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7

ITS 표준체계

ITS 표준체계. 2006. 9. 건 설 교 통 부. 강 의 순 서. Ⅰ. 기본개념. Ⅱ. ITS 국제표준화 동향. Ⅲ. 선진국의 ITS 표준화 추진 현황. Ⅳ. 국내 ITS 표준화 추진현황. I. 기본개념. 표준화 (Standardization) 의 개념. 표준 (Standard) 이란 ? ‘ 좋은 약정 ’ , ‘ 편익을 얻을 수 있는 약속 ’ 혹은 ‘ 유익한 규칙 ’ 한국 산업표준 (KS) 정의

kipling
Download Presentation

ITS 표준체계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ITS 표준체계 2006. 9. 건 설 교 통 부

  2. 강 의 순 서 Ⅰ. 기본개념 Ⅱ. ITS 국제표준화 동향 Ⅲ. 선진국의 ITS 표준화 추진 현황 Ⅳ. 국내 ITS 표준화 추진현황

  3. I. 기본개념

  4. 표준화(Standardization)의 개념 • 표준(Standard)이란? • ‘좋은 약정’, ‘편익을 얻을 수 있는 약속’ 혹은 ‘유익한 규칙’ • 한국 산업표준(KS) 정의 • 관계하는 사람들 사이에 편익이 공정하게 얻어지도록 통일단순화를 조정할 목적으로 물체,성능,배치,능력,상태,동작,절차,방법,수속,책임,의무,권한,사고방법,개념등에 대하여 정한 결정 • 표준화란? • 표준을 설정하고 이것을 활용하는 조직적 행위 • Chaos 를 Cosmos 로 바꾸려는 행위

  5. 표준화(Standardization)의 과정

  6. 표준화(Standardization)의 장단점 • 장점 • 다양한 시스템간의 상호 운용성 보장 • 시기적절한 표준의 제정은 적자생존의 위험을 방지하고 투자를 보호 • 전국적, 국제적 시장확보 가능 • 대체부품의 호환성확보로 유지관리비 절감 • 단점 • 새롭고 혁신적인 해결책 개발 방해 •  표준의 개정 혹은 폐지로 보완가능 • 자유로운 시장경쟁을 억제함 • Not Always BEST = STANDARD (예, VHS vs. BETA)

  7. 표준의 종류 • 제정방법 • 공식표준(De-jure) vs. 실질표준(De-facto) • 적용성격 • 강제(Regulatory)표준 vs. 권고(Voluntary) 표준 • 내용 • 기본표준 : 문자, 부호, 용어 • 제품표준 : 종류, 품질, 규격 • 방법표준 : 시험방법, 성능시험방식 • 기타 서비스 표준, 안전표준 등 • 제정기구 • 국제, 지역, 국가, 단체, 회사표준

  8. 표준화 사업의 딜레마 정부의 입장 - 공적표준( 정부개입) vs. 실질표준(시장경쟁)

  9. 표준화 사업의 딜레마 기업의 입장 (기술독점 vs. 기술공개)

  10. 1.0 100 Total Market 시장 점유율(%) Sales Profit 0 0.0 1.0 기술개방의 정도 기술개방의 비용/ 편익 이윤 판매 시장성

  11. 국제 표준의 중요성 • 교통,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21세기는 국제화 시대 • 특히 ITS 분야는 제품생산이나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시장 특성상 국제적인 성격을 가짐 • 더욱이 WTO/TBT체제로 보호무역주의가 쇠퇴하고 국가간의 무역상 기술장벽을 제거하는 추세임 • 따라서 치열한 국제시장경쟁에서 살아 남는 길은 곧 자국의 기술을 국제표준화 하는 것임 • 현재 ISO, ITU, IEC 등의 국제표준기구를 중심으로 치열한 표준경쟁이 활발하게 진행 중임

  12. WTO/TBT 협정 • 배경 • GATT 체제 발족이래 무역상의 기술장벽(TBT)이 세계 주요 교역국들의 현안과제로 대두됨 • 이를 해결하기 위해 ‘79년 GATT/TBT협정이 체결됨 • 이는 최근 우루과이라운드 협상결과 GATT체제가 WTO 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WTO/TBT 협정으로 대체되었으며 현재 134개국이 가입됨 • 무역상 기술장벽(Technical Barrier to Trade;TBT) • 무역상대국간에 서로 상이한 표준, 기술규정, 인증절차,검사제도 등을 채택, 적용함으로써 상품 및 서비스의 자유로운 이동을 저해하는 무역에 있어서의 제반 장애요소

