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3

motivation

motivation. motivation. Ⅱ. Motivation theory. 동기이론들의 역사적 전개. 2000. Kuhl 성격체계 상호작용이론. Deci&Ryan 자결성이론. Azjen 계획된 행위이론. Locke 목표설정이론. Higgns 조절초점이론. 1990. Bamdura 사회인지 행동이론. Deci 인지평가이론. Higgns 자기차이이론. 1980. Bamdura 사회학습이론. Weiner 귀인적 동기이론.

juliet
Download Presentation

motivation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motivation motivation

  2. Motivation theory

  3. 동기이론들의 역사적 전개 2000 Kuhl 성격체계 상호작용이론 Deci&Ryan 자결성이론 Azjen 계획된 행위이론 Locke 목표설정이론 Higgns 조절초점이론 1990 Bamdura 사회인지 행동이론 Deci 인지평가이론 Higgns 자기차이이론 1980 Bamdura 사회학습이론 Weiner 귀인적 동기이론 Azjen&Fishbein 합리적행위이론 Markus 자기도식이론 Carver& Scheir 제어이론 De Charms 내외인과성 McCelland권력동기 Walster 형평이론 Luthans& Kreitner 조직행동수정 Duval& Wicklund 자기주의이론 1970 Alderfer생존관계성장욕구 Lawler 유인가이론 Powers 행동지각이론 Kelly 귀인이론 Adams 형평이론 행동수정 1960 Atkinson 성취동기모형 Hosmans 사회교환이론 Maslow 욕구위계이론 Jones&Davis Mcgregor 목표관리 Allport 자기이론 1950 Atkinson 성취동기이론 Festinger 인지부조화이론 Lewin 표부수준 Wiener 인간두뇌공학 Heider 귀인이론 1940 Lewin 기대X가치 Skinner 조작적 조건형성 Murray 욕구이론 Mead 자기이론 Tolman 목적적 행동 1930 Pavlov 고전적 조건형성 1920 James 자기이론 내용이론 과정이론

  4. 내용이론(contents theory) 과정이론(process theory) Motivation theory -욕구나 동기의 내용을 다루는 이론 -행동의 주된 요인을 개인의 욕구에 두는 이론 -’어떤 요인들이 동기를 유발시키는가?’ -동기가 어떤 과정을 통해 어떻게 유발되는가? -동기유발에 관한 다양한 변수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어떻게 행동을 일으키게 되는가?

  5. Murray의 욕구이론 1 동기의 욕구-압력 모형(need-press model) -특질(trait)로서가 아닌 동기적 개념으로서의 욕구(needs)에 관심을 가짐 -압력(press): 욕구와 대응되는 환경의 대상물, 욕구의 충족 혹은 좌절과 연합될 수 있는 환경의 특성 예) 양친의 부재, 가족의 불화, 신체의 부조화, 동생의 출생 등 인간의 동기심리를 개인이 지니는 욕구의 개인차에 따라서 설명 동기이론의 초기적인 모형, 타 이론들보다는 미연구된 분야 Murray의 욕구이론, Maslow의 욕구위계이론, Alderfer의 생존·관계·성장의 욕구이론 욕구의 분류 -외현욕구(overt needs): 행동으로 표현된 욕구, 보통 사회의 표준이나 관습에 맞게 외부로 나타남 -내현욕구(covert needs):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욕구, 공상이나 꿈의 세계에 속하는 욕망 압력 (press) 욕구(Needs) 행동 (behavior) 내용이론: 1. 욕구이론

  6. Maslow의 욕구위계이론 2 기본전제 -인간은 충족되지 못한 욕구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동기화되어 있음 -충분히 충족되지 못한 욕구들이 긴장을 유발 -긴장이 유발되면 인간을 긴장을 감소시켜 내적 평형상태를 해복하려고 함 -욕구충족-진전과정 욕구의 역동성 -하나의 욕구가 우세하게 출현할 때 다른 욕구들이 아예 작용하지 않는 것이 아님 -새로운 욕구의 출현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이 아님, 늘리고 점진적으로 나타남 -대부분의 행동들은 상대적으로 작용의 강도가 서로 다른 여러 욕구들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됨 욕구의상대적 강도 생리욕구 안전욕구 애정욕구 존경욕구 자기실현욕구 낮음 심리적 발달 수준 높음 내용이론: 1. 욕구이론

