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3

과학 국정과 세계 전략

과학 국정과 세계 전략. 2011. KAIST 임춘택 (042)350-3827, ctrim@kaist.ac.kr. 무엇이 세상을 바꾸나 ?. 사상 , 정치 , 종교 , 군사 , 경제 , 자원 ... ??. 세상은 어떻게 바뀌어왔나 ?. 식량 , 에너지 , 의학성장  인구증가  지식증가. 지식혁명. 산업혁명. 수렵. 고대도시. 농업. 누가 노예를 해방시켰나 ?. BC 6 ~ AD 5 세기 로마의 ‘ 민주 ’ 정치 , 노예제도 유지 중세 (5~15 세기 )

kaspar
Download Presentation

과학 국정과 세계 전략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과학 국정과 세계 전략 2011. KAIST 임춘택 (042)350-3827, ctrim@kaist.ac.kr

  2. 무엇이 세상을 바꾸나? 사상, 정치, 종교, 군사, 경제, 자원...??

  3. 세상은 어떻게 바뀌어왔나? 식량, 에너지, 의학성장  인구증가 지식증가 지식혁명 산업혁명 수렵 고대도시 농업

  4. 누가 노예를 해방시켰나? • BC 6 ~ AD 5세기 • 로마의 ‘민주’ 정치, • 노예제도 유지 • 중세(5~15세기) • 종교가 세상 지배, • 신분제도 유지 • 1619년, 미국 아프리카 노예 수입 • - 1776년, 미국 독립 • 1863년, 미국 남북전쟁으로 • 링컨 노예제도 폐지 • 1482년 • 레오나르도 다빈치 • 태엽자동차 고안 • 1765년 • 제임스 와트 • 증기기관 발명 • (석탄광에서 사용) • 1886년 • 독일 고트리브 다임러 • 가솔린 자동차 발명

  5. 20세기를 바꾼 20가지 문명 1. 전기 - 어둠으로부터 인류를 구하고 노동으로부터 해방2. 자동차 - 현대문명의 상징, 기계공학의 꽃3. 항공기 - 인류에게 날개를 선물 4. 상하수도 - 인간의 수명을 연장 5. 전자기기 - 생활을 편리하게 해 준 과학기술의 산물6. 라디오와 텔레비전 – 공간을 넘어 눈과 귀를 세상과 연결7. 농업기계화 - 세계 식량난의 해결사8. 컴퓨터 - 20세기 정보통신기술의 혁명9. 전화 - 손에 들고 다니는 첨단통신기술10. 냉방, 냉장 - 인류의 생활온도를 바꾼 신기술11. 고속도로 - 국력의 바로미터12. 우주선 - 기술로 이루어진 우주개척13. 인터넷 - 무한으로 진보하는 가상체계14. 형상인식기술 - 첨단과 정밀의 이름으로 개척하는 미래15. 가전기기 - 생활노동에서 해방시켜 준 필수용품16. 의료기술 - 메스 없는 수술의 시대로17. 석유 및 석유화학기술 - 현대 산업문명의 검은 피18. 레이저와 광섬유 - 제2의 빛의 혁명, 빛에너지19. 원자력 기술 - 재앙의 무기에서 희망의 자원으로20. 고기능성 소재 - 신소재가 안내하는 새로운 문명생활 * 김도연 교수 선정

  6. 과학기술은 “세상을 바꾸는 것” 과학 = 발견 “Scientist”: 1833 by William Whewell 기술 = 발명 “Techno-science” “Tech-knowledgy” “Engineer”: Scientific Artist

  7. 한국의 근현대사재발견 • 지난 100년의 한국 역사: “無에서 有로” • 100년전: 과학기술을 천시하고 근대문명을 외면, 열강이 지배 • 50년전: 국력이 없어 한반도가 분단,6.25전쟁으로 국토 초토화 • 2010년: 15위 경제대국, 9위 무역대국, 8위 군사강국, 7위 과학기술국, • 7위 외환보유국, 5위 특허강국, 2위 정보강국, 1위 전자정부, • 1인당 GNI 2.1만$, 1인당 GDP(PPP기준) 3.0만$, ... • * 수출액: 독일, 미국의 1/3, 일본의 1/2 * 국방비: 일본, 중국의 1/2

