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0

미래사회와 창조경제

미래사회와 창조경제. ㈜코글로닷컴 이금룡 회장 krlee@koglo.com. 무엇이 지속성장 을 가능하게 하는가 ?. < 로마인의 이야기 > 저자인 시오노 나나미는 역사가들이 건국과 멸망에 관심을 가질 때 , 어떻게 로마와 바다의 도시 베네챠가 1000 년을 유지하였는지 지속 성장 가능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함 .

Download Presentation

미래사회와 창조경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미래사회와 창조경제 ㈜코글로닷컴 이금룡 회장 krlee@koglo.com

  2. 무엇이 지속성장을 가능하게 하는가? • <로마인의 이야기> 저자인 시오노 나나미는 역사가들이 건국과 멸망에 관심을 가질 때, 어떻게 로마와 바다의 도시 베네챠가 1000년을 유지하였는지 지속 성장 가능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함. • 결국 역사라고 하는 것은 어떠한 형태로든 진보하기 마련이고 이러한 역사의 진화에 대한 수레바퀴는 혁신이라고 하는 변화를 조기에 수용하고 빨리 대응하여 오히려 기회로 만드는 세력과 창조라고 하는 변화를 만들어서 하나의 문화로 정착시키는 세력으로 나눌 수 있을 것임. • 즉 변화를 조기에 대응하지 못하거나 새로운 변화를 창조하지 못하는 세력은 결국 쇠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역사의 심판이라고 할 수 있음.

  3. 혁신 (INNOVATOIN) • 기본적으로 혁신은 기존 질서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변화를 받아들이고 변신하는 것을 의미 함. • 이러한 혁신을 시스템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으면 일시적인 캠페인으로 끝날 수 있으며 오히려 혼란만을 가져올 수 있음. • 혁신은 필연적으로 기존 질서의 저항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공감대의 형성이 중요한 요소로서 리더십이 요구됨. • 미국의 유명한 경영학자인 게리하멜은 경영에 있어서 혁신의 4단계로서다음과 같은 것을 제시 하였음,

  4. 제1단계 생산성 혁신 단계 – 유명한 잭 웰치는6시그마 운동을 통하여 획기적인 생산 혁신을 이룩하였음. • 제2단계 제품과 서비스의 혁신 단계 - 고객은 동일하나 프리미엄 제품과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하여 경쟁업체를 압도함.  • 제3단계 전략혁신의 단계 – 고객을 확장하는 개념이다. 블루 오션도 이에 해당한다. 유통 채널도 다양화한다.  • 제4단계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 단계– 사업 모델을 바꾸어서 회사의 개념을 재정의 하고 회사의 숨겨진 자산을 찾아내어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한다.

  5. 창조(CREATION) • 새로운 질서를 창조하고 없었던 시장을 개척한다. • 확신이 중요하다. 분명히 성공한다는 확신이 있어야 한다. • 새로운 창조에는 반드시 리스크가 상존한다. 리스크를 관리하고 작은 시행착오는 뚫고 나가야 한다. • 새로운 비즈니스가 유행을 이룩할 시점에 경쟁자가 나타난다. • 유행이냐 문화냐를 판단하며 대처한다. • 임계 경영까지 인내 기간이 존재 할 수밖에 없다. • 기술이 완성되는 시점에서는 마케팅이 중요하다. • 기업가 정신이 발휘되는 시점이다.

  6. 1. 변화의 물결을 이해하라 • 엘빈토플러 박사는 1980년 “제3의 물결”에서 앞으로의 세상이 지식 정보화가 될 것이라고 예언하였는바, 세상의 변화를 물결(wave)로 설명하였다.

  7. 제1의 물결 농업혁명 • 농업은 지금부터 약 10,000년 전에 터키의 카라카다 지방에서 씨앗을 뿌린 흔적이 발견되면서 시작된 것으로 판단. • 농업이 시작되면서 인류는 정착 생활을 하게 되고 세계 4대 문명이 생겨나고 국가의 체제가 확립됨. • 토지가 모든 부의 원천이므로 영토를 둘러싼 전쟁이 일상화 되고 민족간의 이동이 두드러짐. • 농업 혁명이 진전 되면서 단위당 수확량이 늘어나 잉여 농산물이 • 생겨나고 빈부의 격차가 생겼으며 많은 농민들이 도시로 이주함. • 한국에서는 경주의 최 부자 가문이 노블리스 오블리주의 대표적인 가문으로 유명함. 13대의 350년간 부를 유지해온 세계적인 가문임. • 최 부자 가문은 6가지의 가훈을 통하여 엄격하게 부의 올바른 행사를 실천하여 현대에서도 귀감이 되고 있음.