  13. WTO/TBT 협정 • 주요 표준관련 협정 내용 • 체약국들은 수입물품에 대하여 기술규정 및 표준을 적용함에 있어 내국민대우와 무차별 원칙을 적용하여야 함 • 특정 체약국이 기술규정이나 표준을 개발할 경우, 관련되는 국제표준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 또는 일부를 채택하여 적용하여야 함. 단, 자국의 기후조건, 지리적 요인, 국가안보, 보건, 위생, 환경보호 등에 따른 예외는 인정됨 • 특정 체약국이 기술규정이나 표준을 개발할 경우, 관련되는 국제표준이 존재하지 않거나 국제표준의 내용과 실질적으로 같지 않을 경우로서 타국의 무역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에는 이해당사국이 숙지할 수 있도록 간행물에 공표하고 WTO 사무국을 통하여 타 체약국에 통보하여야 함 • 분쟁해결 • 기술장벽위원회를 설치하여 분쟁국 간의 중재에 나섬

  14. 국제 표준기구의 종류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ITU) : 주파수 및 통신분야 • 1947년 UN산하기구 (185개 회원국, 본부:브뤼셀) •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 전기전자 분야 • 1908년 발족, 48개 회원국, 본부: 제네바 •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ISO) : 기타 전분야(교통부문포함) • 1947년 발족, 118개 회원국, 본부 :제네바 • 기타 Joint Technical Committee 1 (JTC 1)

  15. 국제 표준 개발 과정

  16. II. ITS 국제 표준화 동향

  17. ISO/TC 204 • 1993년부터 국제 ITS 표준전담기구 역할 • 현재 활동 중인 작업반(WG)은 모두 13개이며 21개의 정회원 국가와 26개의 참가회원국가가 활발한 표준화 활동전개 • 2001년까지 현재 추진 중인 ITS 관련 국제 표준개발을 일단락하고 보다 효율적인 체제를 구축하여 지속적으로 활동할 예정 • 한국은 1995년에 정회원자격 취득 • 전반적으로 국내 참여도가 저조했으나 최근 몬트리올 회의부터 국내 ITS 전문가 10여명이 참여하면서 ITS관련 국제표준화 활동에 적극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18. ISO/TC 204 WG 현황 • 현재 활동중인 13개 WG 중 유럽의 8, 미국 2, 일본 2, 캐나다 1명의 팀장을 맡고 있어 Convenorship은 유럽이 과반수를 차지함 작업반 작업반 표준화 내용 표준화 내용 WG1 시스템 아키텍쳐 WG9 통합 교통정보 관리 및 제어 WG2 품질 및 안정성 요구사항 WG10 여행자용 교통정보제공 WG3 WG11 TICS D/B 기술 경로안내 및 항법시스템 WG4 자동요금징수 WG13 인체공학 및 MMI WG5 차량운행관리 WG14 도로 및 차량경고 제어시스템 WG7 화물 및 화물차량운행관리 WG15 단거리 전용무선통신 대중교통 및 긴급상황관리 WG8 WG16 광역 무선 통신 영상처리 Ad-hoc

  19. WG 1 (CEN/TC278/WG13과 공동작업) • 작업내역 : ITS를 위한 참조모델, 아키텍쳐 및 용어정의 데이터 사전 및 데이터 모델링, 기본서비스정의 - 주요 표준화 과제 • ITS 표준 용어 정의 • ITS를 위한 참조 아키텍쳐 • ITS를 위한 데이터 모델링 (Data Registry, Data Dictionary, Message) • 현재 데이터 등록소와 데이터 사전에 관한 표준안(ISO14817)에 대한 투표가 진행중임 - 주요 이슈 • Object Oriented VS. Process-based approach (국제표준,일본) (미국, 한국)

