는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도록 가르친다.

  27. 세트 11: 51. 나는 학생들에게 야외 수업이 있을 때 자연 환경을 즐기고 보호하도록 가르친다. 52. 나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기술을 배우도록 도전한다. 53. 나는 학생들이 그들의 움직임, 기술, 그리고 운동 수행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피드백의 많은 형태를 사용하도록 가르친다. 54. 나는 학생들이 싸움보다는 문제에 대한 대화에 의하여 수업 환경을 나아 지도록 가르친다. 55. 나는 학생들이 기술이 있고 건강해 지도록 가르친다. 세트 12: 56. 나는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움직임 그리고 기술을 수행하도록 가장 효과적인 방식을 가르친다. 57. 나는 학생들에게 활동에 관하여 독립적으로 가르친다. 58. 나는 학생들에게 과제 난이도가 점차 증가 할수록 수행이 향상 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친다. 59. 나는 학생들에게 그들이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활동을 찾도록 가르친다. 60. 나는 수업에서 줄, 팀 그리고 대원들이 남자 그리고 여자가 혼합하도록 계획한다.

  28. 세트 13: 61. 나는 학생들에게 다른 성 그리고 다른 능력의 학생들과 긍정적으로 협력 할 수 있도록 가르친다. 62. 나는 학생들에게 그들이 유용한 것을 찾는 활동을 하도록 가르친다. 63. 나는 새로운 기술이 우리가 벌써 배웠던 기술과 유사한 방식으로 학생들에게 지적한다. 64. 나는 수업에서 학생들의 구체적인 흥미와 능력을 나타내도록 활동을 포함한다. 65. 나는 학생들에게 운동 기술 그리고 움직임의 기본이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가르친다. 세트 14: 66. 나는 학생들에게 그들의 장점과 단점을 구별할 수 있도록 테스트 하는 것을 가르친다. 67. 나는 학생들이 신체적으로 그리고 감정적으로 안정하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는 수업 환경을 만들어 낸다. 68. 나는 학생들이 구체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그들 자신의 수행을 모니터하고 향상 시키도록 가르친다. 69. 나는 학생들에게 수업 사회 내에서 책임감을 가정 하도록 안내한다. 70. 나는 학생들에게 왜 기술이 구체적인 테크닉을 사용하면 최고의 수행을 하는지 가르친다.

  29. 세트 15: 71. 나는 다른 문화 배경으로부터의 학생들이 서로서로 인정하도록 그룹 활동을 계획한다. 72. 나는 학생들에게 매일 목표에서 수업 시간을 게임, 기술, 운동 활동을 연습하도록 강조되어 지도록 요구한다. 73. 나는 학생들의 관심에 관하여 그들과 이야기를 하며 그리고 그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느끼는 활동에 참가하도록 돕는다. 74. 나는 학생들이 다른 사람의 역량 뿐만 아니라 자신의 역량에 관하여 배울 수 있도록 교과과정에 균형을 맞춘다. 75. 나는 학생들에게 적당한 게임과 운동 상황에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가르친다. 세트 16: 76. 나는 학생들에게 수행 하기에 적당한 방식을 발견하도록 많은 대안을 탐구하도록 가르친다. 77. 나는 학생들에게 그들에게 의미있는 내용에 관하여 질문을 하도록 가르친다. 78. 나는 학생들에게 그들 신체에 관한 운동의 긍정적 효과에 관하여 가르친다. 79. 나는 학생들에게 그들 자신의 능력을 더 낫게 하기 위하여 어려운 과제에 노력하도록 가르친다. 80. 나는 학생들에게 그들 모두에게 정당하지 않는 규칙을 만들어 낼 때, 멈추고 어떻게 모두에게 정당하도록 바꾸는지를 가르친다.

  30. 세트 17: 81. 나는 학생들 모두에게 정당하고 안전한 그들 자신의 규칙을 발달 시키도록 가르친다. 82. 나는 학생들에게 간단한 움직임을 결합 시킴으로써 복잡한 기술을 수행하도록 가르친다. 83. 나는 학생들에게 그들 팀의 학생들의 필요성에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최고의 옵션 혹은 전략을 선택하도록 가르친다. 84. 나는 학생들에게 움직임, 기술, 그리고 운동 과제를 완성 시키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일하도록 가르친다. 85. 나는 학생들이 그들 운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적의 빈도, 강도, 그리고 지속수준에서 운동하도록 계획한다. 세트 18: 86. 나는 학생들이 기술, 게임, 혹은 운동 과제를 연습하도록 계획한다. 87. 나는 학생들이 어떻게 학습에 대한 가장 중요한 요소를 강조하기 위하여 움직임, 기술, 운동 과제를 세분하는지 가르친다. 88. 나는 학생들이 적절한 방식에서 우리가 해야 하는 것 그리고 왜 우리가 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나에게 그리고 다른 급우에게 질문하도록 가르친다. 89. 나는 학생들에게 그들 팀을 돕기 위하여 수업에서 배워야 하는 기술을 사용하도록 가르친다. 90. 나는 학생들이 몇 가지 옵션 사이에서부터 가장 도전적이고 적절한 과제를 선택하도록 계획한다.

