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0

아이들이 위험해요 !

유아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 아이들이 위험해요 !. 조 원 : 이윤경 , 고문하 , 김은선 , 홍리나 , 복현경 담당교수 : 황성원 교수님. 목 차. ① 유아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의 목적 ②유아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의 목표 ③유아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의 내용 ④유아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의 결론 및 평가 ⑤참고 문헌. 유아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의 목적. 사고의 위험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 유아들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함

india-kelly
Download Presentation

아이들이 위험해요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유아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 아이들이 위험해요! 조 원: 이윤경, 고문하, 김은선, 홍리나, 복현경 담당교수: 황성원 교수님

  2. 목 차 ①유아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의 목적 ②유아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의 목표 ③유아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의 내용 ④유아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의 결론 및 평가 ⑤참고 문헌 유아안전관리

  3. 유아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의 목적 • 사고의 위험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 유아들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함 • 부모나 교사는 물론, 모든 성인들이 유아들을 철저히 보호, 지도하고 그들의 안전을 관리 해야함 • 사람이나 사물에 잠재하는 위험 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그것을 신속히 제거하여 사고나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있다. 유아안전관리

  4. 유아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의 목표 • 유아의 정상적 발달을 도와 유아가 지닌 능력을 최대한 계발하도록 하는 것 (유아의 안전이 보장될 때 가능) • 유아와 관련된 각종 사고로 인한 재해를 미연에 방지키 위해 안전한 시설 설비를 갖춤 • 유아를 위한 안전교육은 유아의 일상생활에서 자신 및 집단의 안전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이해시키고 길러주어 자신과 타인의 생명을 존중하는 것 •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습관을 길러주어야 함 유아안전관리

  5. 유아 안전관리 및 응급처치의 내용 1 안전관리의 개념 2 안전관리의 필요성 및 중요성 3 발달적 특성에 따른 안전사고 및 대처방안 4 우리나라와 선진국의 비교 4 응급처치의 방법 유아안전관리

  6. 유아 안전관리란 뭘까요? • 사전적 의미 사고를 야기시킬 수 있는 위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인간의 행동을 수정하거나, 물리적으로 환경을 조성한 조건이나 상태를 말함 • 평소의 생활을 통하여 신체적 부상이나 때로는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는 모든 요인을 미리 알려주고, 사전에 예방하게 함으로서 한 사람의 생명도 잃지 않고, 한 사람도 다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 • 상해, 사망 또는 재산의 피해를 일으키는 불의의 사고를 예방하는 것 안전행동에 기여하는 습관, 기능, 태도 및 지식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침 유아안전관리

  7. 유아에겐 꼭 필요하고 중요해요! • 유아들은 위험상황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위험을 예측하는 능력이나 신체조절 능력이 미숙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안전한 실내/외 환경을  제공하여 정해진 규칙 내에서 자유롭고 즐거운 경험을 제공 • 교사의 주의 깊은 관찰과 일관성 있는 지도를 통해 아동 스스로 안전을 지킬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함 • 발생 가능한 불의의 사고에 대비하여 사고발생시 처리절차나 대비책을 마련하여 신속, 정확히 처리함 유아안전관리

  8. 우리나라 안전관리 실태 ●사망사고는 크게 감소 3일 보건복지부, 소방방재청, 소비자보호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14세 이하 어린이의 사망사고는 767명(잠정치)이다. 하루에 평균 2명의 어린이가 사고로 숨진 셈이다. 이는 2002년 1210명에 비하면 42.2%나 줄어들었다. 참여정부 들어 어린이 사망사고가 많다는 오명을 씻기 위해 2003년 어린이날 ‘어린이 안전지키기 원년’으로 선포했다. 이 결과 정부차원에서 행정력을 집중, 어린이 사망자를 줄이는 데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다. 1998∼2002년 사고로 숨진 국내 어린이 평균 사망률은 10만명당 14.8명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멕시코(17.1명)에 이어 2위를 기록했었다. 어린이 사망사고는 여전히 교통사고가 가장 많다. 지난해에도 어린이 사망자의 46.5%인 358명이 교통사고로 숨졌다. 유아안전관리