  20. WG 3 • 작업내역 : ITS를 위한 교통정보 구축 및 호환용 D/B표준인 GDF 개발, CNS용 응용 DB 물리적 저장 형식, 위치참조 표준 등 • 주요 표준화 과제 • 교통정보 DB 교환포맷 (GDF, X-GDF) • Physical Storage 포맷 • 위치참조 정보형식 표준(Location Referencing) • Nav. System API Standard • 주요 이슈 • 가장 활발한 WG의 하나이며 특히 ‘95년부터 우리나라 전문가가 참여하고 있음

  21. WG4 (CEN/TC278/WG12와 공동작업, JCT/SC31과 연계) • 작업내역 : intermodal/multimodal 화물수송 표준화(화물종류, 콘테이너, 수송수단 분류 등) • 주요 표준화 과제 • 자동차량 및 장비인식 시스템 아키텍쳐 • 시스템 사양/ 넘버링 및 데이터 구조 • 연계 화물 수송 • 참조 아키텍쳐, 넘버링, 시스템 파라미터 등 • 주요 이슈 • 전세계 콘테이너 화물운송의 효율성 제고와 관련장비의 효율적 관리 및 안전을 도모

  22. WG 5 (CEN/TC278/WG1과 공동작업) • 작업내역 :자동요금징수 시스템(ETC)의 정보, 통신, 제어에 대한 표준 담당 • 주요 표준화 과제 • 완 료 : 운영자간 정산용 인터페이스 사양 DSRC를 위한 요구사항, 응용 인터페이스 정의 통합징수 요구사항 IC 카드를 위한 요구사항 ETC를 위한 위협 및 보안 정의 CN/GNSS 기반 ETC를 위한 적용 요구사항 • 개발중 : ETC 아키텍쳐 ETC 장비 시험 절차, 보안서비스 Framework IC카드를 위한 인터페이스 정의 CN/GNSS 기반 ETC를 위한 적용 인터페이스 정의 • 주요 이슈 • 이미 CEN/TC278과 관련하여 ‘92년부터 활동을 시작한 WG임

  23. WG 7 • 작업내역 : 첨단 화물 운송체계 관련 표준화(위험물 포함) • 주요 표준화 과제 • 위험물 운송에서의 전자표식에 의한 메시지 형식 • 주요 이슈 • 지난 몬트리올 회의에서 WG6과 WG7이 합쳐져 ‘General Fleet Management and Commercial Freight 분야로 조정됨(팀장:캐나다) • 회원국 적극 참여 희망

  24. WG 8(CEN/TC278/WG3과 공동작업) • 작업내역 : 첨단 대중교통체계 및 긴급상황 서비스 관련 표준화 • 주요 표준화 과제 • 미국 TCIP와 유럽 TRANSMODEL 통합방안 협의 • 긴급차량신호 우선 시스템 제안(일본) • 대중교통 정거장 번호 체계 표준 • 대중교통 차량에 통신 표준 : • 대중교통 인터페이스 통신(TCIP) 표준 • 주요 이슈 • 아직 완성된 표준안은 없으나 향후 활발한 활동이 예상되며 특히 한국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하고 있는 분야임

  25. WG9 • 작업내역 : 종합 교통정보 관리 및 제어 • 주요 표준화 과제 • ITS를 위한 센터간 데이터 인터페이스 • 데이터 사전, 메시지 정의 • ITS에서 노측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교환 : NP 단계 (개관, 프로파일, 관리표준) • ATMS용 데이터 사전 : PWI 단계 • 교통정보 수집장비의 성능평가 표준 등에 대해 일본측의 제안 : 현재 각 국가별 현황조사 중 • 주요 이슈 • 데이터 사전 분야의 표준화가 착수단계에 있으므로 이에 우리 나라 전문가의 적극적 동참이 요구됨

  26. WG10 (CEN/TC278/WG4와 공동작업) • 작업내역 : 여행 및 교통 정보 • 주요 표준화 과제 • 여행 및 교통정보 메시지 제공방식에 대한 표준 Traffic Message Coding DSRC Beacons Cellular Network Stationary Dissemination Systems • TTI 개념 모델 아키텍쳐 및 용어, 이용자 서비스 통합 • TTI over High Data-rate Broadcast Digital Bearers • 주요 이슈 • 국내 자동차 업계 및 교통정보 제공 업계의 적극적인 참여 필요

