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9

윈도우 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방송실무

윈도우 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방송실무. 인터넷방송과 김 효 래. 출판사 : 정익사. 3 장 Window Media 인코더 9 4 장 Window Media 서비스 5 장 WMT 응용 및 활용. 1 장 인터넷 방송의 기본 개념 2 장 동영상 편집기술. 1 장 . 인터넷 방송의 기본개념. 인터넷 방송의 개요 인터넷 방송의 구성 인터넷 방송기술 인터넷 방송 구현 과정. 1. 인터넷 방송의 개요. 인터넷 방송의 개요 인터넷 방송의 구성 인터넷 방송기술

kerri
Download Presentation

윈도우 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방송실무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윈도우 미디어 기술을 이용한인터넷방송실무 인터넷방송과 김 효 래 출판사 : 정익사

  2. 3장 Window Media 인코더9 4장 Window Media 서비스 5장 WMT 응용 및 활용 1장 인터넷 방송의 기본 개념 2장 동영상 편집기술

  3. 1장. 인터넷 방송의 기본개념 • 인터넷 방송의 개요 • 인터넷 방송의 구성 • 인터넷 방송기술 • 인터넷 방송 구현 과정

  4. 1. 인터넷 방송의 개요 • 인터넷 방송의 개요 • 인터넷 방송의 구성 • 인터넷 방송기술 • 인터넷 방송 구현 과정

  5. 1.1 등장 배경 • 인터넷 방송이란 ? •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듣거나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 • 자신만의 방송국 구축시대 도래 • 등장 배경 • Www의 출현 • 스트리밍 기술의 발전 • 푸시기술의 등장 • 초기에는 학술적 이용 • 현재는 엔터테인먼트와 비즈니스의 공간으로 활용

  6. 1.2 인터넷 방송의 특징 •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 네티즌들간의 대화, 서비스 제공자와의 대화 • 시,공간 탈피 • 인터넷망에서 언제든지 시청 가능 • 기존방송은 제공자 주도 • 인터넷방송은 이용자 중심 • 다양한 콘텐츠 • 영화, 음악, 교육, 문화, 쇼핑, 종교 등

  7. 1.3 인터넷 방송의 분류 • 소규모 방송국 • 개인이나 소규모의 단체가 운영 • 데이타베이스 이용료, ISP비용등 예산필요 • 중간수준의 인터넷 방송국 • 24시간 운영 가능 •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가능 • 첨단 비즈니스 모델의 방송 • 과거와 현재의 정보 모두에 접근가능 • 인트라넷상의 인터넷 방송 • 그룹내에서의 방송 • 사내교육, 화상회의 등

  8. 1.4 인터넷 방송의 현황 • 1995. 10월에 KBS에 의해 개시 • 약 350개 운영 추정 • 1997. M2 스테이션이 전문 서비스 개시 • 국내 이용자의 경우 • 91.6%가 국내 사이트 이용 • 이중 약 60%가 지상파 방송국 이용 • 66.7%가 비디오, 33.7%가 오디오 방송

  9. 1.5 미래의 인터넷 방송 •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 구축 • 게임의 열풍등으로 PC방 전국적 확대 • 전 세계가 한국의 인터넷 방송 시장 주목 • 한국을 벤치마킹 대상 • 광고시장의 급속한 발전 • 약 5년이내에 잡지나 라디오 매체 추월 • 향후 본격적인 시장경쟁 체제 돌입

  10. 1.6 방송관련 기술 발전 추세 • 콘텐츠 제작의 디지털화 • 전송의 디지털화및 전송수단의 다원화 • 방송기기(단말기)의 다기능화 • 방송매체및 서비스의 다양화

  11. 1.6.1 콘텐츠 제작의 디지털화 • 방송 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디지털화 • 카메라,편집,저장등 전과정이 디지털화된 시스템에 의해 진행 • Digital Camera,Non-Linear Editor,Digital Server,Networked Environment • 방송 콘텐츠 전반의 호환성 극대화 • 영상,음성,데이타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가 함께 융합됨 • 어떤 매체로도 활용 가능