  8. 제2의 물결 공업화 산업혁명 • 1710년 영국의 면직물 공업에서 시작, 다양한 기계가 발명됨.1770년 제임스 와트가 증기기관을 발명하고,1776년 이를 기계에 사 용하면서 본격적인 공업혁명이 시작 됨. 1776년 아담 스미스가 자유 무역과 시장 경제를 강조-영국의 식민지정책의 일대 전환-영 연방 성립의 계기가 됨. 1830년 증기 기관차에 의하여 철도가 부설(리버풀과 맨체스타)1851년 제1회 런던 만국 박람회를 개최하며 세계의 중심. • 동양에서는 일본이 1868년 메이지 유신을 단행하며 근대화를 추진- 100년 이상 된 기업만 50,000개, 노벨 기초 과학상 14명.1894년 청일 전쟁 1904년 러일 전쟁 승리하고 1910년 대한제국을 합병하여 36년간 통치.   • 대한민국은 1961년 박정희 대통령 집권이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실시하며 공업화를 시작하여 1964년 수출 1억불1973년 중화학 공업 시작 1977년 수출 100억불을 달성하며 경공업 중공업 첨단 공업의 발전을 통하여 세계 12위의 경제 대국을 이룩함.

  9. 제3의 물결 지식정보화의 혁명 • 전반기에 나타나는 현상 • 컴퓨터의 출현으로 정보의 전달 및 공유의 속도가 빨라짐. 정보를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등장. •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본격적으로 출현하고 컴퓨터가 개인용 컴퓨터로 전환되며 반도체의 발달로 저장 용량이 크게 확대됨. • 모든 기업에 전산실이 설치되고 업무에 있어서 소프트웨어를 적용시켜서 생산성 향상은 물론 필수적인 인프라로 정착. • IBM 과 Microsoft, Oracle 등이 주요 기업이며 이러한 물결은 소위INTRANET망 즉 폐쇄된 조직에서 사용하는 성향이 강함. • 빌 게이츠는 이러한 새로운 시대의 최 강자로 세계 최대의 갑부.

  10. 제3의 물결 지식정보화의 혁명 2) 후반기—정보화시대의 폭발과 디지털 혁명의 시작 • 1991년 인터넷의www이 영국의 팀버너스리에 의하여 발명되고 1994년 네스케이프사 웹브라우저가 실용화 되면서 인터넷시대 도래 • 1994년 부 터 휴대폰이 디지털화 되면서 본격적인 디지털 시대 도래. • 모든 기기들에 디지털 기술이 상용화 되면서 컨텐츠의 탑재가 이루어지고One Source Multi Use의 컨텐츠가 중요해짐. • Ubiquitous라고 불리우는 네트워크와 기기 그리고 컨텐츠의 결합이 일어남.  •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에 인터넷 사이버 공간에서 수많은 기업들이 출현하여 인터넷경제를 실현시키고 있으며Yahoo, Ebay, Google 등과 한국에서는 네이버 ,옥션, 엔씨 소프트와 같은 대형기업들이 출현.

  11. 제4의 물결 창조와 상상력의 물결 • 2000년 저명한 덴마크의 미래 학자인 롤프 엔센은 정보화 다음의 사회로 감성이 지배하는 emotional society가 도래할 것으로 예언 하면서 결국 인간의 감성을 사로잡는 사람이나 기업이 승자가 될 것으로 예언. 즉 문화 창조 상상력 디자인등 우뇌가 중요한 시대가 도래. • 디자인은 이제 모든 제품에서 필수 항목으로 등장하여 삼성이 소니를 누르고 TV 분야에서 1위를 하는 것도 디자인에서 앞서기 때문임. • 영국은 10년 전부터 Creative Industry라고 하여 문화 산업을 중심 으로한 창조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음. • 상상 경영으로서는 GE의 친환경 에코메지네이션으로서자연과 친화된 새로운 녹색 산업의 진출로 이 분야의 주도권을 획득. • 창의적 발상으로 인간의 감성과 미,그리고 건강에 바탕을 둔 산업이제4의 물결의 핵심으로 등장하고 있음.

