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Purpose

Caudal 0 °. Caudal 0 °. Caudal 15 °. Caudal 15 °. Caudal 30 °. Caudal 30 °. Angle of LAO. Angle of LAO. No. No. Age. Age. RESULT. ABSTRACT. 71.24. 69.59. 64.46. 84.88. 1. 1. 36. 36. 70.68. 70.38. 40. 40. 58.53. 59.45. 67.8. 72.74. 2. 2. 49. 49. 59.63.

kevyn
Download Presentation

Purpose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Caudal 0° Caudal 0° Caudal 15° Caudal 15° Caudal 30° Caudal 30° Angle of LAO Angle of LAO No No Age Age RESULT ABSTRACT 71.24 69.59 64.46 84.88 1 1 36 36 70.68 70.38 40 40 58.53 59.45 67.8 72.74 2 2 49 49 59.63 57.37 40 40 3 3 53 53 39 39 50.26 40.43 48.53 57.35 39.42 49.32 4 4 67 67 46 46 52.7 54.31 41.12 49.05 51.5 50.97 40 40 37 37 67.49 60.94 69.44 72.74 5 5 67.41 57.94 Table.1. Manual analysis of the patients data Table.2. Autoanalysis of the patients data 60 60 38 38 63.58 69.74 66.68 63.94 6 6 62.18 70.84 7 7 59 59 36 36 70.15 63.72 70.73 69.39 64.43 59.60 8 8 59.92 60.75 66.74 62.97 80.62 67.62 50 50 40 40 67.74 64.03 65.25 67.67 9 9 64.01 64.13 34 34 42 42 63.81 64.26 66.28 63.74 60.28 60.85 10 10 45 45 44 44 34 34 40 40 64.42 103.29 129.96 65.86 11 11 65.55 73.76 12 12 40 40 41 41 41.41 43.89 44.78 39.83 40.88 40.73 63.58 69.74 63.94 66.68 62.18 70.84 13 13 51 51 38 38 14 14 49 49 40 40 66.74 62.97 67.62 80.62 59.92 60.75 INTRODUCTION 15 15 36 36 40 40 64.42 103.45 65.87 102.27 65.55 73.76 Study Design (Materials and Methods) CONCULSION REFERENCE MUGA(Multi Gated Blood Pool) Scan에서 미측 각도 변화와 그에 따른 관심영역이 자동설정과 수동설정일 경우 심박출계수의 변화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오창범, 이승재, 박민수, 박훈희, 강천구, 임한상, 김재삼, 이창호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cardiac index according to the caudal tilt when controlling the angle in order to draw exact ROI(Region of Interest) in the left ventricular. Subject and Method The study obtained the image by using the 0˚, 15˚, and 30˚ tile in the LAO and caudal direction targeting the same patient who had MUGA Scan. ROI was drawn to two images of left ventricular region by using PEGASIS, and according to each tilt, ROI was drawn with both auto and manual methods to compare and evaluate cardiac index. Result As the result of acquiring the image by giving 0˚ and 15˚ tilt, when ROI was drawn by the manual configuration, there was no significance(p>0.05) and in case of the auto configuration, there was also no significance(p>0.05). When ROI was drawn between 15˚and 30˚, there was no significance(p>0.05), while in case of auto configuration there was a significance(p<0.05). Conclusion Both auto and manual configuration showed a significance between 0˚ and 15˚. Based on this, it seems to bed applied to Dual Head that is unable to give caudal tilt. ANOVA를 사용하여 유의성을 평가한 결과, 0 ˚ 와 15 ˚ 로 경사를 주어 영상을 획득한 것은 수동설정 방식으로 ROI를 그렸을 경우 유의성이 없음을 나타내었고(p>0.05), 자동설정방식으로 ROI를 그렸을 경우에도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p>0.05). 15˚, 30˚ 사이는 수동설정으로 그렸을 경우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자동설정으로 그렸을 경우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수동설정과 자동설정 방식과의 비교는 모든 각도에서 평균적으로 자동설정 방식이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Fig. 5~10). 좌심실의 수축기능은 심실근의 동시적인 수축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좌심실 기능저하가 있는 경우 좌심실벽의 운동을 관찰함으로써 이것이 좌심실의 국소적 병변에 의한 것인지 또는 전반적인 병변에 의한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좌심실의 기능평가에는 좌심실의 심박출계수(Ejection Fraction; EF)와용적이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많이 사용되어진다. 