  7. Alderfer의 생존, 관계, 성장의 욕구이론 3 Alderfer의 욕구위계와 Maslow의 욕구위계 비교 욕구의 작용과정: 욕망과 만족의 상호 영향과정 -만족: 자신이 찾던 바를 얻었을 때 경험하는 내적 상태 (객관적 지각+주관적 지각) 충족감이 증가하면 만족/충족감이 감소되면 좌절 -욕망: 만족의 개념보다 더 주관적임 (만성적 욕망/산발적 욕망) -만족이 욕망에 미치는 영향 + 욕망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 내용이론: 1. 욕구이론 1. 고등한 욕구로 진전 & 닞은 욕구로 퇴행 2. 욕구가 동시에 작용하여 활성화 3. 욕구는 인식될 수 있음(특히 우세한 욕구) 4. 욕구= 욕망+ 만족(혹은 좌절) 예) 생존욕구=생존욕망+생존만족(혹은 좌절)

  8. Alderfer의 생존, 관계, 성장의 욕구이론 3 만족이 욕망에 미치는 영향 욕망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욕구좌절 욕망의 강도 욕구충족 Gd gs + Ef E Es - + + Rd - Rf R Rs - - + Ed es - Gf G Gs - 내용이론: 1. 욕구이론 ※G, g=성장, R, r=관계, E, e=생존 S=만족, D=욕망 += 진전 -=퇴행

  9. 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 1 성취동기의 특성 -모든 동기는 학습될 수 있음 -성취동기: 성공이 개인에게 있어서 얼마나 중요하고 가치가 있는 것인가를 나타내 주는 개인의 내부 심리상태 -성취동기수준이 높은 사람에게는 성취상황이 자연적 유인과 유쾌한 감정을 일으키는 학습된 단서임 최근까지 계속해서 오랫동안 연구되어옴 개인 생활은 물론, 집단이나 조직의 성공과 밀접히 관련됨 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 Atkinson의 성취동기이론 성취지향성이 높은 사람들의 행동특징 1. 과업지향성 2. 모험성 3. 성취가능성에 대한 자신감 4. 정력적, 혁신적 활동 5. 책임감 6. 과업수행 또는 행동결과에 대한 지식을 중요시 7. 미래지향성 내용이론: 2. 성취동기이론

  10. Atkinson의 성취동기이론 1, 성공성취동기(MS: motive to success) 2. 성공가능성(Ps: expectancy of success) 3. 성공에 대한 인센티브(Ins: value of incentive of success) 성공성취 행동 경향성 (Ts) 실패회피 행동 경향성 (T-f) 최종성취 행동 경향성 (Tres) 2 1, 실패회피동기(Mf: motive to avoid failure) 2. 실패가능성(Ps: expectancy of failure) 3. 실패에 대한 인센티브(Ins: value of incentive of failure) 내용이론: 2. 성취동기이론 Ts = Ms X Ps X Ins T-f = MfX PfX Inf Tres = Ts + T-f

  11. Weiner의 성취귀인적 동기이론 1 이론의 배경 -귀인이론과 Arkins의 성취동기이론(기대X가치이론) 둘 다에 이론적 토대를 둠 -과제수행에서 성공하거나 실패한 성취의 결과에 대한 인과 추론이 그 후 성취정서, 성취동기 및 성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 개념 -성취동기: 성공이 내부요인들에 의해서 일어났다고 지각하고, 실패는 불안정한 요인들 때문에 나타났 다고 지각하는 능력 -성취동기는 귀인에 근거를 두는 인지적 성향임 -예)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들이 성공: 내부요인이 원인이라고 귀인하므로 자존심 등의 감정 경험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들이 실패: 노력부족이라고 귀인 감정적 반응 도구적 반응 매개적 인지 자극 기대 과정이론: 1. 귀인적 동기이론

  12. Weiner의 성취귀인적 동기이론 1 구체적 정보 능력 안정성 (능력, 과제난이도/노력, 운) 내외통제 (능력, 노력/ 과제난이도, 운) 수행강도 기대변화 인과도식 지속 노력 개인차 선택 자존심과 관련된 감정들 타인(학생, 가족, 교사) 강화계획 기타 구체적 정보 동기(주의, 흥미) 과정이론: 1. 귀인적 동기이론 선행조건 지각된 원인 원인차원 일치효과 다른 행동 결과