  8. 잠깐 생각을... 우리나라는 사고왕국

  9. ‘과학 국정’이 치료제 • 우리나라는 매년 사고로 2만 3천명 사망,163만 명 부상 (2010년 기준) • - 산업재해 사망 2,089명, 부상 98,620명 (46년간 8.2만명 사망, 415만명 부상) • - 교통사고 사망 5,505명, 부상 1,533,609명 (경상이상은 352,458명) • - 자살사고 사망 15,413명 (2009년 기준, OECD1위) •  평균수명 80년간 2.6번 사고로 다치고, 9가구 중 1가구가 사고로 가족을 잃음 • 모든 대형사고의 원인은 ‘안전불감증’과 ‘부정부패’? • - 사고책임자 처벌과 안전교육이 처방?‘행정/법 중심주의’가 사고의 근본원인 • 영국의 사고조사위원회가 몇 개월 걸려 하는 작업을 하루 만에 “뚝딱”? • - 과학기술 전문가 중심의 감리, 평가, 조사만이 근본적 해법 제시 가능 • “국정의 과학화” 없이 대형 사고가 없는 선진국이 되는 것은 불가

  10. 아직도이런 일이... • 지하철 환풍기 발전(2008. 10. 29.): “299억 들여 연간 77억 절약?”

  11. 공학자(Engineer)는?  “기술사상가”1. 철학자Philosopher, who finds the root of problems.2. 예술가Artist, who solves the problems in creative ways.3. 기업가Entrepreneur, who executes the solutions in practice.“엔지니어는 발명으로써 세상과 역사를 바꾸는 사람” “Engineers change the world and history by inventions.”墨子, 세종대왕, 장영실, Alfred Nobel, Gustave Eiffel, Nichola Tesla, ThomasEdison, SteveJobs, Bill Gates …

  12. 과학기술과세계전략 인류 문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는?

  13. 간추린 인류 문명사 • BC 30~AD 15세기: 지금부터 600년 전에야 문명간 본격 교류가 시작 • 인쇄기술: 8세기에 중국 발명  14세기에 유럽 전달 • 제지기술: 2세기에 중국 발명  13세기경 북유럽에 전달 • 화약기술: 9세기에 중국 발명  14세기에 유럽 전달 • 15~19세기: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 등 서구 제국주의가 세계 지배 • 항해술로 군사력/무역 팽창; 18세기 산업혁명으로 서구문명이 근대화 • * S. 헌팅턴: “서구는 사상, 가치관의 우위가 아니라 조직화된 폭력으로 세계 정복” • * G. 파커: “서구의 부상은 전쟁능력의 비약적 발전에 따른 무력행사의 산물” • 20세기: 1,2차 제국주의 전쟁과 미소 냉전 후 다문명 체제 출현 • 민족주의/종교 부활, 비서구문명의 근대화/탈서구화: 모택동, 이광요, 박정희 • * 이슬람교(12.419.2%), 서구인구(44.313.1%), 영어사용자(9.87.6%)

  14. 국운을 좌우하는 것은? • 지난 100년의 세계 역사: “무엇이 국가운명을 갈랐나?” • 미국: 19세기에 상농업국가였지만 1, 2차대전과 군사우주기술로 세계 제패 • 소련: 미국보다 우주개발에 앞섰지만 기술경쟁에서 패배, 연방 해체 • 중국: 65년전 식민지였으나, 30년간 개혁개방과 기술확보로 강대국 부상 • 이스라엘: 4차 중동전쟁으로 3억명의 아랍을 500만명으로 제압, 핵무장 • 독일, 일본: 1, 2차대전에서 패배했으나, 기술력으로써 경제대국으로 부활 • 영국, 프랑스: 1, 2차대전에서 승리했으나, 기술주도력 상실로 패권 상실 • 중동: 재래식 무기의 60만 이라크군을 첨단무기의 4만 연합군이 제압