  12. 1.6.2 전송의 디지털화와 전송수단의 다원화 • 전송의 디지털화로 전송효율의 극대화 • 정보 퀄리티의 열화 극복 • 디지털 압축기술의 활용으로 채널용량의 확대 효과 • 전송수단의 다원화 • 디지털 환경에서 새로운 전송수단의 방송활용 여지 증가 • 다양한 전송 수단간의 경쟁

  13. 1.6.3 방송기기(단말기)의 다기능화 • Intelligent TV로의 진화 • 프로그램 단순 시청이외에 정보검색,저장,멈춤,되감기등 다양한 기능의 추가 • TV Internet 등 • 단말기의 융합으로 여러기능을 함께 가진 단말기 등장 • 방송,통신,IT의 융합이 단말기 부분에서도 발생 • 핸드폰 겸용단말기,PDA 겸용 단말기 등

  14. 1.6.4 방송매체및 서비스의 다양화 • 전송수단 다원화로 신규 방송매체의 계속적인 등장 • 주파수 활용기술의 발전 • 정보매체에서의 방송 유사 서비스 기능의 발전 • 방송 서비스 영역의 확대 • 정보 서비스및 양방향 서비스의 추가

  15. 2. 인터넷 방송 구성 • 인터넷 방송의 구성 요소 • 인터넷 방송 장비 • 인터넷 방송 조직

  16. 2.1 인터넷 방송의 구성요소 • 스튜디오 • 영상물의 제작, 편집 • Encoding • 컴퓨터에서 보여질수 있도록하는 과정 • 스트리밍 서버 •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서비스 • 운영 조직

  17. 2.2 인터넷 방송의 주요 장비 • PC를 최대한 활용 • 기존 방송국에 비해 고가의 특수장비는 불필요 • 투자 대비 효율성 저하 • 멀티미디어 캐스팅의 기본구도 • PC를 통한 방송물 제작 • 인터넷 통신 • PC를 통한 시청

  18. 2.2.1 캡쳐보드(코덱보드) • 미디어 파일을 외부장치(캠코더,VTR등) 로 부터 인코딩하여 컴퓨터로 입력 받을때 필요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델 : 오스프레이

  19. 2.2.2 인코딩 및 편집장비 • 전통적인 편집 : 아날로그(Linear) • 컴퓨터를 통한편집 : 디지털 편집(non-Linear) • 대표적인 편집 장비 • [피나클의 DV-500] [캐노푸스의 DV 스톰]

  20. 2.2.3 서버 장비 • IDC(Internet Data Center) 이용 • 운영체제는 윈도우즈 NT/2000 서버 • 웹 서버 • 가능하면 분리운영이 안정적 • 인코딩 및 미디어 서버 • 고속의 하드디스크 필수 • 독립된 디스크 시스템 운영(그림1.4 참조)

  21. 2.2.4 촬영 캠코더 • 인터넷 방송의 화질에 영향이 큼 • 일반적인 모델로 소니사의 VX-2100사용 (PD-150, PD-170 기종은 고급에 속함)

  22. VX-2100의 특징 • 나선형 스캐닝의 비디오 녹화 시스템 • 3CCD 카메라 시스템 • 2.5인치 하이브리드 LCD • 로터리 헤드의 오디오 녹화 시스템 • 575분의 스태미너 연속 촬영 • DV 입력과 출력

  23. 2.3 인터넷 방송 조직구성 • 조직 구성원의 주요 역할 • 기획 부문: Web PD, 콘텐츠PD, 아트디랙터 • 마케팅부문: 웹 마케터, 웹 프로모터 • 제작 부문: 멀티미디어 PD, 웹 디자이너, 촬영/편집 담당자 • 기술 부문: 웹 프로그래머, 네트워크 관리자, 시스템 관리자

  24. 2.3.1 일반적인 인터넷 방송 조직도

  25. 3. 인터넷 방송 기술 • 디지털 영상 압축 기술 • 스트리밍 기술 • 인터넷 방송 송출방식 • 윈도우 미디어 기술(WMT) • Pull 과 Push 기술 • 인터넷 방송 시스템

  26. 3.1 디지털 영상 압축 기술 • 동영상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압축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기술 방식 • 대표적으로 퀵타임,MPEG,H.261 • 퀵 타임 : 애플사 개발 • H.261 : TV회의, TV전화용 동영상 기술 • MPEG : VOD에 이용되는 대표적 압축기술 (MPEG1, MPEG2, MPEG4)