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좌심실 조영술, 심초음파, MUGA Scan 등이 있으나 비관혈적 총체적인 심실벽의 운동 영상을 얻을 수 있는 MUGA Scan이 많이 사용된다. MUGA Scan영상획득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중의 하나가 환자의 위치 결정이다. 잘못된 위치 결정은 심실벽 운동 이상 및 좌심실 기능 Fig.1. Anatomy of the heart 평가에 오차를 가져올 수 있다. MUGA Scan에서의 영상은 좌, 우 심실이 완전히 분리되고 좌심실의 축이 수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좌심실에 정확한 ROI(Region Of Interest)가 그려질 수 있도록 각도를 조절하기도 하는데 각 도는 약 10~20도의 미측경사(Caudal Tilt)를 둔다. 심박출계수의 ROI 형성 시 Background의 ROI를 증가시키면 심박출계수율(EF)가 높아지며 감소시키면 낮아진다. 마찬가지로 Background의 ROI 설정 시 좌심실이 포함되면 심박출계수율이 높아지는 오류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미측 각도 변화에 따른 심박출계수율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더불어 자동설정 방식과 수동설정방식으로 설정했을 때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Fig.5. ROI setting manual set to 0 degrees when EF values. Fig.6. ROI setting Auto set to 0 degrees when EF values. 2010 년 1 월부터 2010년 2 월까지 MUGA Scan 을 시행한 환자 중 15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범위 : 34~67 세, 평균연령 :40.2 세) 동일한 환자를 좌사방향과 미측방향으로 0 도, 15 도, 30 도 경사를 사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적혈구 표지방법은 환원제(SnCl2, 15 ㎍/kg)를 정맥주사하고 20 분 후에 99mTcO4 740 MBq를 정맥주사 하였다. 방사성의약품 주사 5~10 분 후 영상을 획득하였다(Fig. 2). 영상획득은 Philips 사의 ARGUS를 이용하였고 콜리메터는 Low Energy High Resolution Collimator를 사용하였다(Fig. 3). 영상획득 조건은 다중 게이트 획득 방식으로 매 R-R 간격마다 서로 상응하는 단위 영상을 500 초 동안 계수치를 얻어 24 개의 단위 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처리는 PEGASYS를 Fig.7. ROI setting manual set to 15 degrees when EF values. Fig.8. ROI setting Auto set to 15 degrees when EF values. Fig. 2. ARGUS (Manufactured by Philips) Image Acquisition Camera. 이용하여 각영상의 좌심실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였고 각 경사에 따라 자동 설정방법과 수동 설정방식으로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심박출계수율(EF)값을 비교 평가하였다 (Fig. 4). Fig.9. ROI setting manual set to 30 degrees when EF values. Fig.10. ROI setting Auto set to 30 degrees when EF values. Flow Chart 본 연구를 통하여 자동설정방식과 수동설정방식 모두 0 ˚ 와 15 ˚ 사이에는 유의성이 없음을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미측경사를 줄 수 없는 Dual Head 카메라에도 적용할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또한 자동설정방식으로 ROI를 설정하였을 때 Background 부분에 여러 장기들이 포함되면서 전반적으로 심박출계수율(EF)값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자동설정 방식보단 수동설정방식이 정확한 심박출계수율(EF)값을 얻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PYP INJECTION 20 Min RESTING 99mTcO4 740 MBq INJECTION 5~10 Min RESTING IMAGE ACQUISITION Fig. 3. Flow Chart . All patients PYP injection then injection of 99mTcO4 185MBq was 20 minutes later. And then scan was performed 5-10 minutes later. 1. HERMAN, M.V., Heinle, R.A., Klein M.D. and Gorlin, R. : Localized disoders in myocardial contraction. N. Engl. J. MED., 277:222-232, 1967 2. Nichols, A.B., McKusick, K.a., Strauss, H.W., Dinsmore, R.E., Block, P.c. and Pohost, G.M. : Clinical utility of gated cardiac blood pool imaging in congestive left heart failure. Am. j. Med., 65:785-793, 1978 3. 이종두, 함진경,박창윤 등 : Radionuclide Ventriculogram(RVG)에서 좌심실 심박출계수가 현저하게 저하된 환자에 있어서의 예후 4. 이강욱, 정준기, 오병희 등 :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방사성동위원소 위상분석에 의한 심근 국소 운동 평가 5. 고창순 : 게이트심장혈액풀신티그라피 In : 고창순 핵의학 2판 고려의학 1997. 377-393 6. A study on the Left Ventricular Wall Motion with EKG 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7. 김정열, 박훈희, 남궁혁 등 : 게이트 심장 혈액풀 검사에서의 관심영역 설정시 심장주위 장기로부터 산란선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고찰 Fig. 4. ROIs Analysis (Gated Analysis ver. 3.40)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changbum@yuhs.ac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