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4

Ⅰ. 서론

제주 세계유산을 활용한 관광활성화 방안. 고승익 제주관광학회 회장 김창식 제주국제대학교 교수. Ⅰ. 서론. Ⅱ. 생태관광의 특성 및 제주의 세계유산 현황. Ⅲ. 제주관광산업과 세계자연유산 방문객 추이. Ⅳ. 관광활성화 방안 모색. Ⅴ. 결 론. Ⅰ. 서 론. 제주 특별자치 도 가 보유하고 있는 생물권보전지역 , 세계자연유 산 , 지질공원을 모두 아우르는 세계 자연 유산의 현황을 설명하 고 , 제주세계유산의 보호 보존의식을 높여 관광자원 의 활용가

lael-hardin
Download Presentation

Ⅰ. 서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주 세계유산을 활용한 관광활성화 방안 고승익 제주관광학회 회장 김창식 제주국제대학교 교수 Ⅰ. 서론 Ⅱ. 생태관광의 특성 및 제주의 세계유산 현황 Ⅲ. 제주관광산업과 세계자연유산 방문객 추이 Ⅳ. 관광활성화 방안 모색 Ⅴ. 결 론

  2. Ⅰ. 서 론 제주특별자치도가 보유하고 있는 생물권보전지역, 세계자연유 산, 지질공원을 모두 아우르는 세계자연유산의 현황을 설명하 고, 제주세계유산의 보호 보존의식을 높여 관광자원의 활용가 치와 지역관광산업의 진흥에 크게 이바지하게 됨을 인식시켜 나가는 동시에, 최종적으로는 세계유산가치의 증진을 통한 제 주도의 차별화 된 관광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3. 2. 제주도의 세계유산 현황 1)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 ㆍ지역: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영천, 효돈천, 범섬, 문섬, 섶섬 일대 ㆍ면적: 83,094ha(핵심지역: 15,158, 완충지역: 14,601, 전이지역: 53,335) ㆍ지정일: 2002. 12. 16 2) 제주세계자연유산 ㆍ명칭: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ㆍ등재년도: 2007. 07 ㆍ유산지구: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성산일출봉 응회구 , 거문오름용암동굴계 ㆍ유산면적: 18,997ha(핵심지역: 9,605ha, 완충지역: 9,392ha) ㆍ등재사유: 탁월한 경관적 가치와 지질학적 가치 3) 제주도 세계지질공원 ㆍ서귀포 패류화석층 ㆍ대포동 주상절리대 ㆍ천지연폭포 ㆍ산방산 ㆍ용머리해안 ㆍ수월봉

  4. 3. 도내 총생산 및 관광수입 추이 (단위: 억원)

  5. 선산 일출봉 만장굴 거문오름

  6. 4. 연도별 탐방객 현황 (단위: 천명)

  7. 5. 세계유산지구별 탐방객현황 (단위: 명, 천원) 성산 일출봉

  8. 만장굴 (단위: 명, 천원)

  9. 거문 오름 단위: 명, 천원)

  10. 천지연 폭포 1,638,620명 대포동 주상절리대 1,456,174명 산방산은 769,051명 제주자치도 2010년12월31일 관광객 통계 기준

  11. 6. 문제점 1)3개 자연유산은 유네스코 기준의 보존, 보전, 복원 등 보호적 측면에 서의 통합적인 관광자원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음 2)성산일출봉의 경우 1일 최대 탐방객이 15,000명을 상회하여 수용능력 의 한계를 벗어나 혼잡이 야기되고 있음 3)거문오름의 경우는 1일 최저 탐방객이 25명에 불과함으로써 자원가치 가 너무 낮게 평가되는 측면과 함께 무료 탐방으로 인해 주민소득과 연계되지 못하고 있음 4)한라산 탐방로의 경우는 5개의 탐방로가 개설돼 있으나 탐방로별 특 색이 없는 실정임 5)제주 세계유산은 지역의 독특한 문화가 녹아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고, 생태관광의 측면에서 볼 때 지역주민이 관리 운 영에 주체적으로 참가하지 못하고 있음

  12. 7. 관광활성화 방안 모색 -. 지역주민 중심의 통합적 자원관리 시스템 구축 -. 관광객 분산에 의한 혼잡도의 감소 및 자원 보호 -.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진 융복합 관광루트 조성 -. 스토리텔링을 반영한 융합콘텐츠의 고유 브랜드 개발 -. 다크투어리즘ㆍ잣성과의 연계상품 개발

  13. 8. 맺음말 제주도는 세계자연유산을 활용하여 생태관광의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 하기 위해서는 하루 속히 민관프로젝트 차원의 종합적인 세계유산의 보호와 활용에 관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경제주체 각자가 지역 고유의 문화를 연계하는 제주형 관광상품을 개발하는 노력 이 있어야 한다. 도민, 정책 당국, 관광객, 관련 학자 등 모두가 제주세계유산의 소중한 관광자원가치를 재 인식하고, 앞에서 연구자가 제시한 관광활성화 방 안을 거울삼아 제주관광의 품격을 높여나가는데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14.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