  27. 3.1.1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 1988년 MPEG 설립 • 동영상의 압축, 해제에 대한 표준 개발 (JPEG는 정지화상 표준개발) • MPEG1 : 유효대역폭이 1.5Mbps, CD-ROM을 대상 • MPEG2 : TV 에서 HDTV 방송 정도까지 포함(DVD) • MPEG4 : 양방향 멀티미디어 구현,이동통신 환경에 • 필요한 다양한 동영상 압축기술 • MPEG7 :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내용기반 검색용 (전자도서관,멀티미디어 디렉토리 서비스등)

  28. 3.1.1.1 다양한 파일 포멧들(동영상 파일) • AVI(Audio Video Interleave) : MS에서 만든 오디오 비디오 파일 윈도우의 기본 멀티미디어 포멧, 용량이 보다 큼 • ASF/WMV/WMA : MS의 실시간 감상용, 다운로드하면서 동시에 재생이 가능, 현재 많이 사용 • MPG/MPEG : AVI 나 MOV에 비해 압축률과 화질이 양호 • MOV : 애플사가 개발, 퀵타임 플레이어로 재생 • RA/RAM/RM : 실시간 재생, 리얼 플레이어로 재생 • DivX : DVD를 divX로 코딩한것, DVD용량을 CD에 저장가능, DivX로 코딩 했기에 DivX 코덱을 설치해야 감상 가능함 • DVD : 고화질의 MPEG2 압축표준 이용, CD의 8배 용량

  29. 3.1.1.2 다양한 파일 포멧들(이미지, 사운드화일) • BMP(Bitmap) : 윈도우의 기본 그래픽 파일 •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많이 사용되는 그래픽 화일 • JPG/JPEG : Joint Picture Expert Group으로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용량이 크지않아 많이 사용 됨 • MP3 : MPEG1 Audio Layer3 의 약자, CD음반의 음질 거의 유지 • WAV : MS사와 IBM이 공동 개발한 윈도우의 사운드 화일 • MID : 디지털 뮤직 규격에 사용되는 음악 화일

  30. 3.1.2 스트리밍 기술 다운로딩(Downloading) 스트리밍(Streaming) • 콘텐츠 파일을 모두 다운로드 받은 후에 파일의 일정량을 버퍼링 한 후 직접 Play Play (Real Time) • 사용자의 디스크에 콘텐츠 저장 사용자의 메모리 상에서의 실시간 서비스 • 사용자의 디스크에 저장되므로 지적 사용자의 디스크에 저장되지 않으므로 지적 재산권 보호에 문제가 됨 재산권 보호 정책에 유리 • 전체 파일을 모두 다운로드 받은 후에 일정량의 파일만을 버퍼링 한 후 실행되므로 네트워크 부하 과도 실행되므로 네트워크 부하 절감

  31. 3.1.3 인터넷 방송 송출 방식 •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 • 브로드 캐스트 • 불특정 다수에 무작위 송출

  32. 3.1.4 WMT(Window Media Technologies) • Window media service • Window media Tool • Window media Play 등으로 구성 • 세부사항은 윈도우 미디어 기술편 참조

  33. 3.1.5 pull 과 push 기술 • Pull • 이용자가 정보를 직접 검색 • Push • 제공자(서버)가 이용자에게 정보 제공

  34. 3.1.6 인터넷 방송 시스템 • 서비스의 형태 : VOD 와 Live casting • 인터넷 방송 시스템 구성도

  35. 4. 인터넷 방송 구현 과정 • 인터넷 방송의 기본 조건 • 인터넷 방송용 서버 • 인터넷 망 준비 • 인터넷 방송의 단계별 구현과정

  36. 4.1 인터넷 방송의 기본조건 • 실시간 방송 • 스트리밍 기술 활용 • 방송 편집 시스템 • 캠코더, 캡쳐카드, 편집 소프트웨어등 필요 • 방송용 서버 • 윈도우 2000/2004 • IIS/ASP 등 (윈도우 미디어서비스 이용시)

  37. 4.2 인터넷 망 준비 • 자체 네트워크 구축 • 대규모 방송국 운영시 • 일반적인 경우 • 네트워크의 유지비용 과다 • IDC 에 의한 호스팅 업체 이용