  13. 불형평을 결정짓는 요인 1. 개인(person): 형평이나 불형평을 경험하는 사람 2. 타인(other): 개인과 비교되는 사람, (예: 회사동료 또는 비슷한 산업체에 근로하는 같은 수준 사람) 3. 투입(input): 개인이 직무를 수행하는 데 투입하는 모든 자산 (예: 개인이 받은 교육, 지능, 건강) 4. 성과(outcome): 개인이 직무로부터 얻게 되는 모든 혜택 (예: 임금, 수당, 직위, 작업조건 등) 자신이 타인과 비교해서 형평의 원리에 어긋나게 대우를 받으면 동기가 유발됨. 사람들의 행위가 타인들과의 형평성을 유지하려는 쪽으로 동기화됨 불형평에서 초래되는 긴장의 해소방법 1. 투입의 변경 2. 성과의 변경 3. 개인의 투입과 성과를 인지적으로 왜곡하여 지각하는 방법 4, 현장을 떠나는 방법 5.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방법 6. 개인의 비교대상을 바꾸는 방법 과정이론: 2. 형평이론

  14. 주요요소 직무성과(job outcome) -급여, 승진, 휴가 등과 같이 조직이 종업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들 -인정 혹은 성취감 같은 무형의 것들도 해당됨 유인가(valence) -성과에 대해 종업원들이 느끼는 감정으로서, 성과가 지닌 매력의 정도 혹은 성과로부터 예상되는 만족 도구성(instrumentality) -수행과 성과 획득간의 관계에 대한 지각 -보통 확률로 표현됨(도구성이 0일 경우 성과의 획득이 직무수행과 전혀 관계가 없음) 기대(expectancy) -어떤 활동이 특정한 성과를 가져온다고 믿는 주관적 확률 -기대가 0일 경우 노력을 더 하더라도 수행이 증가될 가능성이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 힘(force) -동기가 부여된 개인이 가지고 있는 노력, 혹은 압력의 양. 힘이 커질 수록 동기도 더 커짐 -힘=유인가 x 도구성 x 기대 과정이론: 3. 기대 X 가치이론

  15. 기대이론의 동기모형 P→O 기대 성공적 수행으로 각 성과를 얻을 확률 도구성 일차수준의 성과과 이차수준의 성과를 가져올 확률의 지각 성과 D 성과 A (외적보상) 성과 E 노력 수행 성과 B (내적보상) 각각 유인가를 지닌 이차수준 성과들 성과 C (내적보상) 각각 유인가를 지닌 일차수준 성과들 과정이론: 3. 기대 X 가치이론 E→P 기대 일정한 노력으로 수행이 성공할 확률

  16. Locke의 목표설정이론 개념 -다른 동물과 달리 인간은 목적을 지니고 행동하기 때문에, 인간행동은 목표나 의도에 의해서 결정됨 -개인이 의도적으로 설정한 목표의 난이도 수준에 따라서 동기 수준이 달라짐 기본가설 -높고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할 수록 동기는 높아짐 목표가 동기를 높이는 심리학적 기제 1. 목표를 설정하면 주의해야 할 대상과 활동의 방향이 결정됨 2. 목표를 설정하면 에너지를 쓰도록 하거나 노력을 동원하게 만듬 3. 목표를 설정하면 에너지를 쓰도록 하거나 노력을 동원하게 만듬 4. 목표를 설정하게 되면 그 사람으로 하여금 목표달성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인지전략을 강 구하도록 동기를 유발 과정이론: 4. 목표설정이론

  17. Locke의 목표설정이론 조절변인들 능력, 개입, 환류, 과제복합성, 상황의 제약요인들 보상들 수행과 연결되지 않은 보상들 요구사항들 중요하고 성장을 촉진하는 과제들에서 도전적인 높은 목표 + 높은 자기효능성 수 행 수행과 연결된 내적, 외적보상들 만 족 결과 조직몰입 및 장차 도전을 수용할 의사 매개변인들 방향, 노력, 지속, 과제별 구체적 전략들 과정이론: 4. 목표설정이론