  27. WG11 • 작업내역 : 경로안내 및 차량항법 시스템 • 주요 표준화 과제 • CNS 통신장치 메시지 집합 및 CDRG-interactive • 메시지 집합을 위한 새로운 설명방법 및 메시지 집합 설명 언어(DNF) • 항법장치 아키텍쳐 : 사전 작업항목(PWI)으로 의견 수렴 중 • 주요 이슈 • 현재 CNS를 위한 새로운 메시지 형식 표현 방식인 DNF를 표준화 항목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기존 ASN.1과의 조화가 요구됨

  28. WG14 • 작업내역 : 차량/도로 경고 및 제어 시스템 • 주요 표준화 과제 • Adaptive Cruise Control, Forward Vehicle Collision Warning System • 장애물 경고 시스템 • 저속에서의 운전조작 지원 • 측면경고 시스템 장애 • 차로 이탈 경고 시스템 • 주요 이슈 • 이미 DIS 단계에 와 있는 표준의 수용가능성 검토 작업이 요구됨 • 국내 자동차 회사의 관련 분야 전문가의 적극적 참여 요구됨

  29. Application layer의 상위에 ETC 서비스 이외의 다양한 DSRC 서비스용으로 ‘DSRC Resource Manager’를 신규 작업항목으로 지정하고 SWG를 구성 작업 중임 • Data Link for DSRC-DSRC Layer 2 • Application Layer for DSRC-DSRC Layer 7 • 주요 이슈 • DSRC 물리계층 표준을 국제 표준화 하지 않기로 함에 따른 국내표준화 방향 설정 시급 • DSRC Resource Manager 표준 작업에 적극 동참 필요 • WG15 • 작업내역 : 단거리 전용무선통신(DSRC) • 주요 표준화 과제

  30. WG16 • 작업내역 • : 광역 통신 • 주요 표준화 과제 • 향후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는 WG로서 그 작업 범위를 광역 통신 전분야를 포괄할 예정임 • Ad-hoc Group • 작업내역 : 비디오 영상처리에 관한 표준화 • 표준화 작업현황 • ‘Secure Digital Imaging for the ITS Sector’를 NP로 채택 추진 • 주요 이슈 • 국내 기술의 국제 표준화가 유망한 분야로써 관련업체 전문가의 적극적 동참 필요

  31. III. 선진국의 ITS 표준화 추진 현황

  32. 유럽(CEN/TC 278) • 표준개발의 역사가 오랜 유럽지역은 ITS 와 관련하여 이미 CEN/TC278을 중심으로 1991년 부터 활동시작 • 주로 요금징수시스템, 교통 및 여행자 정보,도로지리 정보분야 등을 중심으로 활발한 표준화 활동 전개 • 비엔나 협정과 1국 1투표권 등의 ISO 규정이 표준화 활동에 유리 • 현재 7개 WG 팀장국과 전체 ISO/TC204의 의장국이 유럽국가임

  33. 미국(ITS-America) • 1996년 아키텍쳐 완성후 5년간 224억원의 예산으로 표준개발 추진중 • ITS-America내의 Standards & Protocol Committee에서 연방정부 교통부의 지원을 받아 총괄 추진 • 아키텍쳐에서 형성되는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데이터 사전과 정보교환형식(Message Set) 표준개발에 치중 • 교통기술자 협회(ITE), 자동차 기술협회(SAE) 등 5개 표준개발기관을 지정하여 관련 전문가와 함께 표준개발 • 현재까지 17개의 핵심표준(Critical Standards)을 개발하였고 60여개의 표준이 개발중에 있으며, 매년 20여개의 표준이 생성될 예정 • 의견합일이 어려운 표준화 항목은 잠정표준제도를 실시하고 정부가 중개역할 • 국제표준에 대응하기 위한 USTAG/USWAG 와 같은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여 체계적으로 대응