  9. 우리나라 안전관리 실태 ●생활 주변 사고는 20% 증가 정부의 관심으로 사고 사망자를 줄이는 데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지만 안전사고는 전년대비 20.8%나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소비자보호원에 따르면 지난 1∼2월 2개월 동안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으로 수집한 어린이 안전사고를 분석한 결과 4040건이 접수돼 지난해 3345건보다 20.8%나 증가했다. 사고 어린이의 성별로 보면 남자가 60.9%인 2461건의 사고를 당해 여자 어린이보다 1.5배 정도 많았다. 계절별로는 여름철이 32% 1293건을 차지했다. 이어 봄철 29.7%인 1201건, 가을 21.8%인 878건, 겨울철 16.5%인 668건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호기심이 가장 왕성한 1∼3세 때 39.2%로 가장 많은 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발생 장소별로는 가정이 62%인 2502건으로 가장 많았다. 사고원인 품목으로는 스포츠·레저·장난감 사고가 23.4%, 건물·설비사고가 17.2%, 가구 15.9%, 주방 및 식생활용품 11.2% 등의 순이었다. 유아안전관리

  10. 우리나라 안전관리 실태 ●학교도 안전 사각지대 일반적으로 학교는 안전한 곳으로 인식되지만 실제로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002∼2005년까지 전국 16개 시·도학교안전공제회가 교육인적자원부에 보고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학교내 안전사고는 2003년 2만 2722건,2004년 2만 9955건이며, 지난해엔 3만 3834건이다. 지난해 사고발생 건수는 2004년보다 12.9%나 증가했다. 지난해 발생한 사고유형을 분석한 결과 학교별로는 초등학교가 38.3%, 중학교 30.1%, 고등학교 24.4%등으로 어린이 사고가 제일 많았다. 특히 초등학생 가운데는 6학년이 31.7%,5학년 18.8%,4학년 16.1%,3학년 15.1% 등으로 고학년일수록 사고 발생률이 높았다. 사고 발생 시간별로는 휴식시간이 39%로 집단으로 활발하게 장난을 치는 시간에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음이 체육시간 28.1%, 교과외시간 14.8%, 교과수업 8.1% 순이었다. 장소별 빈번한 부상유형으로는 계단·현관에서는 골절상을 입는 경우가 35.5%로 가장 많았고, 교실에서는 찢어짐 사고가 36.6%, 복도에서는 41.1%가 치아손상을 입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운동장에서는 58.4%가 골절사고를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안전관리

  11. 이럴 땐? 이렇게! • 사고 유형별 • 추락, 넘어짐, 미끄럼 사고 -베란다의 방충망은 고정시키고 베란다 창문 중 일부는 어린이들이 열 수 없도록 고정시켜 놓는다. -베란다 창문 주위에 어린이들이 올라갈 수 있는 의자 등의 가구를 두지 않는다. -거실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장난감이나 물건들을 치운다. -욕실 바닥은 물기나 비눗기를 없애고 미끄럼방지용 매틀르 깔아둔다. 유아안전관리

  12. 이럴 땐? 이렇게! • 충돌, 충격 -어린이용 가구는 모서리가 둥글게 처리된 것을 선택한다. -가구의 모서리에는 테이프를 붙여 두거나 모서리보호대로 덧대둔다. -거실이나 방의 장난감이나 생활용품을 수시로 정리정돈 한다. -침대나 의자, 소파 등 가구 위에 어린이를 혼자 두지 않는다. -인라인 스케이트, 킥보드, 자전거 등 스포츠용품 이용시 반드시 보호장구를 착용한다. 유아안전관리

  13. 이럴 땐? 이렇게! • 이물질 흡입 및 섭취 -유아의 연령을 고려하여 구입, 제품에 표시된 경고문을 충분히 숙지한다. -3세 미만의 유아는 습관적으로 작은 물건을 입으로 가져가므로 놀이과정을 지켜보아야 한다. -작은 물건이나 가정용 화학제품은 아이의 손이 닾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유아안전관리

  14. 이럴 땐? 이렇게! • 눌림, 끼임 -현관 출입문에는 반드시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한다. -출입문 경첩의 틈새에 어린이의 손가락이 끼이지 않도록 틈새에 고무 등을 부착한다 -어린이와 함께 출입 시에는 문을 닫기 전에 어린이의 손가락이 끼어 있는 지 확인하고 문을 닫는다. 유아안전관리

  15. 이럴 땐? 이렇게! • 날카로운 물질에 베임, 찢어짐 칼이나 가위 등 다칠 우려가 있는 주방도구는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잠금장치를 한다. -어린이방 가구를 구입할 경우 유리제품은 피하도록 한다. -원터치 캔 등은 어린이의 개봉을 금지한다. -어린이가 접근하기 쉬운 유리는 비산방지용 필름이나 테이프를 붙여둔다. 유아안전관리