  38. 4.3 단계별 구현 과정 •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 촬영 후 방송물 캡쳐 • 프리미어등을 이용한 방송물 편집 • 편집 후 방송물 인코딩 작업 • 실시간 파일의 서버 저장 • 서비스 제공

  39. 5. 인터넷 방송 운영 및 관리 • 개 요 • 웹사이트 운영 및 관리 • 멀티미디어 콘텐츠 운영및 관리 • 인터넷 방송 운영 및 관리 방법론 • 국내.외 인터넷 방송 사이트

  40. 5.1 개 요 • 웹 사이트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운영으로 구분 • 웹 사이트 운영 • 미디어의 물적 기반인 웹 사이트를 통해서 안정적인 서비스와 지원 • 멀티미디어 콘텐츠 운영 • 지속적인 정보 욕구와 흥미를 유발 시켜서 상업적인 가치를 높여야 함 • 지속적인 관리와 유지보수 반드시 필요

  41. 5.2 웹 사이트 운영 및 관리 • 운영 및 관리방식 • 자체운영, 외부용역, 웹 호스팅으로 구분 • 운영 및 관리조직 • 웹기획자,디자이너,프로그래머,시스템관리자,자료갱신및DB관리자, 마케팅 전문요원 등 • 주요업무 • 웹서비스에 대한 총괄, 콘텐츠에 대한 업로딩및 업데이트, 콘텐츠 디자인, 그래픽 디자인, 웹서버 유지관리 등 • 보안,장애처리,시스템 모니터링 등

  42. 웹 사이트 운영시 유의사항 • 웹 사이트 방문 고객을 잡아라 • 주기적 업데이트를 지켜라 • 접속현황을 분석하라 • 메일링 리스트를 확보하자 •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라 •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창구를 적극화 하라 • 운영현황에 대한 주기적 보고체계를 확보하라

  43. 5.3 멀티미디어 콘텐츠 운영 및 관리 • 운영 및 관리 방식 • 제작방식은 자체 제작과 외부의 제작 대행 • 라이선스에 관해서는 관련 저작권 기구나 단체등을 통한 통합관리 • 운영 및 관리조직 • 웹PD,작가,촬영과편집,그래픽디자이너,대외업무 수행자(용역시) • 주요업무 • 기획과 시나리오 구성,촬영및 편집,콘텐츠에 대한 모니터링 • 자료갱신,보안관리,콘텐츠의 저작권 관리 등

  44. 5.4 인터넷방송 운영 및 관리 방법론 • 인터넷 방송 운영 및 관리와 관련된 정책 • 고객 성향 분석 • 웹 로그 분석

  45. 5.4.1 인터넷방송 운영 및 관리와 관련된 정책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웹사이트 운영에 있어서 필수이며 정책들이 점점 강화되고 있슴

  46. 5.4.1 인터넷방송 운영 및 관리와 관련된 정책 • 저작권 및 법적 정책 • 저작물로서의 보호를 받을수 있는 것에 대한 권리정책

  47. 5.4.1 인터넷방송 운영 및 관리와 관련된 정책 • 웹 사이트 이용 약관 • 기본적인 법적근거 확보,단지 이용자가 아닌 고객으로서의 의미

  48. 5.4.2 인터넷방송 고객 성향 분석 • 수익성 • 매출 상위의 고객에 대한 특별 관리로 마케팅 효과 극대화 • 최근 거래 여부 • 최근 거래고객을 중심으로 마케팅 및 관리 • 거래 빈도 • 구매의 각 주기와 시기를 파악하여 마케팅 • 지속성 • 거래 관계의 유지 분석 • 판매 증대 가능성

  49. 5.4.3 웹 로고 분석 • 운영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작업 중 하나이다 • 마케팅과 콘텐츠 가치를 확산시키는데 지표로 활용 • 운영관리에 대한 실적과 결과를 수시로 확인 • 로그파일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사항 • 방문자의 접속 도메인, 시간대, 요일 등의 추이 파악 • 분석후 광고나 홍보의 방법을 구상 • 동일 호스트로부터의 단골고객에 대한 전략적 마케팅 등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