  34. 일본(ISO/TC204 국내 대책위원회) • WTO/TBT체제에 적응하기 위하여 자체기술의 국제표준화에 총력을 기울임 • 특히, 최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ITS 산업의 세계시장 선점을 목표로 ISO/TC204 전분야에 전문가를 대거 파견 • 국내에는 ISO/TC204의 각 WG별로 전담기관을 지정하여 체계적인 대응책 마련 • 특히 자동차 산업과 연관 깊은 WG3과 WG11의 팀장을 맡고 이 분야 표준화를 적극 주도하고 있음 • 1999년 11월 현재 객체지향형 ITS 시스템 아키텍쳐를 완성하고 이를 통해 통합적인 ITS 구축을 시도할 예정

  35. IV. 국내 ITS 표준화 추진 현황

  36. ITS 기술표준화의 필요성 • ITS 사업을 범국가적 차원에서 통합구축하기 위한 기본원칙제공 • 수요자 중심의 광역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 시스템과 서비스간의 실질적인 호환성 및 상호운용성 확보 • 국가적 표준을 통한 기술개발의 일관된 방향을 제시하여 개별 기업들의 기술개발 중복투자와 시행착오 방지 및 불확실성 완화 • 국내 ITS 관련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최신 세계 기술동향을 파악함으로서 국내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 WTO/TBT 체제하에서 ITS 국제표준화 동향에 적극 대처하고 국제 표준설정시 국내 입장 적극 반영

  37. ITS가 제공할 이용자서비스

  38. 돌발상황관리 실시간교통제어 자동교통단속 교통정보제공 종합여행안내 대중교통정보제공 대중교통관리 자동요금징수 중차량관리 교통사고예방 도로용량증대 최적경로안내 아키텍쳐 없는 ITS 이용자 서비스의 제공

  39. 실시간 교통제어 돌발상황관리 자동교통단속 교통정보제공 종합여행안내 대중교통정보제공 대중교통관리 자동요금징수 중차량관리 교통사고예방 도로용량증대 최적경로안내 아키텍쳐를 통한 ITS 서비스의 통합적 구현

  40. “ITS 아키텍쳐(Architecture)”란? ITS의 통합적 구현을 위한 틀 • 서비스/기능 영역의 경계와 참여주체를 정의, 표현 • 서비스 및 기능을 정의 • 시스템간 연계통합 구도 설정 • ITS 사업계획, 범위설정, 통합의 틀 제공

  41. ITS 아키텍쳐 구축 기대효과 • 구축비용 절감 • 시스템개발/구축시간 단축 • 장래의 시스템확장에 대비 가능 • 점진적 서비스 구현 또는 시스템구축이 가능 • 정보/자료의 효율적 공유 또는 교환 • ITS를 통합적으로 구현 • 시스템 구축사업의 위험부담 감소

  42. 국가 ITS아키텍쳐의 위계(수준) 제1수준 아키텍쳐 범국가적 골격구조 서비스영역 (구상/정의 단위) 제2수준 아키텍쳐 다조직적 책임구조(논리적 구조) 시스템 (연계/통합 단위) 제3수준 아키텍쳐 단조직적 책임구조(논리적 구조) 서브시스템 (서비스구현 단위) 제4수준 아키텍쳐 단조직적 운영구조(물리적 구조) 물리적 구성틀 (구성요소/구축단위)

  43. 3수준 (34개 서브시스템) 2수준 (10개 서브시스템) 1수준 (3개 분야) 서브시스템 분해결과

  44. 여행자장치형 구성요소 센터형 구성요소 교통관리 정보제공 돌발상황 관리 자동단속 자동요금 징수 개인단말장치 공중단말장치 권역교통 정보 기본교통 정보안내 부가정보 버스정보 좌석 예약 신호장치 승용차량장치 검지장치 대중차량장치 표시장치 계중장치 노변방송장치 화물차량장치 요금징수장치 긴급차량장치 주차안내장치 차량장치형 구성요소 감시장치 도로장치형 구성요소 물리아키텍쳐 구성요소 중차량 관리 대중교통 통합요금

  45. 국가 ITS 제 4수준 물리 아키텍쳐

  46. 아키텍쳐와 표준화간의 관계 정보교환 교통정보 교통관제 시스템 대중교통 관리시스템 ITS 아키텍쳐 차량운행정보 교통관리를 위한 데이터 사전의 표준화 ITS 교통관리를 위한 정보교환형식의 표준화 표준화 센터와 센터간의 통신프로토콜 표준화

  47. 질의응답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