  31. 내용숙달: 1, 10, 14, 18, 25, 28, 33, 37, 43, 47, 55, 56, 65, 70, 72, 78, 85, 86 • 학습과정: 5, 8, 15, 16, 24, 29, 31, 40, 41, 48, 53, 58, 63, 68, 75, 76, 82, 87 • 자아실현: 4, 9, 12, 20, 21, 27, 34, 39, 45, 49, 52, 57, 64, 66, 73, 79, 84, 90 • 생태통합: 2, 6, 13, 19, 23, 26, 35, 38, 44, 46, 51, 59, 62, 67, 74, 77, 83, 89 • 사회개혁: 3, 7, 11, 17, 22, 30, 32, 36, 42, 50, 54, 60, 61, 69, 71, 80, 81, 88

  32. 점수 낮음 중간 높음 • 내용숙달:1-48.92 48.93-64.05 64.06-100 • 학습과정:1-46.62 46.63-59.37 59.38-100 • 자아실현:1-46.45 46.46-58.14 58.15-100 • 생태통합:1-44.51 44.52-55.44 55.45-100 • 사회개혁:1-51.08 51.09-65.93 65.94-100

  33. 체육 교육과정 • 5가지의 체육교육과정 사조 • 내용숙달(disciplinary mastery) • 자아실현(self-actualization) • 사회개혁(social reconstruction) • 학습과정(learning process) • 생태통합(ecological integration)

  34. 내용숙달중심 사조 • 교육 내용의 숙달, 중요한 지식의 습득, 또는 학문적 지식의 통합 등에 최우선 • 초등학교 학생: 이동운동, 던지기, 차기, 체조, 무용, 게임활동 등 기초 운동수행과제를 제대로 숙달 • 중등학교 체육 교과내용 숙달은 농구, 축구, 야구, 육상, 체조 종목 등의 스포츠 기능 혹은 운동수행 향상 • 평가는 한 가지 기술 테스트 등 효과적인 동작수행에 바탕

  35. 자아실현중심 사조 • 개개 학생의 주관의 성장과 자기관리 능력의 개발을 목표 • 자아 실현 중심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감과 긍정적 자아개념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스포츠 종목을 많이 사용 • 이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어려운 기술을 해보라고 하거나, 자신이나 타인을 위하여 책임감을 가져 보라고 하거나, 다른 이와 함께 잘 일을 해보라고 도전심을 불러 일으킴으로써 학생의 성장과 성숙을 이끌어 내려고 함 • 평가는 자신에 대한 이해와 성장이 강조

  36. 사회개혁중심 사조 • 사회에 가장 강조점을 두고 있으며, 학교는 미래에 대한 책임감을 지니고 있으며, 교육하는 이는 보다 나은 사회를 창조하는데 학교교육이 공헌 해야 한다고 생각 • 체육교육과정을 통하여 사회 개혁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는 체육학자들은 없지만, 사회의 근본적인 개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작은 규모지만 이같은 종류의 개혁이 많이 그리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37. 학습과정중심 사조 • 각 교육과정에서 지식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중요한 교육과정 관심사이며, 학교 교육과정이 모든 중요한 지식을 다 가르치기 불가능 • 그래서 학습을 지속시켜주는 과정적 기술을 배우는 것이 점점 중요 • 학습과정중심 체육교사는 기술, 스포츠, 그리고 체력의 학습을 어떻게 단계적으로 실행해 나가는 가에 대하여 명확히 이해하며, 탐구 중심적인 방식으로 운동문제를 구성하는 수업기법 • 학생들은 학습과정의 질을 기준으로 평가

  38. 생태통합중심 사조 • 학생이 속한 특정한 공간과 시간 속에 위치한 환경 속에서 개인의 총체적 통합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자아실현 사조의 한계를 극복 • 즉, 세계는 그것을 이루는 모든 요소들간의 상호의존관계 • 생태통합중심 사조를 지지하는 체육교사들은 다양한 종목 및 내용에 광범위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특정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필요한 활동을 선정할 수 있는 능력 • 이들의 교육과정 계획은 적절한 때에 적절한 학생에게 가장 올바른 내용을 찾아 전달 • 평가는 지식에 대한 총체적인 관점을 습득할 수 있는 방법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