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5

축우 유사산 질병과 백신 소개

축우 유사산 질병과 백신 소개. 2010. 04. 23 조은행 수의사 / ㈜고려비엔피. 아래와 같이 말씀 드리겠습니다. 최근 축우 관련 질병 상황 주요 축우 질병 및 백신 소개 유사산 질병과 백신을 통한 예방법 소 타일레리아 빈혈증과 『 부타렉스 주 』 KETOSIS 발생과 『 리모진 』 반추위 소화율 향상을 위한 『 이스트킹 』 및 『 버퍼쿨 ㈜고려비엔피 소개. 최근 국내 축우질병 발생 동향. 구제역 (FMD); Type “O” & “A” 설사

jiro
Download Presentation

축우 유사산 질병과 백신 소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축우 유사산 질병과 백신 소개 2010. 04. 23 조은행 수의사/ ㈜고려비엔피

  2. 아래와 같이 말씀 드리겠습니다. • 최근 축우 관련 질병 상황 • 주요 축우 질병 및 백신 소개 • 유사산 질병과 백신을 통한 예방법 • 소 타일레리아 빈혈증과 『부타렉스 주』 • KETOSIS 발생과 『리모진』 • 반추위 소화율 향상을 위한 『이스트킹』및 『버퍼쿨 • ㈜고려비엔피 소개

  3. 최근 국내 축우질병 발생 동향 • 구제역(FMD); Type “O” & “A” • 설사 • 송아지 설사: Rota/Corona virus + 대장균 • 성우 설사: 요네병(John’s disease) • 소 호흡기 질병 • BVD, IBR, PI3 + 파스튜렐라/헤모필루스 폐렴(Shipping fever) • 소 유사산 질병 • 기존 모기매개 유사산 질병 꾸준한 발생 • 아까바네, 이바라끼, 아이노바이러스, 츄잔병 등 • BVD; 번식우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질병 • 최근 BVD 발생율: 0.02%  0.01%  0.06% • 네오스포라병(원충성 질병) • 젖소 항체 양성율이 약 20%↑ • 브루셀라병(인수공통전염병) • 공격적인 채혈 모니터링으로 발생율 감소 • 유방염/부제병 등

  4. 주요 축우질병과 예방백신

  5. FMD • FMD virus • RNA 바이러스  변이↑ • 혈청형: O, A, C, Asia1, SAT1, SAT2 and SAT3 • 감수성: 소>돼지>양>산양 • 전파: 공기(10km), 섭취 • 임상증상 • 잠복기:2~14일 • 열, 침흘림, 침울, 유량감소, 수포발생 • 대책 • Free zone; 북미, 호주, 뉴질랜드, 스칸디나비아, 영국 등 • 살처분, 백신(사독백신) 등

  6. 송아지 설사병; Rota/Corona V • 국내 송아지 설사 • 발생율: 97.6%(206/211) • 폐사율: 평균 25% • 로타/로로나, 대장균, 콕시듐(원충) • 설사발생 기전 • 로타/코로나 감염  융모 위축  소화불량/ 흡수불량  탈수/영양결핍  폐사 • 대책 • 백신접종 • 임신우: 2회 주사 • 송아지: 초유 전 경구투여 기타 10-19% 대장균 20% 로타 및 코로나 바이러스 61-70% [3개월 이하 송아지 설사발생 원인율]

  7. 요네병(John’s disease) • 원인체: M.paratuberculosis • 9~11개월 생존(물/분변) • 6개월 미만 감염 • 초유, 우유, 분변, 태반감염, 정액 • 감염율 • 미국: 젖소 22%, 육우 8% • 젖소>한우 • 임상증상 • 만성/간헐적 설사(esp.분만후) • 악화 요인들 • 각종스트레스(분만), 과다한 우유생산 • 치료 및 예방대책 • 진단 민감도 50% 이하 • 항생제 치료: 장기적, 비효율 • 백신: 근본예방X, 효과↓ • 정기적 진단  도태

  8. 모기매개 질병들 아까 바네 Virus 아이노 Virus 이바 라끼Virus 조산, 유사산 기형 출산 소 유행열 Virus 아까 바네 Virus 츄잔병(한우) 아이노 Virus 고열/유연 츄잔병Virus 소 유행열 Virus 이바 라끼Virus • 이바라기병(+소유행열): 포말성유연(vs. 구제역), 인후두 마비증세 • 모기매개 유사산 vs. 모기매개 열성 질병 • 모기매개 유사산  백신통한 예방  종합백신(우사방-ACA)

  9. 모기매개 질병들(감별)

  10. 모기매개 질병들(감별)

  11. 반드시 근절해야 할 BVD • 국내 BVD 문제 증가 추세 • 37% 진단율(153/415, 2007-9, NVRQS) • 주요 임상증상: 설사:36.9%(153), 유산:112, BRD:63 유사산(~180일) 조기배아사망 임신실패 점막궤양 설사/호흡기 (Young) 소뇌형성부전 (120-180) 백내장 (90-150일) 미이라 (~180일) 정상우 (180일 ↑) 사산 정자 Quality↓ (숫소) Live but dummy (문열이)

  12. BVD, 감염시기별 임상증상 발현

  13. PI(Persistent Infection) • PI가 왜 문제인가? • 지속적인 감염원 • 수십억개 viron/분변,뇨,침… • 생산성 문제 • Mucosal disease • 유사산 • 설사/호흡기 • 유량생산 감소 • 숫소  정액 품질↓  수정율 ↓

