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0

소화성궤양

소화성궤양. 김 병 욱 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소화기내과. 소화관의 구조. 입 : 저작작용 효소 ( 아밀라제 ) 식도 : 음식물 이동 위 : 음식물 분쇄 펩신 , 위산 소장 : 소화 , 영양분 흡수 대장 : 수분흡수. 구강. 식도. 위. 간. 담낭. 췌장. 횡행결장. 소장. 상행결장. 하행결장. 충수돌기. 직장. 잘 먹은 귀신 때깔도 좋다. 흐르는 물처럼 소화가 잘되는 위. 위액분비. 점액 세포. 위산과 펩신 분비

Download Presentation

소화성궤양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소화성궤양 김 병 욱 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소화기내과

  2. 소화관의 구조 • 입 : 저작작용 • 효소(아밀라제) • 식도 : 음식물 이동 • 위 : 음식물 분쇄 • 펩신, 위산 • 소장 : 소화, 영양분 흡수 • 대장 : 수분흡수 구강 식도 위 간 담낭 췌장 횡행결장 소장 상행결장 하행결장 충수돌기 직장

  3. 잘 먹은 귀신 때깔도 좋다 흐르는 물처럼 소화가 잘되는 위

  4. 위액분비 점액 세포 • 위산과 펩신 분비 • 소화작용 • 청결작용 • 점액 분비 • 위점막보호작용 벽세포 주세포

  5. 저장기능 소화기능 운동기능 위의 기능

  6. 장관벽의 구조 점막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

  7. 위산과 펩신의 작용으로 위나 십이지장의 점막이하 부위가 결손된 상태 소화성궤양 ?

  8. 소화성 궤양의 역학 • 한 개인이 일생동안 5%-10%에서 발생 • 연간 1000명중에 20명 발생 • 연령 - 위궤양: 50대 - 십이지장 궤양: 30-40대

  9. 소화성궤양의 치료 변천 • 1970대 이전 • 제산제, 신경안정제, 식이요법 • 외과적 치료 : 미주신경절제술 등 • 1970 중반 이후 • H2수용체 길항제의 등장: 씨메티딘, 라니티딘(큐란, 잔탁) 파모티딘(가스터),나이자티딘 • PPI (프로톤 펍프 억제제)의 등장 • 1990대 후반H. pylori제균

  10. 소화성 궤양은 얼마나 흔한 병인가? 위장관조영술 2.1 % (232 / 11,180명) 십이지장궤양 73 % 위궤양 21 % 건강검진 : 12,618명 소화성궤양 : 3.5 % (438명) n = 438 위.십이지장궤양 6 % 내시경 14.3 % (206 / 1,438명) • 일생동안 발생할 확률 : 5%-10% 이강문 등, 1998

  11. 성모병원 내시경검사에서 발견되는 궤양의 빈도 • 소화불량증으로 내시경검사 : 22,716명 • 소화성궤양 : 17.3 % (3,930명) • 위궤양 : 8.7 % (1,984명) • 십이지장궤양 : 6.6 % (1,488명) • 위.십이지장궤양 : 2 % (458명) 이강문 등, 1998

  12. 호발연령 1988년 (n = 1,179) 1996년 (n = 1,263) 세 세 60 60 52.4 50 49.3 47.9 42.8 39.6 40 40 20 20 0 0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십이지장궤양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십이지장궤양 김재광등, 1988

  13. 소화성궤양의 빈도 1988년 (n = 1,179) 1996년 (n = 1,263) % % 60 60 51.4 44.3 41.5 41.4 40 40 20 20 14.3 7.1 0 0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십이지장궤양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십이지장궤양 김재광 등, 1988

  14. 소화성궤양에 대한 수술 P < 0.001 위궤양 P < 0.05 십이지장궤양 명 119 119 120 100 80 61 60 48 36 40 17 20 0 년 80 - 85 86 - 91 92 - 97

  15. 소화성궤양의 원인 • 세균 (헤리코박터 파이로리) • 위산 • 약제 (진통제) • 술, 담배 • 담즙산 방어인자 공격인자 • 위 보호막 • 점액층, 중탄산 • 위혈류 • 프로스타그란딘

  16. 위산 ! 나만이 궤양을 만들 수 있어. 하 하 하 !!!! 나 위산

  17. 스트레스 • 위산을 많이 나오게 하고 점막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 위장운동을 떨어뜨린다. • 증상을 악화시킨다. • 흡연, 음주, 아스피린 복용 증가

  18. 술, 담배, 불규칙한 식사 • 위산분비과다 • 위점막손상 • 직접적인 원인보다는 원인을 제공 • 증상을 악화 •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금주, 금연, 규칙적인 생활이 필요

  19. 흡연율 % 위궤양 100 85.1 십이지장궤양 79.7 80 국내 흡연율 59.3 60 40 20 14.1 8.4 6 0 남자 여자 윤종구 등, 1997

  20. 남녀비 년 년 1988 1996 (M:F) 3.4 : 1 2.3 : 1 위궤양 3.1 : 1 3.2 : 1 (M:F) 십이지장궤양 4.3 : 1 4.3 : 1 . (M:F) 위 십이지장궤양 윤종구 등, 1997

  21. 소화성궤양의 원인 (복합적인 원인) • H. pylori의 감염 • 약물(소염진통제) • 스트레스(중한 화상, 패혈증, 쇽크) • 흡연 • 술 , 생활 스트레스, 음식 확인되지 않음

