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0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ajor Blood Los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ajor Blood Loss. N Engl J Med. 2007 May 31;356(22):2301-11 R3 이동현. Surgery is the most common cause of major blood loss

keefe-rocha
Download Presenta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ajor Blood Loss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Prevention and Treatmentof Major Blood Loss N Engl J Med. 2007 May 31;356(22):2301-11 R3 이동현

  2. Surgery is the most common cause of major blood loss • Cardiovascular procedures, liver transplantation, hepatic resection, major orthopedic procedures including hip and knee replacement, spine surgery, etc • Hemostatic agents • Antifibrinolytic lysine analogues • Aminocaproic acid and tranexamic acid • Aprotinin ; bovine-derived protease inhibitor • Desmopressin • Recombinant activated factor VII • This review the therapeutic benefits and risk of adverse events of hemostatic agents

  3. Antifibrinolytic agents • Aprotinin • Plasmin에 대한 direct inhibitor로 작용 • CABG에서 수혈 필요량을 최소화시키는 유일한 약제로 FDA의 공인을 받은 약제 • Lysine analoges • Aminocaproic acid, tranexamic acid • 아직 FDA 승인은 받지 못함 • 작용 기전 : plasminogen이 fibrin에 binding 하는 것을 방해하여 fibrinolysis 억제

  4. Antifibrinolytic agents • Primary CABG를 시행 받는 796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aprotinin 사용으로 • Blood loss 감소(mean 664 ml VS 1168 ml in control) • 혈액제제의 사용율도 적었음(40% VS 58%) • Repeat CABG를 시행 받는 환자에서도 aprotinin 사용시 • 혈액 제제의 사용이 1.6-2 units으로 placebo군(10-12 units)에 비해 적음 • Tranexamic acid나 aminocaproic acid에 대한 연구는 aprotinin에 비해 훨씬 적음 • CPB를 필요로 하는 Cardiac surgery를 시행 받는 2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tranexamic acid 투여 시 • Red-cell transfusion이 69% 감소 • 수혈을 시행받은 비율도 12.5%로 control군(31.1%)에 비해 감소

  5. Antifibrinolytic agents • Meta-analysis and systemic reviews for efficacy • Aprotinin, tranexamic acid : 수혈 필요량 30 % 감소, 수술 건당 1 unit의 혈액제제 save • Not of aminocaproic acid • Aprotinin high-dose VS low-dose regimens : no difference in efficacy • Aprotinin : 대량출혈로 인한 reoperation의 risk 감소. But mortality에는 영향없음. • Tranexamic acid, aminocaproic acid : 대량출혈로 인한 reoperation risk 감소 • Cardiac surgery에 있어서 antifibrinolytic agent는 effective hemostatic agents • 수혈 필요량 감소 • Bleeding으로 인한 reoperation 감소 • 다른 상황에서의 효과에 대해 더 많은 data가 필요

  6. Antifibrinolytic agents • Adverse events • Thrombotic complications(MI, stroke), renal dysfunction, etc • CABG를 시행 받은 4374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 Aprotinin 사용군의 severe renal failure risk가 두 배 증가, myocardial infarct이나 heart failure의 risk 증가, stroke과 같은 cerebrovascular events 두 배 증가 • 3가지 antifibrinolytic agents 모두 비슷한 정도의 출혈억제 효과 • Aprotinin의 adverse events가 다른 두 약제보다 more frequent

  7. Antifibrinolytic agents • 1991년~2005년 간의 연구에 대한 review • Aprotinin 투여한 환자의 9 % 에서 renal failure, 12.9 % (VS 8.4 % in control)에서 renal dysfunction 발생 • Mangano 등은 systemic review를 통해 aminocaproic acid, tranexamic acid가 aprotinin보다 안전하다고 보고 • But, 연구 규모가 너무 작고 review된 연구의 편수도 적음 • 현재 Canada에서 high risk cardiac surgery를 시행 받는 2970명을 대상으로 antifibrinolytic agent에 대한 study가 진행 중 • Aprotinin이 다른 aminocaproic acid나 tranexamic acid에 비해 출혈 억제 효과가 더 뛰어난지 확인 • Mortality와 adverse events (cardiovascular dis., renal failure 등) 확인

  8. Antifibrinolytic agents •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 • Aprotinin • Cardiac surgery를 시행 받는 환자에서perioperative and early postoperative blood loss, transfusion requirement 감소 • Mortality에 대한 영향은 불확실 • 안전성도 불확실하나 Canadian trial의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hemostatic agent로 choice • Lysine analogues • Aprotinin만큼 efficacy에 대한 evidence 부족 • High-risk cardiac surgery에 second choice