  14. 서울우유 Eradication Program • 조합농장 경영손실의 주요 인자로 파악 • 번식/설사/호흡기질병  5~30만원/두 예측 • 임신 40~120일령 감염  PI(외부질병 인식X, 지속 전파) • 2009년부터 BVD 박멸프로그램 진행 • IDEXX BVD 항원/항체검사 • 5만 마리  600두 도태(1.2%)

  15. BVD, PI 예방 프로그램 30 – 120+ days PI COW Naive Cow BVD Virus Cannot be controlled by vaccination Can be controlled by vaccination PI Calf PI Calf More than 90% of PI’s are born this way, so vaccination can reduce the PIs

  16. 네오스포라 유사산 • Neospora caninum(원충) • 미 CA: 젖소 유사산의 12% • 국내 혈청 양성율 • 1,688두/198농장 (1999-1998.2) • 목장 중 53.5% 양성 • 개체 중 35.6% 양성 • 생활환 이해 필요 • 개가 종숙주 • 태반 감염에 의해 전파 • 대책 • 목장 내 개를 풀어놓지 말기 • 항생제; Tri/Sulfa, Monensin • NVRQS 백신 개발 중 [네오스포라 원충]

  17. 소 빈혈증과 부타렉스 • 소 타일레리아병 • 소 혈액에 기생하는 원충 • 국내:타일레리아 써전타이(T.sergenti) • 진드기매개(헤마피잘리스) • 원기부족,빈혈,황달, 유량감소 • 방목우, 젖소>한우, 어린소>성우 • 국내 감염율: 70~100% • 국내 발병율: 30~50% • 대책 • 진드기 구제 • 방목 후 Shower – 힘포스(Phosmet) • 치료: 부타렉스(Butalex inj.) • 1ml/20kg 주사, 1회(필요 시 2회) • 주사 후 48시간 이후 납유 가능 [타일레리아 전파하는 헤마피잘리스 생활환] [부타렉스] [타일레리아에 감염된 적혈구]

  18. 소 케토시스와 리모진(Rimosine)

  19. 소 케토시스와 리모진(Rimosine) • Ketosis • 분만 전후 당대사 이상(고능력우) • 농후사료 과다급이에 의한 당대사 이상 • 지방대사↑  중쇄/장쇄지방산 ↑  케톤체 생성  임상증상(임상형/준임상형) • 식욕부진, 변비, 원기소실, 신경증상 • 급격한 체중 감소, 유량 감소(이등유 동반) • 불임, 뇨/우유등 아세톤 냄새 • 대책 • 포도당IV(일시적), 당 source 공급 • 간 보호 물질 투여 • 부신피질 호르몬 주사; 유량 감소 • 양질의 조사료 급여; 장기적 • 신속한 식욕회복을 위하여 리모진 주사(납유 영향 없음)

  20. 반추위의 소화과정과 미생물 역할 저급 지방산 - 초산,프로피온산,낙산등 위 내 pH(산도) 저하 식욕/반추 조절 • 미생물: 1g 당 108개 • 바이러스 • 세균(200종) • 원충(300종) • 곰팡이(15종) 소화효소 - 섬유소/전분/단백질/펙틴/포도당 분해효소 미생물 효소 구분 - CBE(73%, 비활성형) - FAE(16%, 활성형) - RFE(11%, 활성형) 아미노산, 펩타이드 호르몬, 항생/항균물질 소화율 극대화 위해, CBE↓, FAE/RFE↑ 절대적으로 필요함. 반추위벽에 대한 압력/ 반추위 내 산도(pH)/ 반추위벽 VFA 통과 속도/ 혈당/ 사료의 소화율(반추위 통과 속도)/ 부패취 등 이취

  21. 액상형 반추위 소화 안정제, 버퍼쿨 사료 급여 반추위 산도 버퍼쿨 (산도조정) SARA zone (시간)

  22. 반추위 효소분비촉진제, 이스트킹 미생물 세포 부착효소 52% 감소 < in vitro > 효소분비 촉진제 1일 40g/두 급여 (Heat stress; 60g/두) CBE : Cell Bound Enzyme (미생물세포 부착효소) FAE : Feed Associated Enzyme (사료부착효소) RFE : Rumen Fluidal Enzyme (반추위액 중 부유효소) [분변량]

  23. ㈜고려비엔피 R&D를 통한 첨단 동물용 백신 개발 2006 ~ 2009 국내 유통 네트워크 구축 안정적인 수익기반 확보 2002 ~ 2005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구축 1988 ~ 2001

  24. ㈜고려비엔피 축우용 제품 [축우백신] [소독제] [사업본부, 안양] [첨가제] [부타렉스] [힘백공장, 예산] [항생/영양/비타민 주사제] [화학공장, 예산]

  25. 요약(Summary) • 구제역 종식을 위해 노력합시다. • 최근 문제 축우 질병들 • 설사(로타/코로나, 요네병), 유사산(BVD/네오스포라), BRD, 유방염 • BVD • PI 문제!  도태 또는 백신(Himmvac VIP)으로 최소화 • 서울우유 Eradication program 제안 • 생산성 향상을 위한 KBNP 제품들 • 부타렉스(Butalex inj.), 리모진(Rimosine inj.), 버퍼쿨 및 이스트킹 • 최고 품질경영회사, ㈜고려비엔피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