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2

오늘의 학습 주제

오늘의 학습 주제. Ⅱ. 근대 사회의 전개 2. 개화 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2-1. 개화 세력의 대두 2-2. 개화 정책의 추진과 반발 2-3. 개화당의 근대화 운동 2-4. 근대적 개혁의 추진. 오늘의 학습 발문. 1880 년대 개화 정책의 중심 기구는 무엇이며 개혁의 내용은 무엇일까 ? 1880 년대 해외 문물 시찰을 위해 파견된 사람들은 누구이며 그들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 ? 개화 정책의 추진에 대한 반발로 나타난 움직임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

kuniko
Download Presentation

오늘의 학습 주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오늘의 학습 주제 Ⅱ. 근대 사회의 전개 2. 개화 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2-1. 개화 세력의 대두 2-2. 개화 정책의 추진과 반발 2-3. 개화당의 근대화 운동 2-4. 근대적 개혁의 추진

  2. 오늘의 학습 발문 • 1880년대 개화 정책의 중심 기구는 무엇이며 개혁의 내용은 무엇일까? • 1880년대 해외 문물 시찰을 위해 파견된 사람들은 누구이며 그들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 • 개화 정책의 추진에 대한 반발로 나타난 움직임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 임오군란은 왜 일어났고, 내용은 어떠했으며, 어떤 결과를 가져왔을까?

  3. 개화 정책의 추진 1 (1) 제도 개혁 ① 관제 개편 : 통리기무아문 설치(1880,개화 정책 총괄), 12사를 두어 개화 정책 분담  ② 군제 개편 : 구식군대(5군영→2영[무위영‧장어영]), 별기군창설(1881, 교관-일본인)  ③ 근대 시설 : 기기창(무기), 박문국(인쇄), 전환국(화폐,1883), 우정국(우편,1884)

  4. 개화 정책의 추진 2 (2) 외교 사절 및 시찰단 파견 ① 수신사 : 김기수(1876 ,일동기유 저술), 김홍집(1880,조선책략 소개), 박영효(1882,임오군란에 대한 사과)  ② 조사시찰단(1881) : 암행어사 직책, 일본의 문물 시찰, 보고서 제출 - 박정양・홍영식 등  ③ 영선사(1881) : 청의 근대적 무기 제조법과 군사 훈련법 습득 (책임자 김윤식) → 기기창 설립  ④ 보빙사(1883) : 조‧미 수호 통상조약 체결을 계기로 미국시찰 - 민영익・홍영식・유길준 등

  5. 위정척사운동의 전개 1 (1) 개념 : 정학(성리학)을 지키고 사학(다른 종교・사상, 천주교)을 배척  * 특징 : 보수적 양반 유생층 주도, 조선의 전통 옹호(신분제・지주제 등) (2) 전개 과정 시기 배경 주장 인물 1860년대 병인양요,통상 반대(척화주전론) 이항로, 기정진 1870년대 강화도조약,개항 반대(왜양일체론) 최익현 1880년대 조선책략, 개화정책 개화 반대(영남만인소) 이만손, 홍재학 1890년대 을미사변, 단발령 항일 의병 봉기 유인석, 이소응

  6. 위정척사운동의 전개 2 (3) 의의 및 한계  ① 의의 : 일본과 서양의 침략 저항 → 반침략, 반외세의 자주 운동  ② 한계 : 조선 왕조 봉건 체제 고수 → 정부의 개화 정책 추진 지연

  7. 임오군란(1882) 1 (1) 배경 : 정부의 개화 정책 추진, 일본의 경제 침투(곡물 유출),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대우 (2) 전개 과정  ① 구식군인 봉기 : 민씨정권과별기군교관 살해, 일본공사관 습격, 도시빈민 합세, 명성황후 피신  ② 흥선대원군 재집권 : 개화 정책 중단 (통리기무아문과 별기군 폐지, 5군영 부활)  ③ 청군의 개입 : 청군의 조선 출병, 군란 진압(대원군을 청에 납치), 민씨 정권 재집권

  8. 임오군란(1882) 2 (3) 임오군란의 결과  ① 청의 내정 간섭: 내정고문(마젠창), 외교고문(묄렌도르프) 파견, 청군주둔(위안스카이)  ②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1882) : 청 상인의 내륙 진출허용, 조선은 청의 속방 명시  ③ 제물포 조약체결(1882) : 일본에 배상금 지불, 일본 공사관의 경비병 주둔 허용  ④ 민씨 정권의 친청 정책: 청의 도움으로 재집권 → 친청 정책 추진 → 개화 정책 후퇴

  9. 초성으로 맞추는 역사용어 • ㅌㄹㄱㅁㅇㅁ • ㅈㅅㅅㅊㄷ • ㅇㅇㅇㅊㄹ • ㅇㄴㅁㅇㅅ • ㅇㅇㄱㄹ • ㅁㄹㄷㄹㅍ • ㅅㅁㅅㄹㅁㅇㅈㅈ • ㅈㅁㅍㅈㅇ

  10. 오늘의 학습 정리 • 개화 정책의 추진(1880년대) • 통리기무아문, 별기군, 박문국, 영선사, 조사시찰단, 보빙사 • 위정척사운동 • 양반유생층 주도, 성리학과 전통 수호, 서학 배척 • 척화주전론 → 왜양일체론 → 영남만인소 → 항일의병 • 임오군란(1882) • 개화정책 반대, 일본의 경제침탈, 구식군인 차별대우 • 일본공사관과 궁궐 습격, 대원군 재집권, 청군 개입 • 청의 내정간섭, 상민수륙무역장정(청), 제물포조약(일)

  11. 오늘의 학습 평가 • 1880년대 개화정책을 총괄한 기구는? • 청에 보낸 문물 시찰단과 영향은? • 개항 불가 - 왜양일체론을 주장한 인물은? • 조선책략 유포에 반대한 대표적 움직임은? • 임오군란을 진압한 세력은? • 임오군란의 결과 파견된 청의 고문은? • 제물포 조약의 주요 내용은?

  12. 내일의 학습 주제 Ⅱ. 근대 사회의 전개 2. 개화 운동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2-1. 개화 세력의 대두 2-2. 개화 정책의 추진과 반발 2-3. 개화당의 근대화 운동 2-4. 근대적 개혁의 추진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