  12. 2. 아날로그와 디지털은 경쟁원리가 다르다 기본적으로 아날로그는 0에서부터 9까지 포함한 10진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디지털은 0과1로 이루어져 승자가 독식하는 구조임. 그러므로 남과 다른 창의적 1등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 어떠한 일을 최초로 하고 고객에게 최고의 가치를 주면 시장에서 최대로 된다는 최초, 최고, 최대의 원칙이 적용됨.

  13. 3. 고객의 입장에서 가치를 창조한다 • 세일즈는 물건을 파는 것으로 제조 업체의 입장에서 판단하는 것이고 마케팅은 고객이 사게 하는 것으로 고객의 입장에서 판단하는 것임.인터넷의 발달로 이제 고객은 Smart Customer가 되어서 고객의 경험이 지식이 되는 소위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가중요한 화두로 등장 • 종래의 대량 광고에 의한 물량 공세 보다는 고객의 입에서 입으로 전달 되는 스토리 텔링이 더욱 효과적임. • 고객과 관련된 정보는 현장에 있고 매일매일 현장에서 일어나는 고객의 상황을 체크하라. • 고객에게 문화 예술적인 가치를 입혀라.

  14. 4. 전략과 전술을 구별하고 모든 산업을 지식산업화 하라 • 정보에는 4단계가 있다. Data- Information-Intelligence-Wisdom • 전략은 CEO가 직접 결정하고 간부들이 전술을 실행 한다. • 생각의 끈(SLOW THINKING)을 놓지 말고 끊임없이 고민하라. • 이제는 모든 산업이 지식산업화 되므로 컨텐츠가 경쟁력을 좌우함.

  15. 5. 자본, 노동과 시설이 아니라 아이디어 지식 인재가 중요하다 • 경영학의 최우선 요소는 리더십이다. • 인적 자산이 가장 중요한 자산이다. • 충신, 간신, 현신을 구별할 줄 알아야 한다. • 직원들에 대한 교육 투자가 가장 수익성이 높다 • 나쁜 인연은 빨리 정리하고 좋은 인연은 필연으로 만들어라. • 관리형, 영업형, 참모형을 구별하라.

  16. 6.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융합하라 • 디지털은 아날로그와는 달리 수평적 결합이다. • 핵심 경쟁력만 보유하고 네트워크로 연결하면서 시너지를 가져라. • 팀워크를 중시하고융합을 통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라 • 겸손, 배려, 감사하는 마음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디지털 프로세스를 구축하라

  17. 7. 프로세스별 전략을 달리 하라 • 사업은 1단계 특허 비즈니스 모델 기술 확보 단계가 있고 • 2단계로 시제품 생산 데모 사이트 구축 등 대량 생산 전 단계가 있으며 • 3단계로대량 생산을 위한 상품화 단계가 있고 • 4단계로 고객에게 직접 판매가 이루어지는 마케팅 단계가 있다 • 결국 사업은 자본, 기술(제품), 경영(마케팅) 등 3자의 결합이므로 각 단계별 전략이 달라야 한다.

  18. 8. 인내 기간을 견뎌라 • 특히 디지털 시대에는 시장을 창조해야 하므로 처음부터 비즈니스가 잘되기는 어렵고 인내 기간이 필요하다. • 이 시기에는 검소와 절약 정신이 필요하며 현금을 아껴야 한다. • 인내 기간을 이기려면 자신만의 확신과 신념 철학이 필요하며 창업 동지들과의 협업 마인드도 있어야 한다. • 아름다운 실패를 인정하라 .실패도 자산이다.

  19. 9. 사업은 창조성의 게임이다 • 창의적인 마인드로 모순을 해결하고 앞으로 나가라 • 과거의 성공이 더 이상 반복되지 않는다.새로운 방식으로 도전하라. • 진정한 성장은 창조성에서 나오며 이러한 창조성을 기르기 위하여는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수용 할수 있는 DNA구조가 필요하다.

  20. Thank you! ㈜코글로닷컴 (www.koglo.com) • 대표 이금룡 • Tel: 02-558-5875, Fax: 02-558-5876 • e-mail: krlee@koglo.com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