  22. 소화성궤양의 원인 RELIABLE HEAR SAY 위산과다 헬리코박터 세균

  23. 헬리코박터 피로리 (H. pylori)

  24. H. pylori :1982년 호주의 Dr Marshall과Warren에 의해 발견 위산 속에서 어떻게 세균이 살아? 말도 되지 않은 소리!!

  25. H. pylori의 특성 나쁜 짓만 하면서 몸도 꼬였네 그래 꼬였다, 그래서 헬리코박터 다 어쭈 꼬리가 붙었네 그래서 나는 움직일 수 있다 왜 다른 균은 위산에 다 죽는데 너는 어떻게 사니? 걱정도 팔자군 나는 위산 에서 암모니아를 만들어 중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걱정 없어

  26. 만성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암(위선암) 위림프종 H. pylori 에 관련된 위장관 질환들

  27. 연령에 따른 헬리코박터 피로리의 감염률 (%) 100 78.5 80 74 73.9 71.7 67 60 54.3 H. pylori infection rate 45.8 40 31.1 27.3 20 12.7 11.5 6 0 70-79 (yr) 1-3 4-6 7-9 10-12 13-15 16-19 20-29 30-39 40-49 50-59 60-69

  28. 위벽에 있는 세균이 위산과 함께 위벽을 헐게 한다 위 나, 헬리코박터 피로리 점액층 위벽

  29. 세균을 없애면 궤양의 재발을 막을 수 있다 재발되지 않는 환자 % 100 세균 음성군 75 50 25 세균 양성군 0 0 6 개월 1 년 18 개월 2 년 치료 후 추적기간

  30. 소화성궤양에서 H. pylori의 감염 % 100 85.6 79.6 79 80 60 40 20 0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십이지장궤양 윤종구 등, 1997

  31. H. Pylori제균치료의 필요성 • H. pylori 의 자연적인 소멸은 거의 없다. • 소화성궤양에서 H. pylori 제균치료의 필요성 • 재발 방지(제균 치료 후 재발을 현저히 감소) • 치료 후 생리현상 호전 • gastrin, pepsinogen 및 ammonia 치 정상 • 활동성 위염의 호전 • 저 악성도의 MALT lymphoma의 호전 • 위암의 원인 , 소화불량 ?

  32. H. pylori잘가! 궤양도 잘가!

  33. 약 제 • 약제와 관련된 소화성궤양 : 28.6 % (361 / 1,263명) • 위궤양 : 36 % (201 / 559명) • 십이지장궤양 : 23 % (120 / 523명) • 위.십이지장궤양 : 22 % (40 / 181명) • 복용한 약제 1. NSAIDs 2. 한약 3. 스테로이드

  34. 소염진통제는 위십이지장벽을 손상시킨다. 정상 위점막 아스피린 먹은 후 16 분 후 사진 위상차 전자 현미경 사진 Baskin et al 1976

  35. 혈액형 : 십이지장궤양은 O형이 많다 % 100 P < 0.05 80 58.3 60 40 26.3 20 0 십이지장궤양 소화불량증 채현석 등, 1996

  36. 공격 인자 진통제 세균 위산 소화효소 점액층 위세포 방어벽 점액 프로스타그란딘 중탄산 분비 위점막의 손상

  37. 위장관 X-선 촬영 내시경 검사 정확하다. 조직검사가 가능하다 치료가 가능하다 소화성 궤양의 진단

  38. 수면내시경

  39. 상부위장관 X-선 촬영(위궤양)

  40. 내시경: 위궤양 (I) 처 음 치료 8 주 후

  41. 내시경: 위궤양 (II) 처 음 치료 1 주 후 치료 9 주 후

  42. 내시경 : 십이지장궤양 처 음 치료 4 주 후

  43. 소화성궤양의 증상 • 상복부가 아프고 쓰리다 • 음식을 먹으면 통증이 완화된다 • 제산제를 먹으면 통증이 없어진다. • 속이 비었을 때 배가 아프다 • 밤중에 배가 아프다 • 주기적으로 복통이 온다 • 주의: 아무 증상이 없는 궤양환자도 있다 (20 명 중 한 명1)

  44. 소화성궤양의 증상 통증, 잠 못 이루는 밤 후벼 파는 듯한 통증 배가 아파 ? 왜 그래 ? 더부룩 해서 못 먹겠어

  45. 소화불량 있을 때 내시경검사를 꼭 받아야 하나요? • 체중감소 • 빈혈 • 토혈, 흑색 변 • 구토 • 소화성 궤양을 앓은 적이 있었던 사람 • 진통제를 계속 복용하거나, 복용해야 되는 사람 • 35 세 이상의 성인으로 이전에 없던 증상이 생긴 경우

  46. 내시경검사 진단이 정확하다 조직 생검이 가능하다 위장관 조영술 환자가 불편하지 않다 소화성궤양의 진단 눈 눈 눈 눈 눈

  47. 내시경 검사의 합병증 • 330명에서 2700명 중 1 명 심폐합병증 1 / 690 to 1 / 2600 천공 1 / 900 to 1 / 4200 출혈 1 / 3400 to 1 / 10,000 사망 1 / 3300 to 1 / 40,000

More Related