  18. 내적동기 -활동 자체가 목적이 되는 행동 외적동기 -보상의 획득이나 처벌의 회피와 같이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 행동 1. 외부 유인자극을 사용했을 때 내적동기가 저하되는 부작용에 관심을 갖는 연구 De Charms(1968), Deci(11971, 1972a), Lepper(1973) 2. 내적동기를 유발하는 요인이나 조건을 알아냄, 원리를 실제로 현실에 적용 De Charms(1976), Deci(1975a), Hackman(1975) 외적동기의 한계 • 인간이 능동적으로 환경을 탐색할 수 있는 능력과 권한을 제한함 • 동기를 지속시키려면 계속적으로 보상의 제공되어야 하며, 보상의 양도 늘어나야 함 • 개인으로 하여금 보상에 의존하게 만들어 활동자체보다도 보상에만 관심을 갖게 만듬 • 외부보상을 사용하면 내적동기가 저하됨 과정이론: 5. 내적동기이론 내적 동기 이론

  19. Deci의 인지평가이론 인간의 기본욕구 • 자결성(self-determination theory): 자기행동을 스스로 결정하려는 것 • 유능성(competency): 자신이 유능하다고 느끼고 싶어하는 기본욕구 인지평가이론의 3가지 명제 1. 내외인과지각(percerved locus of causality) -자결성의 감정과 지각에 기반을 둠 -내외인과평가 활동의 원인이 내적동기라는 내부원인 또는 외부원인에 의해 일어났다고 판단하는 것 -외부원인으로 내외인과평가를 하면 내적동기가 감소됨 2. 유능성의 감정과 지각 -행동의 자결성이 지각되더라도, 두 번째 과정에서 자신이 유능하다고 지각하지 못하게 되면 그 활 동에 대한 내적동기가 저하됨 3. 외부보상의 의미 -외부보상은 무조건 내적동기를 저하시킨다는 초기의 이론을 수정함 -외부보상의 통제기능(↓), 정보기능(↑)↓, 비동기 기능(↓)에 따라 내적동기의 증감이 결정됨 과정이론: 5. 내적동기이론

  20. Higgins의 조절초점이론 기본개념 -인간의 동기와 정서를 각각 두 종류로 나누어 설명하는 이중과정이론(dual process theory) -인간의 동기(접근심리: 쾌락을 추구하여 得을 얻으려는 것/회피심리: 고통을 미리 막아 失을 회피) 조절초점(reguratory focus) 1. 향상초점(promotion focus) -득에 접근하려는 자기 초점 유형 -긍정적 결과에 조절초점을 둠 2. 예방초점(preventation focus) -손실을 회피하려는 자기 초점 유형 -부정적 결과에 조절 초점을 줌 과정이론: 6. 자기조절이론 동기 조절초점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 조절초점 정서 전략

  21. Higgins의 조절초점이론 긍정적 결과들의 존재 혹은 부재에 민감 양호욕구 전략적 수단으로서 접근하기 강한 이상들(ideals) 향상초점 정답을 지키고 착오나 생략을 막음 획득/비획득 조건들 유쾌/낙담 정서들 부정적 결과들의 부재 혹은 존재에 민감 안전욕구 예방초점 전략적 수단으로서 회피하기 강한 당위들 정확한 긱각을 지키고 착오를 범하면 막음 비손실/손실 조건들 고요/초조정서들 과정이론: 6. 자기조절이론

  22. Motivation의 경험적 연구

  23. 현대동기연구의 7가지 주제 동기는 적응을 돕는다 -동기상태는 개인의 안녕과 순간 순간의 요구 사이의 불일치가 발생할때 생김 -동기가 적으면, 개인적 적응은 어려움을 갖는다. -예) 아이들이 학교에 흥미를 느낄 때, 근로자가 열심히 노력할 때, 적응의 정도는 상승함 동기는 주의를 지배함으로써 행동에 영향을 준다 -동기는 수많은 행동 중 특정 행동들을 선택하도록 주의를 끌게 함으로서 행동에 영향을 줌 -예) ‘다가오는 경쟁’이라는 환경적 사건은 ‘성취’라는 동기를 각성시키고, ‘기술을 습득하기’라는 행동을 유발시킴 동기는 접근경향성과 회피경향성을 포함한다. -동기화는 반드시 善이라는 선입견 -정적인 동기와 부적인 동기는 동시에 느낄 수 있음 동기연구의 주제