  16. 이럴 땐? 이렇게! • 가정내 장소별 유형 • 방, 침실 -벽에는 무거운 물건을 걸지 않는다. -가구는 재질이 부드럽고 모서리가 날카롭지 않아야 한다, -침대, 소파, 가구 등에 올라가지 않도록 하고 장롱 안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아이들 방에는 가벼운 가구를 두지 않는다. -방바닥에 흩어져 있는 작은 물건 등의 주변정리를 철저히 한다. 유아안전관리

  17. 이럴 땐? 이렇게! • 거실 -쉽게 움직일 수 있는 물건은 테이블에 놓지 말아야 한다.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안전 덮개로 막는다. -의약품이나 화학물질 등은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창이나 베란다에 어린이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장난감이나 물건을 두지 않는다. 유아안전관리

  18. 이럴 땐? 이렇게! • 부엌 -주방의 가전제품은 코드를 짧게 위로 올려두고 가능하면 플러그는 높은 곳에 꽂고 가전제품 주변에는 아이들이 딛고 올라설 수 있는 높은 의자는 두지 않는다. -요리를 할 때에는 가스레인지 안쪽 버너에서 하고 냄비 손잡이는 반대쪽을 향하게 한다. -냉장고, 싱크대, 서랍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항상 잘 닫아 두며 잠금장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 -가스레인지 사용 후에 중간밸브를 항상 잠근다. -칼, 포크, 가위,채칼, 깡통뚜껑, 알루미늄 호일 등 날카로운 물건은 아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바닥에 물기가 없도록 한다. -식탁보는 아이가 잡아 당기기 쉽게 늘어져 있지 않아야 한다. 유아안전관리

  19. 이럴 땐? 이렇게! • 계단 -표면이 미끄러운 건축자재를 사용하거나 미끄러운 왁스칠을 하지 않는다. -계단에는 충분한 높이의 튼튼한 난간을 양쪽에 설치한다. -계단은 항상 밝게 조명되어야 하며 불필요한 물체나 물기가 없어야 한다, -계단에 날카로운 부위 등 위험이 없는지 수시로 점검한다. 유아안전관리

  20. 이럴 땐? 이렇게! • 욕실, 화장실 -욕실에서 사용하는 전기제품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반드시 플러그를 뽑아둔다. -어린이들이 욕조나 세면대에 빠져 질식할 수 있으므로 감독을 철저히 한다. -뜨거운 물에 의한 화상을 예방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이고 화상방지용 수도꼭지를 설치하는 것도 좋다. -미끄럼 방지용 바닥재를 깔아 사고를 예방한다. -욕실에 있는 화장품이나 비누, 샴푸는 아이들이 먹을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사용 중이 아닌 좌변기 뚜껑은 항상 내려놓고 화장실 문은 닫아 놓는다. 유아안전관리

  21.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까요? • 우리나라 유아정책 유아안전관리

  22.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까요? • 우리나라와 독일의 유아정책 비교 유아안전관리

  23.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까요? • 유아 안전 프로그램 비교 ㄱ.영국 버밍햄 시의 보행자 훈련 프로그램 - 이 보행자 훈련 프로그램은 7~8세 어린이 또는 교통사고 위험이 높은 미취학 어린이를 대상으로 실제 일어난 사고사례를 그래도 다시 되풀이해 보이며 같은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하는 훈련방법이다. 현재 버밍 햄 시에서 시범적으 로 실시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총 4주에 걸쳐 교육되고 있다. - 제1주에는 안전한 도로횡단 장소를 선택하는 능력을 키워준다. - 제2주에는 본격적인 체험교육이 실시된다. - 제3주에는 도로 위에서 일어나고 있는 어린이 교통사고 사례를 비디오를 통해 보여준다. - 제4주에는 실제 교통사고가 일어난 현장으로 어린이를 데려가 사고 상황을 설명하고 그 원인을 어린이 스스로 깨닫게 한다. 유아안전관리

  24.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까요? ㄴ.독일자동차연맹의 교육과정 - 독일의 교통안전교육에 대표적인 단체로는 ADSC(독일자동차연맹)를 들 수 있다. 이 단체에서의 교통 안전교육은 연령에 따라 구체적으로 교통사회인을 만드는 과정을 4단계로 나누어 실시하고 있는데, 1,2단계가 어린이 교육과정이다. 1단계에서는 3~8세까지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교통에 대한 지각과 행동능력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고, 2단계는9~14세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보행자와 자전거 교육을 중심으로 장래 건전한 교통사회인의 육성을 위한 기초를 만들어주고 있다. 유아안전관리