  9. Antifibrinolytic agents • FDA warning • Aprotinin 투여 시 renal, cardiac, brain toxic effect에 대한 monitoring이 중요 • Aprotinin은 어떠한 risk보다도 blood loss를 줄이는 것이 임상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사용

  10. Recombinant activated factor VII(rFVIIa) • 작용기전 • Tissue injury가 발생한 곳에서 tissue factor와 결합해 vascular-wall disruption • Thrombin을 형성해 platelet을 activation시키고 fibrinogen을 fibrin으로 전환시킴 • Fibrinolysis를 억제하여 clot formation을 안정화 • 처음에는 factor VIII이나 IX에 대한 antibody를 가진 hemophilia 환자에게 사용됨 • 현재는 수술이나 외상 등에 의한 대량수혈 시에 사용되고 있음 • Transabdominal prostatectomy를 시행받는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수술 전 rFVIIa 사용시 • blood loss가 의미있게 감소(50%) • 수혈이 필요없어짐 (placebo 군에서는 60%에서 수혈 시행)

  11. Recombinant activated factor VII(rFVIIa) • Noncoronary cardiac surgery를 시행받는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CPB weaning후 rFVIIa를 90 ug/kg 투여했을 때 • 수혈필요량이 의미있게 감소 • Cardiac surgery후 대량출혈이 발생한 51명의 환자에서 rFVIIa투혀 후 • blood loss와 수혈 필요량이 모두 의미있게 감소 • 그러나 acute renal dysfunction은 2.4배 증가 • Severe blunt trauma 환자 14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rFVIIa의 투여시 • 수혈 필요량이 의미있게 적었고(평균 2.6 units) • 대량수혈(20unit 이상)이 필요한 경우도 적었음(14% VS 33%) • Penetrating trauma 환자 13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의미있는 효과를 보지 못함

  12. Recombinant activated factor VII(rFVIIa) • 821명의 ICH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rFVIIa 사용시 • Hematoma의 size를 의미있게 감소시킴 • But, mortality나 90일째의 severe disability에는 no effect • Thrombotic complication • ICH나 thrombosis의 risk가 높은 환자에서 rFVIIa사용시 placebo군에 비해 thromboembolic event 가 더 많이 발생(7% VS 2%) • Thrombotic disease의 history가 있는 환자에서는 사용금지

  13. Recombinant activated factor VII(rFVIIa) • Acute hemorrhage시 다른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때 treatment option으로 효과적 • But, 상당히 고가의 약제이기 때문에 cost-effectiveness에 대한 연구가 필요 • DNA technology에 의해 molecule을 변화시켜 rFVIIa의 potency와 efficacy를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진행중임

  14. Desmopressin • 원래 유전적 혈액 응고 장애의 치료를 위해 개발됨 • 작용기전 • Endothelial cell에서 다량의 von Willebrand factor multimer를 분비시켜 von Willebrand factor와 factor VIII의 혈중농도 증가 • Primary hemostasis 촉진 • Hemophilia A와 von Willebrand disease환자의 출혈에 예방 및 치료 효과 • 1986년 Salzman 등은 complex cardiac surgery에서 blood loss와 transfusion requirements를 30%가량 감소시킨다고 보고 • 그러나 이후 1295명의 cardiac surgery를 시행받은 환자에 대한 18개의 연구에서 perioperative blood loss에 대한 영향이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남

  15. Desmopressin • Hemophilia A와 von Willebrand disease 이외에는 효과가 없음 • m/c adverse effect : facial flushing, transient hyponatremia -> usually mild • Atherosclerosis 환자뿐 아니라 bleeding disorder가 있는 환자에서도 Arterial thrombotic events가 보고됨

  16. Hemostatic agents for topical use • “fibrin sealants” • composed of human fibrinogen, human or bovine thrombin, human factor XIII, bovine aprotinin • Cardiovascular and thoracic surgery, liver and spleen laceration, bleeding at cannulation sites and suture lines 등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 • Efficacy와 safety에 관한 적절한 임상연구가 필요

  17. Conclusions • Aprotinin, lysine analogues, and rFVIIa : potent hemostatic agents • Desmopression : less efficacious • Aprotinin and lysine analoges : 대량출혈의 예방에 효과적이나 치료효과는 현재까지 입증되지 못함 • rFVIIa : 대량출혈의 예방뿐 아니라 치료에도 효과적 • Choice of hemostatic agents : efficacy, safety, cost 등을 고려해 전적으로 의사의 판단으로 선택 • 모든 약제가 hemostasis를 조장하며 thrombosis의 risk가 있음 • 특히 atherosclerosis가 있거나 thrombosis의 risk factor를 가진 환자에서 더 risk가 높음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