  24. 현대동기연구의 7가지 주제 동기연구는 인간성의 내용을 밝혀줌 -사람이 원하는 것과 원하는 이유를 밝혀주며, 인간성의 내용을 밝혀줌 -상이한 문화권의 사람들의 공통적인 기질을 밝힘 -학습된 동기를 밝힐 수 있음 동기는 강도뿐만 아니라 유형에서도 변동한다. -동기의 강도 뿐만 아니라, 유형에도 관심을 가짐 -특정 유형의 동기는 다른 유형의 동기보다 더 생산적이고 심리적으로 건강한 결과를 이끔 -예)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인간은 항상 행동의 동기적 바탕을 의식적으로 자각하지는 않음 -인간행동을 조절하는 동기들은 항상 즉각적으로 분명하지는 않음 -예) 결혼할 배우자를 선택하는 과정 -이러한 이유때문에 동기연구자들이 행동적 및 생리적 측정치에 주로 의존하고, 자기보고방식을 꺼리는 경향이 있음 동기연구의 주제

  25. 현대동기연구의 7가지 주제 동기원리는 응용될 수 있다 -교육, 작업, 스포츠, 치요영역이 특히 강조되어 응용됨 -교육의 예) 학생의 수업활동을 촉진하고, 학생들의 욕구를 촉진하는 지적 분위기의 교실을 마련 -작업의 예) 작업자의 생산성과 만족을 향상시키는 방법/ 리더십과 같은 영역에서 개인차의 역할을 알 아보는데 응용이 가능 동기연구의 주제

  26. work motivation에 영향을 끼치는 변인 개인의 특징 -욕구 -태도 -지각 -흥미 -성별 -교육 -경험 -연령 -포부수준 -자존심 -미래의 기대 등 직무의 특징 -과제의 중요도 수준 -자율성 -직무수행결과에 관한 지식 -과제수행 기술의 다양성 -과제의 정체성 -과제의 난이도 조직의 특징 -공식조직(조직구조, 리더십, 의사소통, 조직풍토, 보상체계, 조직구성원의 역할, 조직목표, 조직구성 원의 참여, 조직의 크기) -비공식 조직(비공식 집단, 준거집단) -노동조합) 동기연구의 변인

  27. work motivation에 영향을 끼치는 변인 직무상의 작업조건 -작업의 물리적 조건(조명, 온도와 습도, 소음, 안전과 재해) -작업시간계획(주당근무시간, 주당근무일수, 근무시간배정, 휴식) 조직 외적 사회환경의 특징 -경제상태 -사회적 변동 -사회문화적 특징 동기연구의 변인

  28. 기업의 motivation 증진사례

  29. 총보상개념 국내 기업의 motivation 증진사례

  30. recognition(포상) 삼성 SDS -창립기념포상(공로상, 모범상, 장기근속상 등) -연말포상(연도 SDS인상, 나눔의 별상, best solution상 best 부서상 등) 피자헛 -Celebrating CHAMPIONS Card -항시 어느 장소에서든 인정과 포상을 실시하는 칭찬문화 나이키 -근속포상, Just do it, Michael Jordan, , Steve Prefontain, Swoosh Club 국내 기업의 motivation 증진사례

  31. 4 Eyes 조직차원의 모티베이션에 적합 Work motivation에 관계되는 다양한 요인 중 사원이 어떠한 요인을 중시하는지, 그에 대한 만족도가 어떤지 측정 측정결과를 토대로, 이후에 취할 대책의 우선순위가 명확해짐 사회심리학을 기반으로 motivation요인을 10가지로 분류 회사기반 이념전략 사업내용 매니지먼트 작업단계 -정보제공 -정보수집 -판단행동 -동기형성 -고객접촉 -목표달성 -의욕상승 -업무효과 인간적 매력 시설환경 제도처우 업무내용 조직풍토 조감도(Bird’s view): 사원-회사 투시도(insect’s view): 사원-상사 및 부서 Link & Motivation社

  32. 4 Eyes windows Inter Link Ice Block 중요도 조직풍토 이념전략 인간적 매력 업무내용 회사기반 정보제공 만족도 정보수집 의욕상승 시설환경 제도처우 판단행동 업무효과 목표달성 사업내용 Idle Line Ink Blot Link & Motivation社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