  25.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까요? ㄷ.미국 뉴욕시의 안전교육 프로그램 -어린이용 안전의자를 빌려주고 있다. 이것은 뉴욕시의 몇몇 병원들과 함께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주로 저소득층의 신혼부부나 미혼모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 내용은 일단 병원에서 출산을 앞둔 젊은 어머니들에게 유아용 안전의자를 설치하는 것부터 이용 시기, 이용방법 등에 대해 교육을 실시한 후 출산 후에 이 안전의자를 빌려주는 것이다. 그리고 몇 달 후에 아기가 기어다닐 정도가 되면 병원에서 또 교육을 실시한 후 좀 더 큰 유아용 안전의자를 빌려주고 있다. 이것은 뉴욕에서는 4살 이하, 몸무게 40파운드(18kg) 이하의 어린이는 반드시 안전의자에 앉혀서 데리고 다녀야 하는 법에 근거한 프로그램이다. 유아안전관리

  26. 빨리 도와주십시오(__) • 응급처치란? - 어떤 손상이나 질병이 생겼을 때 의료기관에 도착하기 전까지의 처치를 말한다. • 응급처치의 중요성 - 병이 심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앞으로의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준다. - 위급한 상황에서 목숨을 구할 수 있다. 유아안전관리

  27. 빨리 도와주십시오(__) 1. 코피가날때는? •머리를 앞으로 숙이고 코 끝을 잡는다 •목 뒤로 피가 넘어가지 않도록 한다. •찬물수건이나 얼음찜질을 콧등에 한다. 2. 발목이 삐었을때 •불필요한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을 해야 합니다. •처음엔 찬물 찜질을 하고 나중엔 더운물 찜질을 해야 합니다. 3. 넘어져 다쳤을때 •침착하게 일어나서 수돗가에 가서 •상처에 묻은 모래와 피를 씻은 다음 소독을 해야 합니다. 유아안전관리

  28. 빨리 도와주십시오(__) 4. 눈에 타박상을 입었을 때 •청결한 천으로 냉찜질을 해준다 •눈 자체에 통증이나, 출혈, 시력장애를 느끼면 안과 진찰을 받도록 •주변부 부상일 경우 일반적인 상처의 응급처치를 하도록 *단 약품이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5. 교통사고 시 머리의 외상 •두피나 안면은 다른 부분에 비해 혈관이 많은 곳이므로 중증의 경우 의식장해, 내장파열, 대퇴골절을 먼저 체크 해야 한다. •응급처치법 → 구급차를 기다리는 동안은 환자의 머리 부분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머리를 약간 높여서 눕힙니다. → 의식이 없을 때는 몸의 오른쪽을 아래로 하여 옆으로 눕히고 숨통이 막히거나, 토한 것이 기관으로 들어가는것을 예방합니다. 유아안전관리

  29. 결론 및 평가 • 첫째,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안전교육의 실시를 위해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어야 할 기본 교육지침을 정하고 세부적 교육지침서를 제작, 보급함으로써 안전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되도록 해야 한다. • 둘째,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현재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셋째. 안전교육은 실천교육으로 자료의 개발과 보급을 위해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넷째, 안전교육 관련 자료를 대여할 수 있도록 하고 가정에서의 안전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 마지막으로 이제까지 언급한 개선책들을 강구하는 것과 함께 안전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꾸준히 계속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선 안전교육 연구는 물론 사회의 지원이 필요하고 관련 연구 활동 등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유아안전관리

  30. 참고 문헌 • 영유아 건강과 안전관리 - 윤은자 저 / 건국대학교 출판 / 2002 • 영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프로그램 - 곽은복 / 창지사 / 2003 • 부모들이 지켜보지 않아도 걱정없는 '놀이터'(동영상)-영국과 한국 비교 http://tvnews.media.daum.net/part/societytv/200704/11/sbsi/v16360542.html • 어린이 안전사고 유형별 실태조사 http://safe.cpb.or.kr/textdata/HOMEPAGE/200602/1400001/safety060213.pdf • 한국 어린이 안전재단 http://www.childsafe.or.kr/ • 베란다 추락사고 http://blog.daum.net/kgrcom/3871671 유아안전관리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