  15. 21세기, 11년간의 변화 • 글로벌 기업의 영향력 증대 : 국가보다 기업이 더 큰 영향력 발휘 • 다국적기업의 진화: 친환경, 사회공헌, 윤리경영, 지구적 구매/인사/총무 • 무형자산(정보/기술/마케팅/브랜드)의 비중과 역할 증가 • 세계 1등 기술/산업, 스포츠/문화예술의 지배적 영향력 확대 • 전문성/다양성/창의성이 중시되는 글로벌 인재 필요성 증가 • 아시아, 미국, 유럽의 다극화 체제(정치/경제) 부상 : G-20 , G-2 출범 • 차이메리카 시대 도래 (中: 수출/외환 3.2조$, 美:수입/외채 14.3조$) • 아시아 3국(韓中日)이전자, 자동차, 조선, 철강, 화학 산업에서 경쟁 • 지구와 인류에게 새로운 문제 대두 : 에너지, 환경, 자원, 고령화 문제 • 40년간 40% 북극 해빙; 30년간 30% 생물 멸종, CO2 15% 상승 (342394ppm) • 11년간인류 증가 (60억69억); 한반도 바다 5~6cm 상승, 고령화 (한국 +5.5세) • * 석유고갈, 대체에너지, 환경오염, 식량/물/자원부족, 질병, 교통, 정보 문제

  16. 21세기변화 원동력 (Power Hub) 정부 과학 기술 금융 문화(Entertainment) 언론 (Mass Media) 기업

  17. 미국의 위기와 그 원인 • 미국의 내부적 위기: “금융위기, 경기침체는 결과일 뿐” • 만성적 무역적자: “제조업 대신 금융업”, 그간 유학/투자이민이 적자 상쇄 • 만성적 재정적자: 과도한 국방비 (6천억$), 감세정책, 약한 달러 정책 • 과학기술 경쟁력 약화: 내국인 이공계 기피, 동양계 배척(1995 Spy Act) • * 9.11 조사위원회: “미국의 국부 중 50%이상이 혁신에서 나온다” • 미국의 외부적 위기: “이슬람문명과 동양문명의 부활” • A. 토인비: “문명은 도전에 대해 지도자가 창조적 대응을 멈출 때 쇠퇴” • “동양문명을 도외시하는 자기중심적 서구문명은 자기도취이자 망상 ” • S. 헌팅턴: “근대화로 인한 경제적 자신감과정치적 필요로 비서구 문명 부활” • ⇒ 미국 위기의 근원은 ‘문화적 매력 감소’와 ‘과학기술 경쟁력 약화’

  18. 한국의 세계전략 구상 (안) • 안보전략: 단일 통일국가로서 동북아의 전략적 균형자 지향 • 동북아 전략: 통일한국+5동맹(미국+동북3성+연해주) 체제 • 한반도 통일전략: 2개 지방정부(대전/평양 수도) +1개 중앙정부(서울/개성) • 역외기지: 동남아시아 말라카/소말리아해협 지원, 군사/무역/관광기지 설치 • 경제전략: 2030년 세계시장 점유율 5%로, 세계 7위 경제대국 진입 • EEWS, IT/BT융합, 신안보 등 전략산업으로 시장점유율을 매년 0.1%P 증대 • 중국, 미국, 인도, 독일, 일본, 브라질에 이어 ‘통일한국’이 무역/내수 7위 달성 • * 이를 위해, 세계 1위의 특허, 교육, 연구개발, 정보/지식, 기업, 혁신 경쟁력 확보 • 문화전략: 세계적인 민주평화 모범국가 지향 • 디지털 민주주의, 글로벌 평화주의, 다종교/윤리정치/치안 문화를 수출 • 장기적으로,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 몽고를 망라하는 韓 연방국가 지향

  19. 결 론 우리의 미래는?

  20. 기술을 보면 미래가 보인다: 5년 후 세계? * 출처: IEEESpectrum July 2011

  21. 우리의 미래를 열려면? • 서남표 총장, “당신은 세상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 - 10년 후 세계 최초의 기술이나 지식을 지금 준비하고 있나? • 한국대학은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 • - 학문간 융합: MIT의인문학(인문+공학), 하버드의 인문학(동양+서양) • - 창의적이고 신나는 대학: 창의적 설계/디자인 교육, 미래 발명 경진대회 • 미래 = 서양의 과학문명 x 동양의 정신문화 • - 선진국 인재 = 기초과학 + 공학/경영/의료/법조/정책/언론/문화 전문역량 • - 선진국 리더 : 성적 < 봉사/사회활동  리더십과 팀워크

  22. 누가 세상을 바꾸나? 판사는 평생 한두 명의 생사를 결정하고 의사는 수백 명의 생사를 결정하지만, 과학자는 수억 명의 생사를 결정한다. 장군은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고 정치가는 국가의 운명을 좌우하지만, 공학자는 인류의 흥망성쇠를 좌우한다. - 청운(靑澐) 임춘택 -

  23. 과학기술은 경제, 안보의 초석 세상을 바꾸는 힘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